본문으로 이동

토론:화각 (사진술)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출처[편집]

조금있다 올립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01:28 (KST)답변

출처를 첨부했으므로 출처틀 제거 했습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11:08 (KST)답변

독자연구?[편집]

"환산화각이 필요하고 많이 쓰는 이유는 초점거리만으로 알수 없는 화각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여서 앞에 언급된 화각의 변화를 알아보기 편하기 때문 이다"

"또한 화각을 따질때 주의할점이 있다 . 카메라는 가로로 넓은 직사각형으로 사진을 찍기 때문에, 가로의 화각은 세로의 화각보다 넓다. 그렇기 때문에 렌즈의 화각을 말할 때에는 가로 화각이나 세로 화각이 아니라 대각선 화각을 지칭한다 ."

"초광각렌즈의 경우는 화각이 더 넓기 때문에 더 넓은 범위의 풍경을 다 찍힐 수 있습니다.

이러한 렌즈 화각은 풍경사진을 찍는데 도움이 된다"

"동일 촬영예를 들어서 망원렌즈로 피사체의 세부적인 디테일까지 확실하게 사진에 표현할수 있지만. 그 피사체의 위치나 배경들은 매우 제한적으로 표현이 된다 . 화각이 좁기 때문이다."

"이것의 의미는 35mm 풀프레임과 같은 화각을 가지는 가상의 초점거리 표시한다. 또 환산 화각은 보통 mm 단위로 말하며 이는 컨버전된 환산초점거리를 지칭한다"

마치 리포트를 쓰듯이 서술하는 독자연구가 많이 보입니다.--누비에크 () 2010년 4월 25일 (일) 12:40 (KST)답변

글세요 ,,,, 일단 링크건 출처를 살펴보셨는지요 ?? Light and Lens Photography in the Digital Age 책의 81 페이지를 보면 Calculating the Picture Angle Factor/Sensor Equivalency 부분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Calculating the Picture Angle Factor/Sensor Equivalency Unless the image sensor in your digital camera is the exact size of a comparable fi lm format, the image area covered by your digital lens will differ from that of a 35 mm fi lm camera. The smaller sensor size of most digital cameras gives them a narrower angle of view (more telephoto), essentially cropping (reducing) the area of view. A “crop” or picture angle factor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 lens millimeter equivalency between the full-frame 35 mm fi lm format lenses and any size digital sensor. By multiplying the sensor equivalency by the 35 mm fi lm camera lens size, one can determine the new digital focal length of a fi lm lens when used on a particular digital camera. For instance, a 50 mm lens combined with an image sensor having a picture angle factor of 1.6 becomes an 80 mm lens (50 × 1.6 = 80).

중략 .... 또한 이책에서 광각이나 기타 환산초점거리 등등 전부 표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 출처가 있으면 그 출처를 보고 확인하신후에 말하시는것이 좋지 않을까요 ? 책이니까 당장 확인 하시기 힘들겠지만 e북으로 파는것도 있고 온라인으로 불법판으로 돌아다는는것도 있으니까 구해서 보시면 확실하게 아실수 있겟죠

그외에 출처 표시되어 있는 링크는 웹문서이니까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초광각이 화각이 넓다는것이나 풍경찍는데 도움이 된다는 등등의 내용 역시 링크가 되어 있습니다 주석 5 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정도 사항은 온라인을 통해서 광각렌즈나 망원렌즈 특성을 찾아보셔도 금방 보실수 있는 내용입니다만 .... 너무 무책임 하시게 자신이 이해못하고 모르면 독자연구 틀다시는것 같습니다 틀리거나 독자연구 부분이 있다면 명확히 잘못된 부분 출처와 함께 지적하시고 독자연구틀 다실것 권합니다 막연히 리포트 같다는 이유로 독자연구 틀 다시면것은 문서훼손 행위 입니다 ,,,, 독자 연구 틀 삭제 하겠습니다 이미 출처있고 누비에크님은 출처글을 보지도 않으신 상태에서 독자연구틀을 달았다고 밖에는 안보이네요.

좀더 신중한 자세로 편집에 참여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13:31 (KST)답변

문서 작성에 좀 더 신경을 쓰셔야할 것 같군요. 제가 제시한 문장에는 전혀 출처가 적혀있지 않거든요.--누비에크 () 2010년 4월 25일 (일) 13:32 (KST)답변
문장마다 출처를 달으라는 말인지요 ?? 그리고 앞에도 적었지만 주제가 되는 단어에 달린 출처에 하부 내용까지 포함되고 있습니다 출처글 먼저 보시고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13:38 (KST)답변
독자 연구틀 제거 했습니다 . 이의를 제기 하시려면 좀더 신중하게 해주셨으면 합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5일 (일) 13:40 (KST)답변
<ref name="**"> 이러한 형식으로 출처를 여러 문장에 넣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아무런 출처가 없는데 앞에 출처까지 제가 살펴봐야하나요? --누비에크 () 2010년 4월 26일 (월) 08:04 (KST)답변
토론 에서 출처에 대한 오해는 충분히 해명 된것으로 생각하겠고 앞으로 출처나 링크 표시를 좀더 광범위 하게 하도록 주석을 보강하는 노력을 하겠습니다.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6일 (월) 21:22 (KST)답변

질문 혹시 다른 출판사가 가져와서 번역한 걸 인용한 건 아니죠? 직접 번역한 거죠? 인용해서 가져왔다면 저작권 침해에 해당되므로 삭제되어야 합니다. --BreadToast Eggs Cooker Fried Eggs 2010년 4월 26일 (월) 07:58 (KST)답변

답변 직접 번역한것이고 사실 어려운 내용도 전혀 없지 않습니까 어차피 도표같은 경우 풀프레임 DSLR 에서 토론할때 작성한것 퍼온것도 있고 ( 작성자는 저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출처로 명시되어있는 책의 대부분 직접 번역한것들입니다  ??? 글의 출처 링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근거없이 달으신 독자연구 틀 삭제 하겠습니다 Compumundo (토론) 2010년 4월 26일 (월) 11:28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화각 (사진술)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9일 (월) 23:5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