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트리라코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라코돈(Trirachodon)은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등장한 키노돈트 중 하나이다. 화석은 남아공키노그나투스 군집 지대(Cynognathus Assemblage Zone)에서 발견된다.[1]

트리라코돈
화석 범위:
트라이아스기 초-중기 247–237백만년 전
트리라코돈 복원도
트리라코돈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미분류): 양막류
강: 단궁강
목: 수궁목
아목: 키노돈아목
(분류군): 상키노돈트
하목: 진키노돈하목
(분류군): 키노그나투스류
과: 트리라코돈과
속: 트리라코돈속
모식종
†Trirachodon berryi
Seeley, 1895

특징[편집]

트리라코돈의 두개골은 짧고 좁은 주둥이와 넓은 안와(눈구멍)을 가지고 있었고 광대뼈는 비교적 가늘었다.[2][3] 트리라코돈의 몸길이 최대 50cm로, 키노돈트 치고는 꽤 작은 몸집을 가지고 있었다, 근연종인 디아데모돈(Diademodon)보다 어금니를 포함한 치아의 수가 적었다. 이들의 치아는 디아데모돈보다 가로로 넓어지는 경향이 있었다.[4]

  1. Rubidge, B.S. 《Biostratigraphy of the Beaufort Group (Karoo Supergroup)》. Council for Geoscience, Pretoria. 46쪽. 
  2. Seeley, Harry Govier. (1894년 12월 31일). “XIII. Researches on the structure, organ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fossil reptilia. -Part IX., Section 3. On diademod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185: 1029–1041. doi:10.1098/rstb.1894.0023. ISSN 0264-3839. 
  3. Kemp, T. S. 《Mammal−like Reptiles and the Origin of Mammals.》. 363쪽. 
  4. “I. Researches on the structure, organ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fossil reptilia.—Part IX., section 4. On the gomphodont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186: 1–57. 1895년 12월 31일. doi:10.1098/rstb.1895.0001. ISSN 0264-3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