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다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판다과
Panda oleosa
Panda oleosa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말피기아목
과: 판다과 (Pandaceae)
Engl. & Gilg[1]
  • 본문 참조

판다과(Pandaceae)는 속씨식물과의 일종이다. 4개 속에 총 28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 또는 동남아시아에 자생한다. 3개 속은 이전에 대극과로 분류했다. APG III 분류 체계켄트로플라쿠스과로 분류했다.[1]

하위 속[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말피기아목의 계통 분류이다.[2][3]

말피기아목
98/100 

푸트란지바과

로포피시스과

와일드망고과

84/100  

켄트로플라쿠스과

카리오카르과

판다과

익소난테스과

후미리아과

아마과

물별과

말피기아과

84/100  

크테놀로폰과

홍수과 s.l.  

코카나무과

홍수과

99/100  

발라놉스과

크리소발라누스과 s.l.  

트리고니아과

디카페탈룸과

에우프로니아과

크리소발라누스과

오크나과 s.l.  

오크나과

해파리나무과

쿠이나과

클루시아류  
92/98  

본네티아과

클루시아과

칼로필룸과

물레나물과

포도스테뭄과

여우주머니류  

피크로덴드론과

여우주머니과

페라과

90/90  

라플레시아과

85/100  

대극과

parietal clade  

아카리아과

76/98  

고우피아과

82/100  

제비꽃과

제비꽃과 s.l.  

말레셰르비아과

투르네라과

시계꽃과

라키스테마과

버드나무과 s.l.  

사미다과

스키포스테기아과

버드나무과

각주[편집]

  1.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0일에 확인함 
  2. Shuguang Jian; Pamela S. Soltis; Matthew A. Gitzendanner; Michael J. Moore; Ruiqi Li; Tory A. Hendry; Yin-Long Qiu; Amit Dhingra; Charles D. Bell & Douglas E. Soltis (2008), “Resolving an Ancient, Rapid Radiation in Saxifragales”, 《Systematic Biology》 57 (1): 38–57, doi:10.1080/10635150801888871, PMID 18275001 
  3. Wortley, Alexandra H.; Rudall, Paula J.; Harris, David J.; Scotland, Robert W. (2005). “How Much Data are Needed to Resolve a Difficult Phylogeny? Case Study in Lamiales”. 《Systematic Biology》 54 (5): 697–709. CiteSeerX 10.1.1.572.9568. doi:10.1080/10635150500221028. PMID 1619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