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자원 수소생산 패키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상세[편집]

수소 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 2023’에서 발표된 기술로, 현대차그룹이 마련한 자원 순환존, 수소 생산존, 수소 활용존 3개의 테마 중 자원 순환존에서 현대건설이 2023년 9월 13일 공개했다.[1]  음식물 쓰레기 등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처리하면 메탄이산화탄소기체 혼합물 '바이오가스'가 생성되는데, 바이오가스를 정제하고 개질하면 청정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2] 바이오가스는 음식물 폐기물에서 분쇄와 스크리닝을 통해 비닐, 모래,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과 메탄, 이산화탄소 가스 생성을 위한 혐기성 발효 공정, 마지막으로 불순물 가스를 제거하고 냉각 시스템으로 메탄 순도를 97% 이상까지 높이는 고질화 공정을 거치며 수소 생산 원료로 활용된다.[3]

같이 보기[편집]

수소 경제

탄소 중립

현대건설

현대자동차그룹

각주[편집]

  1. “수소 청소차·잠수함…기업 303곳, 수소산업 청사진 내놨다”. 《서울경제》. 2023년 9월 13일. 2023년 9월 18일에 확인함. 
  2. “현대차그룹, ‘H2 MEET 2023’서 수소 선순환 생태계 구축 앞장”. 《동아일보》. 2023년 9월 13일. 2023년 9월 18일에 확인함. 
  3. “현대차그룹이 선보이는 수소 선순환 생태계는?”. 《이코노미스트》. 2023년 9월 13일. 2023년 9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