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페스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폐페스트
페스트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진료과감염내과
증상발열, 두통, 호흡곤란, 기침[1]
통상적 발병 시기3~7일[2]
병인페스트균[3]
위험 인자설치류[3]
진단 방식가래 검사[1]
치료항생제[1]
빈도희귀함(rare)[2]

폐페스트(Pneumonic plague)는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하기도감염증이다.[3] 발열, 두통, 호흡곤란, 흉통, 기침 등을 증상으로 가진다.[1] 노출 후 3~7일에 증상이 시작된다.[2] 패혈성 페스트, 가래톳페스트와 더불어 세 종류의 페스트 중 하나이다.[3]가래톳페스트 또는 패혈성 페스트 감염 후에 폐렴 형태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3] 폐페스트에 감염된 고양이나 사람에서 나온 비말을 흡입함으로써 감염될 수 있다.[1] 세 종류의 페스트는 그 감염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데, 가래톳페스트는 림프절을, 패혈증 페스트는 혈액을 감염시킨다. 따라서 혈액, 가래, 림프절의 액체를 검사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페스트인지 진단할 수 있다.[1]백신이 개발되고 있긴 하나 대부분의 나라에서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다.[1][3] 감염된 설치류, 사람 또는 고양이와의 접촉을 피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1][3] 환자들을 따로 격리하는 것이 권장된다.[2]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1]현재는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의 설치류에서 존재한다.[3] 폐렴성 전염병은 가래톳페스트보다 더 심각한 반면 감염사례는 드물게 관찰된다.[1] 2013년 세 종류를 모두 합쳐서 총 783명의 페스트 환자만 나타났다.[2] 폐페스트는 치료하지 않을 경우 거의 전부가 사망한다.[3] 일부 학자들은 1300년대에 대략 5천만 명의 사망자를 낸 페스트가 폐페스트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2][4]

증상[편집]

가장 분명한 증상은 기침으로, 객혈이 주로 나타난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두통, 허약이 난 뒤 급속도로 폐렴이 발달하여 호흡곤란, 가슴통증, 기침이 나타난다. 피 섞인 가래를 동반하기도 한다.[5]

원인[편집]

비말형태의 페스트균을 흡입하여 바로 발생하거나, 패혈성 페스트에 감염된 혈류가 폐 조직으로 전파되어 발생한다. 매개체가 필요한 가래톳페스트와는 달리 사람간 전염도 발생한다. 감염된 동물의 일부를 다루는 경우 발생하기도 한다. 가래톳페스트, 패혈성 페스트와 함께 흑사병으로도 알려져 있었다.[6]

치료[편집]

매우 치명적인 증세를 나타내어 조기에 치료가 필요하다. 첫 증상이 나타난 후 24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해야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5] 스트렙토마이신, 젠타마이신, 테트라시클린, 클로람페니콜이 페스트균을 죽일 수 있다. 밀접 접촉자에게 7일간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질병이 심각하게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밀착형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면 전염을 막을 수 있다.[5]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률은 100%에 육박한다.[7]

역학[편집]

2002년 이후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페스트 집단발병 사례만 총 7번이 발생했는데, 실제 발생한 사례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8년에서 2009년까지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동유럽에서 약 2,000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거의 24,000명의 감염자가 보고되었다. 감염의 98%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였다.

1910년에서 1911년 사이에는 만주에서 집단발병이 나타나 6만명의 사람을 죽였다.[8] 청나라는 질병 통제를 위해 우롄더(오연덕)을 임명하였는데, 그는 이 질병이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호흡용 보호구의 보급을 추진했다.[9] 1920년에서 1921년 사이에는 2차 페스트 유행이 발생해 9,300명이 사망했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FAQ Plague”. 《www.cdc.gov》 (미국 영어). 2017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3일에 확인함. 
  2. “Plague”. 《World Health Organization》. September 2016. 2015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3. “Plague”. 《www.who.int》. 2017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4. McCoy, Terrence (2014년 3월 31일). “Everything you know about the Black Death is wrong”. 《Washington Post》. The Washington Post. 2016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5. Facts about Pneumonic Plague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04) 보관됨 2013-08-02 - 웨이백 머신
  6. Benedictow, Ole Jørgen (2004). 《The Black Death, 1346–1353: The Complete History》. Boydell & Brewer. 27–28쪽. ISBN 0-85115-943-5. 
  7. Plague 보관됨 2017-01-31 - 웨이백 머신. (Iowa State University, 2004)
  8. Welford, Mark R.; Bossak, Brian H.; Carter, Dee A. (2009년 12월 22일). “Validation of Inverse Seasonal Peak Mortality in Medieval Plagues, Including the Black Death, in Comparison to Modern Yersinia pestis-Variant Diseases”. 《PLoS ONE》 4 (12): e8401. doi:10.1371/journal.pone.0008401. 
  9. Wilson, Mark (2020년 3월 24일). “The untold origin story of the N95 mask”. 《Fast Company》.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