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밝기 요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면밝기 요동은 (Surface brightness fluctuation (SBF)) 은하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또다른 부수적인 우주 거리 사다리로 이용된다. 이 기술은 '은하수는 한정된 수의 별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이용하는데, 많은수의 별중, 은하수의 어느 작은부분을 예로 들면 , 한곳에서 어느 다른곳으로 너무 다양한 표면밝기 분포가 마치 노이즈같은 요동을치게 된다. 반면에 은하계의 여러별은 아주 다양한 범위의 광도를 가지고있는데 이 표면밝기 요동은 모든별이 같은 밝기를 가지고있는 특징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오래된 타원은하일수록 꽤 일치하는 은하분포를 가지고있는데 (표면밝기요동이 비슷하다는 말 ) 따라서 일반적으로 요동치는 별은 기본촛불(standard candle: 거리를 잴때 이용하는 기본적인 별들)로 간주될수 있다.사실 나이와 금속함유에 따라서 수정이 필요할수도 있다 표면밝기 요동은 오래된 은하분포 (pop II)에 이용된다. 표면밝기요동은 대마젤란은하세페이드 변광성의 관찰을 기본으로한 기본적인 세페이드 주기-광도 관계식에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