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피어슨 심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어슨 심볼(Pearson symbol), 피어슨 기호, 피어슨 노테이션(Pearson notation)은 결정 구조를 기술하는 수단으로서 결정학에서 사용되며 W.B. 피어슨(W.B. Pearson)에 의해 창안되었다.[1] 이 심볼은 2개의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 다이아몬드 구조: cF8
  • 루틸 구조: tP6

기울여진 2개의 문자는 브라베 격자를 규정한다. 소문자는 결정계를 규정하며 대문자는 센터링 타입(centring type)을 규정한다. 피어슨 심볼의 끝의 숫자는 단위 격자 내의 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IUPAC (2005)[2]

결정계
a 삼사정계(triclinic, anorthic)
m 단사정계(monoclinic)
o 사방정계(orthorhombic)
t 정방정계(tetragonal)
h 육방정계(hexagonal)
c 정육면체(cubic)

추가 문헌[편집]

각주[편집]

  1. W.B. Pearson, A Handbook of Lattice Spacings and Structures of Metals and Alloys,Vol. 2, Pergamon Press, Oxford, 1967
  2.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2005; IR-3.4.4, pp.49-51; IR-11.5, pp.24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