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어 문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하와이어 문법을 설명한다. 하와이어의 문법은 다른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과 비슷하다.

개요[편집]

하와이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인 VSO형 언어이고[1] 형태론적으로는 고립어이다.[2][3] 하와이어 동사는 논항에 일치하거나 굴절하지 않고, 대신 시제··을 나타내는 불변화사를 사용한다.[4] 하와이어는 주격-대격 언어이고 전치사로 명사의 격을 나타낸다.[5][6] 하와이어에는 파생 접두사와 접미사가 있고,[7] 다른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와 마찬가지로 영파생이 아주 흔하여 같은 단어가 명사로도 동사로도 쓰이는 경우가 많다.

명사[편집]

명사류에는 보통명사, 고유명사, 대명사가 있다. 하와이어는 전치사로 명사의 격을 나타낸다. 명사구에서 관사, 지시대명사, 소유대명사, 수사, 복수표지 등은 명사 앞에 오고, 동사 수식어는 명사 뒤에 온다.[8]

관사[편집]

  • ka/ke : 단수 정관사. /k e o a/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 및 /p ʔ/로 시작하는 몇몇 단어 앞에서는 ke를, 그 밖에는 ka를 사용한다.[9]
    • ka wahine 여자; ke ao 구름
  •  : 복수 정관사.
    • nā wāhine 여자들
  • he : 부정관사. he는 주로 명사 술어나 자동사의 주어 명사구에서 쓰인다. 다른 곳에 쓰이는 경우는 드물다. he 앞에 me가 아닌 전치사가 와야 할 경우 그 전치사는 탈락된다.[10]
    • He kumu au. 나는 선생이다.
    • Ua hōʻea he mau keonimana. 어떤 신사들이 도착했다.
    • Ua hānau ka wahine he keiki kāne. 그 여자는 한 남자아이를 낳았다. (목적어 앞에는 전치사 i가 붙어야 하지만, he 앞이므로 탈락되었다.)
  • kekahi : 부정관사. ‘한’, ‘어느’, ‘몇몇’, ‘조금’, ‘또 하나의’ 등의 의미가 있다.[11]
    • ʻIke ʻo ia i kekahi hale. 그는 어느 집을 보았다.

전치사[편집]

전치사는 명사 앞에서 명사의 격을 나타낸다.

  • ʻo : 주격. 일반적으로 주어는 전치사로 표시하지 않는다. 주어 앞에 ʻo를 붙이는 경우는 주로 주어가 고유명사이거나, 3인칭 단수 대명사 ia이거나, 의문사 wai(누구)일 때이다. 그 밖에 ‘A는 B이다’와 같은 동일성 구문에서도 쓰인다.
    • Ua ʻike ʻo ia. 그는 보았다.[12]
    • ʻO au ʻo Kaʻiulani. 나는 카이울라니다.
  • i/iā : 목적격. 직접목적어, 간접목적어, 목표, 도구, 장소, 이유 등 다양한 기능을 나타낸다. 고유명사와 대명사 앞에서는 가 쓰인다.[13] 한 문장에 i로 시작하는 명사구가 여럿일 수도 있고 이들의 순서도 자유롭다. 그러나 기본 어순은 (동사 - 주어 -) 직접목적어 - 간접목적어 - 도구 - 장소이다.[14]
    • Ua ʻai ke kanaka i ka iʻa. 남자가 생선을 먹었다.
    • Ua hele ʻo Lono i ke kaʻa i ka hale. 로노는 차로 집에 갔다.
    • ʻawi ke kanaka i ka manama iā Pua. 남자가 푸아에게 선물을 준다.
  • ma : 장소/도구/방법. 공간상의 장소, 시간상의 시점, 도구, 방법 등을 나타낸다. 다음 음절의 모음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면 장모음 로 발음되지만 철자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i와 달리 목표(방향)는 나타낼 수 없다. ima가 함께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 ma는 보다 개략적인 위치를, i는 보다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15]
    • ma noho 의자에
    • Noho nā mākua i Waikīkī ma Oʻahu. 부모님은 오아후와이키키에서 지낸다.
  • ā : 방향 강조. 어느 장소로 향함을 나타내며 i와 비교하면 거리를 강조하는 느낌을 준다.[16]
    • hele ā Maui 마우이처럼 멀리까지 가는 / hele i Maui 마우이에 가는
  • a : a-소유격. 주로 양도가능 소유를 나타낸다.
    • nā iwi a Pua 푸아의 뼈들 (예: 푸아가 먹고 있는 동물의 뼈)
  • o : o-소유격. 주로 양도불능 소유를 나타낸다.
    • nā iwi o Pua 푸아의 뼈들 (푸아 본인의 뼈)
  • me : 공동격/도구격/유사격. 행동을 함께하는 주체, 행동의 도구, 행동 방식이 비슷한 대상을 나타낸다.[17]
    • Noho ʻo Pua me kāna keiki. 푸아는 자기 아이와 지냈다.
    • Kākau ʻoe me kēia penikala. 이 펜으로 써라.
    • Ua holo ia me he lio. 그는 말처럼 달렸다.
  • mai : 탈격. 행동이 무언가로부터 멀어지거나 벗어남을 나타낸다.[18]
  • e : 수동문의 행동주. 수동태 문장에서 행동주를 나타낼 때 쓰일 수 있다.[19]
    • ʻAi ʻia ka poi e ia. 포이는 그에게 먹혔다.
  • ē : 호격. 무언가를 부를 때 이름 앞에 붙인다.[20]
    • Aloha, ē Kawika. 안녕, 카위카.

인칭대명사[편집]

하와이어 인칭대명사[21]
단수 (1) 쌍수 (2) 복수 (3+)
1인칭 2인칭 3인칭 포함1인칭 배제1인칭 2인칭 3인칭 포함1인칭 배제1인칭 2인칭 3인칭
주격 au ʻoe ia kāua māua ʻolua lāua kākou mākou ʻoukou lākou
소유격 a-형 kaʻu kāu kāna kā kāua kā māua ʻolua kā lāua kā kākou kā mākou ʻoukou kā lākou
o-형 koʻu kou kōna kō kāua kō māua ʻolua kō lāua kō kākou kō mākou ʻoukou kō lākou
애정형 kuʻu 1, 2인칭 단수만 존재
목적격 iaʻu ʻoe iā ia iā kāua iā māua ʻolua iā lāua iā kākou iā mākou ʻoukou iā lākou

지시대명사[편집]

아래 표에서 근칭은 화자에게 가까운 것, 중칭은 청자에게 가까운 것, 원칭은 화자와 청자에게서 먼 것을 뜻한다.

하와이어 지시한정사
근칭 중칭 원칭
단수 kēia kēnā kēlā
복수 kēia mau kēnā mau kēlā mau
단수 (기존에 언급함) ua ... nei ua ... lā/ala ua ... lā/ala
복수 (기존에 언급함) ua mau ... nei ua mau ... lā/ala ua mau ... lā/ala

동사 없는 문장[편집]

하와이어에는 영어의 ‘be’와 같은 계사나 영어의 ‘have’처럼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가 없다. 그 대신 다음과 같이 동사 없는 구문을 사용한다.

ʻo: 동일성[편집]

‘A는 B이다.’를 뜻하는 문장은 “ʻO A (ʻo) B.”이다. A와 B는 모두 주격을 받기 때문에, 3인칭 단수 대명사 ia 또는 고유명사 앞에는 ʻo를 붙인다.

  • ʻO Kaʻiulani koʻu inoa. 내 이름은 카이울라니다.
  • ʻO ʻoe ʻo Mary. / ʻO Mary ʻoe. 너는 메리다.
  • ʻO wai kēlā? 저건 누구지?

he: 소속[편집]

‘A는 B의 일종이다.’를 뜻하는 문장은 “He B (ʻo) A.”이다. 마찬가지로 A와 B는 모두 주격을 받는다.

  • He kumu au. 나는 선생이다.
  • He Hawaiʻi kēlā kaikamahine. 저 여자아이는 하와이인이다.

aia: 위치[편집]

‘A는 B에 있다.’를 뜻하는 문장은 “Aia A (ʻo) B.”이다.

  • Aia ʻo Mary ma Hilo. 메리는 힐로에 있다.
  • Aia ʻo ia ma loko o ka wai. 그는 물 속에 있다.

동사[편집]

시제·상·법[편집]

하와이어 시제·상·법[22]
분류 이름 주절 관계절 및 부정문
완결상 (ua) … i …
미완결상 e … ana e … ana
습관상
시제 현재시제 ke … nei e … nei
명령법/
비현실법
(e) …
ō …
e …
i …
금지법 mai …
  • (Ua) (동사) : 완결상. 구어체에서는 보통 ua를 생략한다. 동작동사가 완결상으로 쓰이면 보통 과거의 사건을 나타내고, 상태동사가 완결상으로 쓰이면 보통 현재의 상태를 나타낸다.
    • (Ua) hana au. : 나는 일했다.
  • E (동사) ana : 미완결상. 미완결상은 시제와 상관없이 진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 E hana ana au. : 나는 일하고 있었다./일하고 있다./일할 것이다.
  • (동사) : 습관상. 습관적인 사건이나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낸다.
    • Hana au. : 나는 일한다.
  • Ke (동사) nei : 현재시제. 현재 진행 중인 사건을 나타낸다.
    • Ke hana nei au. : 나는 일하고 있다.
  • (E) (동사) : 명령법/비현실법. 주어가 어떤 인칭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명령, 권유, 소망, 필요, 목적, 가능성 등 실현되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주어가 2인칭이면 일반적으로 명령을 나타내며, 주어를 생략하기도 한다. Ōe보다 부드럽고 정중한 어조이다. 구어체에서는 e를 생략하기도 한다.
    • E hana ʻoe! 일해라!/너는 일해야 한다!
    • Ō hana kāua. (너와 나) 일하자.
  • Mai (동사) : 금지법. 하지 말라는 명령이다. Mai! 단독으로 쓰이면 “하지 마!”라는 뜻이 된다.
    • Mai hana ʻoe. 일하지 말아라.

관계절 및 부정문[편집]

관계절 및 부정문의 시제·상·법 표지는 주절과 다르다.

부정문은 ʻAʻole로 시작하며, 종속절의 시제·상·법 표지를 사용한다. ʻAʻole는 거의 항상 동화된 형태인 ʻaʻale로 발음되지만 노래를 부를 때는 그렇지 않다.

  • ʻAʻole i hana ka haumāna. (완결상) 학생은 일하지 않았다.
  • ʻAʻole e hana nei ka haumāna. (현재시제) 학생은 일하고 있지 않다.

또, 부정문의 주어가 대명사이면 어순은 ʻAʻole + 주어 + 동사 + … 순이 된다.

  • ʻAʻole au e hana nei. 나는 일하고 있지 않다.

관계절[편집]

하와이어에서 관계절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주어를 관계화하는 경우와 그 외의 성분을 관계화하는 경우로 나뉜다. 관계절은 피수식어 뒤에 오며, 주절과 다른 시제·상·법 표지를 사용한다.

주어를 관계화하는 경우, 관계절에서 주어의 원래 자리를 공백으로 남겨둔다. 즉 언어유형학의 용어로는 공백 전략(gap strategy)이 사용된다.

ke kanaka [i kukulu i ka hale]
the man [PFV build ACC the house]
그 집을 지은 사람

주어가 아닌 성분을 관계화하는 경우, 동사 뒤 시제·상·법 표지가 올 자리에 불변화사 ai를 삽입한다.

ka hale [i kukulu ai ke kanaka]
the house PFV build AI the man
그 사람이 지은 집

그러나 동사 뒤에 시제·상·법 표지가 있다면 ai를 삽입할 수 없다. 아래 예문에서 neiai로 바꾸어도 여전히 옳은 문장이다.

ka hale [e kukulu nei ke kanaka]
the house IPFV build IPFV the man
그 사람이 짓고 있는 집

하와이어 불변화사 ai의 분포는 흥미롭다. 이는 폴리네시아조어 *ai에서 왔으며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에 같은 형태로 나타나지만 분포는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통가어ai는 전형적인 회생대명사(resumptive pronoun)로서 관계화된 성분의 원래 자리에 나타나는 데 반해, 하와이어 ai는 동사 바로 뒤 자리를 두고 시제·상·법 표지와 경쟁하는 것이다.

관계절의 주어는 위의 두 예문에서처럼 관계절 안에 주격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관계절 앞에 소유격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아래의 두 예문에서처럼 전치 또는 후치 소유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 소유구문은 a-형과 o-형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둘이 나타나는 환경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타동사의 목적어를 관계화할 경우 거의 반드시 a-형이 쓰인다. 관계절이 수동문인 경우 o-형이 쓰인다. 이외에는 a-형과 o-형 모두 쓰일 수 있지만 a-형이 더 많이 쓰인다.

ka puke [a Pua i kākau ai]
the book of Pua PFV write AI
푸아가 쓴 책
[ Pua] puke [i kākau ai]
of Pua book PFV write AI
푸아가 쓴 책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Baker, C. M. Kaliko (2012). 《A-Class Genitive Subject Effect: A Pragmatic and Discourse Approach to A- and O-Class Genitive Subject Selection in Hawaiia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 Elbert, Samuel H.; Pukui, Mary Kawena (1979). 《Hawaiian Grammar》. Honolulu: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ISBN 0-8248-0494-5. 
  • Hawkins, Emily A. (1979). 《Hawaiian Sentence Structur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BN 0-85883-195-3. 
  • Hawkins, Emily A. (1982). 《Pedagogical Grammar of Hawaiian: Recurrent Problems》. Manoa: Hawaiian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Hawaii. ISBN 978-0824808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