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국공학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공학상공학 분야에서 세계 정상수준의 연구성과를 이룩해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에 대하여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대통령 상장과 상금 7000만원이 수여되는 상이다.[1]

개요[편집]

1994년부터 한국과학상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도출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자를 적극 발굴․포상하여, 과학기술자의 사기를 높이고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자 제정하였다. 한국과학재단이 주관하는 한국공학상은 기초과학진흥을 위해 1987년부터 격년제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과학상과 엇갈려 매년 3명씩 격년으로 선정했다가 2016년부터 매년 시상한다.

시상 분야[편집]

  • 제1군: 전기, 전자, 금속, 컴퓨터, 정보, 통신
  • 제2군: 기계, 금속, 세라믹, 항공, 조선, 자원, 산업공학 등 관련분야
  • 제3군: 화공, 식품, 고분자, 섬유, 생물공학, 공업화학 등 관련분야
  • 제4군: 건축, 토목, 환경, 에너지등 관련분야

역대 수상자[편집]

한국공학상 수상자[편집]

연도 분야 수상자 비고
1994년 1회[2] 전기.전자 조장희(58.한국과학기술원 정보 및 통신공학과 교수) 「4마이크론 해상도의 핵자기공명 현미경에 관한 연구」 살아 있는 물체를 절단하지 않고 내부의 구조 및 화학적 변화를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4마이크론 해상도의 핵자기공명 현미경에 관한 이론을 세계 최초로 정립하고 실험적으로 입증
기계.금속 민계식(52.현대중공업㈜ 선박해양연구소장) 「장거리 고속 수중익 쌍동여객선의 설계와 건조」 장거리 항로를 운항할 수 있는 고속 수중익 쌍동여객선의 설계에 관한 종합적인 이론분석과 모형시험을 통해 최적 선형 설계방법을 수립
화공.식품 권영수(53.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CFC 연구부 책임연구원) 「지배력 극점을 이용한 PID제어기의 개량된 조정방법」 화학공정에 관한 최적설계 및 운전조건을 구하는 기법과 새로운 조정법을 확립했고 이를 활용해 염화불화탄소(CFC) 관련물질의 제조공정을 개발
건축.토목 최창근(57.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교수) 4변형 민드린 평판요소에서 감차적분과 비적합변이모드의 혼합사용」 복잡한 구조해석에 필요한 첨단 유한요소기법에 관한 연구성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범용 구조해석프로그램을 개발
1996년 2회[3] 장호남(53.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膜 재순환 반응기에서 재조합 대장균의 고농도 배양’을 연구[4][5]
1999년 3회[6] 전기 한송엽 (59.서울대 전기공학부) 「전기기기 최적 형상설계를 위한 설계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
화학 이화영 (61. 서울대 화학공학과) 「헤테로폴리산을 이용한 고분자촉매막반응기및 고분자 혼성필름촉매의 특성연구」
2000년 4회[7] 기계.금속 이재영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교수(공학 분야) 수소때문에 철이 잘 파괴되는가를 규명한 '수소열분석법'발표해 SCI(국제논문색인)가 인정하는 학술지에 총 79회에 걸쳐 인용
화공.생물 김성철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교수 '동시중합방식에 의한 상호침투고분자(IPN)'의 합성에 세계최초로 성공해 항공기 소재와 인공심장 등에 대한 활용가능성
2002년 5회 기계.재료 남수우(62)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교수 새로운 지료강도학 이론을 적용한 최첨단 비열처리형 압출용 알류미늄합금 발명 및 국제공인 합금번호를 국내 최초로 등록한 공로
화학공학[8] 김상돈(57)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삼상유동층 반응기의 열전도 및 물질전달의 각각 상호전달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총체적으로 해석
2004년 6회 전기·전자 현동석 (玄東石ㆍ55ㆍ한양대) 전력장치 및 설비의 대용량화에 필수적인 전력변환시스템을 고압화를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회로구성과 제어기법을 세계 최초로개발
기계·재료 곽병만 (郭柄晩ㆍ59ㆍ한국과학기술원) 최적설계 분야에서 국내외 학계의 선두주자로 골절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는 공학적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한 공로
화공 우성일(禹誠一ㆍ53ㆍ한국과학기술원) 세계 최초로 단일 활성점 유기금속 촉매를규칙적인 나노물질을 섞은 새로운 올레핀 중합 촉매를 창안해 이를 나노복합체, 나노반응기 등 새로운 연구분야에 응용
건축·토목 홍성완(洪性完ㆍ60ㆍ건설기술연구원) 전통적인 터널엔지니어링 기술에 지리정보시스템(GIS),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기법,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등의 가시화 첨단기법을 적용, 온라인으로 터널현장을 실시간 관리시스템을 개발
2006년 7회[9] 전기 한민구(韓民九) :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디스플레이 부분의 연구로 우리나라가 TFT-LCD 산업에서 세계 1위를 하는데 큰 기여
기계 이종원(李鍾元)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회전체 역학 및 진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학자로 이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
섬유 이화섭(李和燮)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료연구부 박사 셀룰로우스 신소재 생산에 관해 세계 정상수준의 연구성과를 이룩했다. 이 연구위원은 연구업적이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
2008년 8회[10] 전자 나정웅(68) KAIST 명예교수 지하 100여m에 있는 직경 2m 크기의 땅굴을 찾을 수 있는 시추공 전자파 레이다를 개발, 휴전선 제4땅굴 발견에 기여
산업 최병규(60) KAIST 교수 기계 가공 및 제조 시스템 운영의 자동화·정보화·지능화
식품 박관화(66) 서울대 명예교수 새로운 탄수화물 효소를 개발해 기능성 천연물의 이용도를 높인 공로
2010년 9회 전기․전자 이광복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 이동통신 분야의 권위자로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의 핵심인 OFDMA(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와 다중안테나 분야의 원천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현재 상용중인 와이브로 시스템과 LTE 시스템의 기본기술로 채택되게 하는 등 산업 발전에 기여
기계․금속․재료 강석중 :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다결정 소재의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세구조가 소재의 제조와 가공 중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규명하여 재료 미세조직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신소재 제조에 응용하는 등 우리나라 재료공학과 산업 발전에 기여
건축․토목 신성우 :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가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달성하는 핵심 기술인 ‘녹색 건축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로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첨단 녹색 건축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건축물, 단지, 도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는 프로그램(SUS-LCA)을 개발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
2012년 10회 컴퓨터.정보 황규영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 이론 및 실용화 기술 연구개발
기계 양동열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3차원 형상의 정밀 정형 가공 기술 혁신 및 이론 개발
환경 안규홍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활성 슬러지(SAM:Sequencing Anoxic/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공법 개발
2014년 11회[11] 통신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세대 CDMA, 3세대 WCDMAㆍcdma2000, 4세대 LTE 이동통신 표준 및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국가기술력을 제고한 공로
재료 이정용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동식물이나 액체를 포함하는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액체전자현미경이라는 분야를 개척한 공로
화공 남인식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학협력연구를 통해 선박용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 기술을 개발한 공로
2016년

12회

전기.전자 문건우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데이터 센터용 전원장치, 무선전력전송, 배터리 관리 시스템, 디스플레이 전원장치의 초고효율 및 초고밀도 기술 개발
2017년

13회

무선통신 이인규 :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다중안테나 방식에 기반한 초고속 통신시스템 연구개발
화학공학 차형준 :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홍합접착단백질 원천혁신소재 개발을 통한 의료접착제 기술사업화
2018년

14회

생명공학 심태보 : KIST 글로벌 혁신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도출 및 기술이전
환경공학 최원용 :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광촉매의 환경에너지 응용기술 개발
2019년

15회

이승재 : 명지대학교 교수 국내 배전자동화 세계 기술 선도 기여. 세계 최초 자동 복구(Self-Healing) 분산형 고장처리 기술개발. 정확도 높은 고장점 표정 기술 개발 및 제품화
하헌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미세먼지의 주된 전구체인 질소산화물의 저온탈질 변환효율을 높이는 탈질촉매 기술개발. 발명된 탈질촉매의 기술이전을 통한 세계 최초 저온 탈질촉매 기술 사용화
2020년

16회

제1군 박부견 : POSTECH 교수 최적화기법 기반의 강인제어 연구
제2군 이영국 : 연세대학교 교수 차세대 자동차용 망간강 개발
2021년

17회

제2군 이태억 : KAIST 교수 반도체 공정 장비의 Controller(스케쥴링 및 제어) 기술 개발
제3군 이태우 : 서울대학교 교수 고효율 유기&유무기 하이브리드 발광 다이오드 개발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