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할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할푼리(한국 한자: 割分厘)는 비율, 그 중에서도 특히 백분율이나 천분율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위로, 일본에서 유래한 방법이다.[1] 일본에서는 할합(일본어: 割合 와리아이[*]) 또는 보합(일본어: 步合 부아이[*])라고 부른다.

10분의 1을 (한국 한자: 割, 일본어: 와리[*])로, 100분의 1을 (한국 한자: 分, 일본어: [*])으로, 1,000분의 1을 (한국 한자: 釐, 일본어: [*])로 나타낸다. 그 이하로 (한국 한자: 毛, 일본어: , 10,000분의 1)와 (한국 한자: 絲, 일본어: , 100,000분의 1)를 쓴다.

예를 들면, 1에 대한 비율 0.345는 “3할 4푼 5리”라고 읽는다.

일본이나 한국에서 야구타율을 나타내는 데에 흔히 사용된다. 예전에는 은행 등 금융기관이나 사채의 이자율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여, “○부 이자(○分利子)” 등으로 말했다.

수와 비율[편집]

할푼리를 작은 수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할(割): (分) = 0.1 = 10-1
  • 푼(分): (釐) = 0.01 = 10-2
  • 리(釐): (毛) = 0.001 = 10-3
  • 모(毛): (絲) = 0.0001 = 10-4
  • 사(絲): (忽) = 0.00001 = 10-5
  • 홀(忽): (微) = 0.000001 = 10-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실제 수는 얼마일까” 《동아일보》, 1996년 3월 23일자 29면.[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할푼리는 비율이다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