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해면상 혈관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면상 혈관종
다른 이름해면종, 대뇌 해면종
Cavernous hemangioma
해면상 간 혈관종의 현미경 사진. (H&E 염색)
진료과종양학, 혈액학, 심장학, 신경외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해면상 혈관종 또는 해면종(cavernous hemangioma 또는 cavernous angioma) 또는 대뇌 해면종(CCM,cerebral cavernoma,뇌에 존재하는 경우)이라고도 하는 해면상 혈관종(CCM)[1][2]은 양성 혈관종 또는 혈관종의 일종으로 확장된 혈관의 집합체가 장애를 보이는 혈관 질환이다. 이 때문에 구멍 또는 동굴을 통하는 혈액 흐름이 느려지는 증상을 보인다. 또한 혈관을 형성하는 세포는 주변 세포와 필요한 접합을 형성하지 않는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평활근의 구조적 지원이 방해되어 주변 조직으로 누출된다. 이 질병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이러한 혈관에서 출혈로 알려진 혈액 누출 및 뇌혈관 기형의 분류에 있어 혈관종을 가리키기도한다.

해면상혈관종[편집]

해면상 혈관종 (海綿狀 血管腫)은 대부분 확장된 혈관에 의하여 이루어진 혈관성 종양이다. 때로는 많은 양의 혈액이 들어 있고, 피부와 피부밑에 생긴다. 또한 내장 특히 간 비장, 췌장에도 생기며, 뇌에도 생길 수 있다. 대부분 어린 나이에 생기는데, 출생 시에는 보통 나타나지 않는다. 표재성인 경우에는 암적색, 깊은 부위의 것은 푸른색을 띤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Awad IA, Polster SP (July 2019). “Cavernous angiomas: deconstructing a neurosurgical disease”. 《Journal of Neurosurgery》 131 (1): 1–13. doi:10.3171/2019.3.JNS181724. PMC 6778695. PMID 31261134. 
  2. Algra A, Rinkel GJ (February 2016). “Prognosis of cerebral cavernomas: on to treatment decisions”. 《The Lancet. Neurology》 15 (2): 129–130. doi:10.1016/S1474-4422(15)00340-3. PMID 26654286. 
  3. (우리말샘) 해면상 혈관종,해면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