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명운
玄明運
동래(東萊) 감리(監理) 겸 정3품 동래 부윤(府尹)
군주 고종 이형

신상정보
출생일 1845년
출생지 한성부(漢城府)
사망일 1902년
배우자 풍기진씨(豐基秦氏) 진계환(秦繼煥)의 딸

본관은 연주(延州). 자는 덕경(德卿). 조선말기-대한제국시대의 관료. 동래(東萊) 감리(監理) 겸 정3품 동래 부윤(府尹)(현 부산광역시장)을 역임하였으며, 종2품 가선대부 (嘉善大夫)를 추서받았다.

가계[편집]

현명운은 1843년 한성부(漢城府)에서, 상통사(上通事), 사역원 판관(司譯院判官)을 지낸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 현학주(玄學周)와, 사과(司果)를 지낸 이정헌(李廷華)의 딸인 정경부인 (貞敬夫人) 전주이씨(全州 李氏)의 3남으로 출생하였다. 그의 조부는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 현한민(玄漢敏)이다. 현명운은 효령대군의 부마이자 조선 중종 때 도승지 및 형조판서를 지낸 현석규(玄錫圭)의 15대손으로서, 그의 8대조부터는 역과에 급제하여 계속 당상관(정3품이상)을 배출하였다.[1] 그의 가문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역관직을 실질적으로 세습하면서 전주 이씨, 남양 홍씨와 함께 가장 많은 역관을 배출하였다.[2]

그는 숭정지추(崇政知樞)였던 풍기진씨(豐基秦氏) 진계환(秦繼煥)의 딸과 결혼하였으며, 대한제국 근대화 및 중립외교의 주역이었고 상해 임시정부 평정관(評定官) 을 지낸 고종의 최측근이자 독립운동가였던 현상건(玄尙健, 1875년-1926년)은 그의 장남이고, 국회의원을 지낸 현정주(玄正柱)는 그의 손자이며, 중국의 저명한 동양화가이자 상하이 농공당(農功黨)의 위원이었던 현채미(玄采薇)는 그의 손녀이다.

현명운 영세불망비(玄明運永世不忘碑): 현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소재

경력[편집]

그는 19세에 1861년 식년시에 역과 한학(漢學)에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여 한학 역관으로 관직을 시작하였으며, 전라남도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거쳐, 동래(東萊)의 왜관을 감독하던 감리(監理) 겸 정3품 동래 부윤(府尹) (현 부산광역시장)으로 부임하여 재직하던 중 1902년 순직하였고, 종2품 가선대부 (嘉善大夫)를 추서받았다. 그를 기리는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가 현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보존되고 있다.

영세불망비에는 "공이 이곳에 부윤이 되어 우리 남방을 다스리셨네/ 백성에게 은혜로워 폐단을 구해 주고/ 학교를 일으키고 육성하기 즐기셨다네/ 정사는 생선 삶듯 조심하셔서/ 사나운 풍속 사라졌네/ 이 조그만 돌이 말해 줄 것이니/ 눈에 새겨 둘지어다[自公尹玆 鎭我南服 惠民捄瘼 興校樂育 政如烹鮮 俗無佩犢 片石堪言 存之於目]”라고 적혀 있다."[3]

또한 그가 재직 중 학교를 흥기시킨 것을 기억하고자 세운 흥학비(興學碑)가 현재 동래구 명륜동 동래 향교앞에 보존되어 있다.[4]

현명운의 친필 서신. 한국국학진흥원보존

그는 재직중 경부철도 건립을 추진하기 위한 '부산토목합자회사 (釜山土木合資會社)'를 비롯해 '한일공업조(韓日工業組)', '경부철도경상회사 (京釜鐵道慶尙會社)'등의 건설회사를 민관 합작으로 설립하여 대한제국의 근대화에 기여하였다.[5]

각주[편집]

  1. 연주현씨 팔수대동보 (延州玄氏八修大同譜)
  2. 김양수, 조선후기의 역관 신분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88.
  3. “부산역사문화대전”. 
  4. “부산역사문화대전”. 
  5. 박상하, 2012. “한국기업성장史<18>종단철도, 열차 기적 울기도 전에 조선기업가가 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