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된 예선이다.

진행 방식[편집]

예선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열렸다. 21개국을 4개 조로 나누어 진행했다. 요르단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지만 예선에 참가했다.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조 추첨은 2017년 1월 21일 요르단 암만에서 실시되었다. 시드 배정은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예선 조 추첨에서는 1개 포트에서 1개 팀씩 배정한다. 단 7개 팀이 속한 포트 5는 2개 팀을 A조에 우선으로 배정하며 1개 팀을 B조, C조, D조에 각각 배정한다. 남은 2개 팀은 자동으로 포트 4로 이동한 뒤에 포트 4 추첨을 실시한다.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끼리는 서로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는다. 이란, 시리아는 팔레스타인을 여행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팔레스타인과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대한민국
태국 태국
베트남 베트남
요르단 요르단

미얀마 미얀마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필리핀

홍콩 홍콩
바레인
레바논 레바논
이란 이란

인도 인도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괌
이라크 이라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싱가포르 싱가포르
시리아 시리아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 ★ 표시된 국가는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을 의미한다.

경기 결과[편집]

A조[편집]

예선 A조의 모든 경기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열렸다.

승점 경기
요르단 요르단 15 5 5 0 0 37 3 +34
필리핀 필리핀 10 5 3 1 1 18 6 +12
바레인 8 5 2 2 1 10 8 +2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7 5 2 1 2 5 11 -6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3 5 1 0 4 3 23 -20
이라크 이라크 0 5 0 0 5 0 22 -22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개최국인 요르단이 예선 A조에서 1위를 기록함에 따라 A조 2위 팀인 필리핀이 본선에 진출했다.

2017년 4월 3일
13:00 UTC+5
바레인 0 – 6 요르단 요르단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40
심판: 레베카 더코 오스트레일리아
제브린 9분에 득점 9′
지바라 22분, 30분, 43분에 득점 22′30′43′
알나베르 86분에 득점 86′
알마스리 90분에 득점 90′

2017년 4월 3일
16:00 UTC+5
이라크 이라크 0 – 1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110
심판: 빤사 차이사닛 태국
할리모바 87분에 득점 87′

2017년 4월 3일
19:00 UTC+5
필리핀 필리핀 4 – 0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40
심판: 마사 고르바니 이란
마다랑 14분, 45+1분에 득점 14′45+1′
나바하 49분에 득점 49′
사라 카스타녜다 54분에 득점 54′

2017년 4월 5일
13:00 UTC+5
필리핀 필리핀 4 – 0 이라크 이라크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50
심판: 안나 시도로바 우즈베키스탄
마다랑 21분에 득점 21′
44분에 득점 44′
사라 카스타녜다 45+1분에 득점 45+1′
돌리노 45+3분에 득점 45+3′

2017년 4월 5일
16:00 UTC+5
바레인 4 – 0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60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알하시미 17분, 20분, 78분에 득점 17′20′78′
알도사리 46분에 득점 46′

2017년 4월 5일
19:00 UTC+5
요르단 요르단 6 – 0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40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지바라 3분, 40분, 77분, 81분에 득점 3′40′77′81′
알나베르 44분, 80분에 득점 44′80′

2017년 4월 7일
13:00 UTC+5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1 – 1 바레인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30
심판: 빤사 차이사닛 태국
자심 50분에 득점 50′ 압둘라만 84분에 득점 84′

2017년 4월 7일
16:00 UTC+5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0 – 8 필리핀 필리핀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120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마다랑 17분에 득점 17′
아니카 카스타녜다 34분, 85분에 득점 34′85′
38분, 59분, 84분에 득점 38′59′84′
사라 카스타녜다 48분에 득점 48′

2017년 4월 7일
19:00 UTC+5
요르단 요르단 10 – 0 이라크 이라크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80
심판: 마사 고르바니 이란
제브린 1분에 득점 1′
알마스리 20분에 득점 20′
알나베르 27분, 61분, 81분에 득점 27′ (페널티골)61′ (페널티골)81′
지바라 45+2분, 65분, 79분, 84분에 득점 45+2′65′79′84′
브리삼 77분에 득점 77′ (자책골)

2017년 4월 10일
13:00 UTC+5
이라크 이라크 0 – 3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30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타헤리 17분에 득점 17′
팔레 78분에 득점 78′
라시드 87분에 득점 87′

2017년 4월 10일
16:00 UTC+5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2 – 10 요르단 요르단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120
심판: 안나 시도로바 우즈베키스탄
이스칸다리 21분에 득점 21′
소트니코바 76분에 득점 76′
알나베르 4분, 63분에 득점 4′ (페널티골)63′
제브린 8분, 15분, 23분, 45+3분에 득점 8′15′23′45+3′
스웨일렘 34분, 45+2분에 득점 34′45+2′
알쿠셰 69분에 득점 69′
알나하르 81분에 득점 81′

2017년 4월 10일
19:00 UTC+5
필리핀 필리핀 1 – 1 바레인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50
심판: 레베카 더코 오스트레일리아
아니카 카스타녜다 82분에 득점 82′ 알도사리 56분에 득점 56′

2017년 4월 12일
13:00 UTC+5
요르단 요르단 5 – 1 필리핀 필리핀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110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알마스리 15분, 48분에 득점 15′48′
지바라 29분, 37분에 득점 29′37′
알나베르 67분에 득점 67′
델 캄포 90+1분에 득점 90+1′

2017년 4월 12일
16:00 UTC+5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1 – 0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200
심판: 레베카 더코 오스트레일리아
라시드 90+3분에 득점 90+3′

2017년 4월 12일
19:00 UTC+5
바레인 4 – 0 이라크 이라크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관중: 30
심판: 안나 시도로바 우즈베키스탄
압둘라만 41분, 71분에 득점 41′71′
알하슈미 31분에 득점 31′
토벨라 80분에 득점 80′ (페널티골)

B조[편집]

예선 B조의 모든 경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서 열렸다.

승점 경기
대한민국 10 4 3 1 0 21 1 +2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 4 3 1 0 18 1 +17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6 4 2 0 2 9 10 -1
인도 인도 3 4 1 0 3 3 25 -22
홍콩 홍콩 0 4 0 0 4 1 15 -14

2017년 4월 3일
15:00 UTC+8: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8 – 0 인도 인도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15,000
심판: 부이티투쩡 베트남
리은영 7분에 득점 7′
리경향 13분에 득점 13′
리향심 20분에 득점 20′
김평화 45+1분, 78분에 득점 45+1′78′
위정심 48분, 64분에 득점 48′64′
승향심 80분에 득점 80′

2017년 4월 3일
18:00 UTC+8:30
홍콩 홍콩 1 – 2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2,500
심판: 케이지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청와이키 80분에 득점 80′ 카라치크 16분에 득점 16′
노지모바 90+4분에 득점 90+4′

2017년 4월 5일
15:00 UTC+8: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 0 홍콩 홍콩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13,500
심판: 아이 테인 미얀마
리은영 12분에 득점 12′
김윤미 28분, 39분에 득점 28′39′
호완퉁 45+1분에 득점 45+1′ (자책골)
최은주 77분에 득점 77′

2017년 4월 5일
18:00 UTC+8:30
인도 인도 0 – 10 대한민국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2,500
심판: 리이치 중화 타이베이
강유미 12분에 득점 12′
이민아 19분에 득점 19′
이금민 29분, 36분, 67분에 득점 29′36′67′
이은미 45+1분에 득점 45+1′
유영아 65분에 득점 65′
지소연 68분, 90+1분에 득점 68′90+1′
이소담 69분에 득점 69′

2017년 4월 7일
15:00 UTC+8:30
대한민국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42,500
심판: 케이지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장슬기 76분에 득점 76′ 승향심 45+3분에 득점 45+3′

2017년 4월 7일
18:00 UTC+8:30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7 – 1 인도 인도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600
심판: 위훙 중국
카라치크 3분, 6분에 득점 3′6′
사리코바 11분, 44분에 득점 11′44′
조이로바 19분에 득점 19′
나르베코바 63분에 득점 63′
투르디보예바 90+2분에 득점 90+2′
발라 데비 22분에 득점 22′

2017년 4월 9일
16:00 UTC+8:30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0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40,400
심판: 부이티투쩡 베트남
김윤미 28분, 90+2분에 득점 28′90+2′
승향심 54분, 65분에 득점 54′65′

2017년 4월 9일
19:00 UTC+8:30
홍콩 홍콩 0 – 6 대한민국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17,000
심판: 리이치 중화 타이베이
조소현 44분, 70분에 득점 44′ (페널티골)70′ (페널티골)
유영아 63분에 득점 63′
권은솜 74분에 득점 74′
이금민 82분에 득점 82′
장슬기 89분에 득점 89′

2017년 4월 11일
15:00 UTC+8:30
인도 인도 2 – 0 홍콩 홍콩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50
심판: 위훙 중국
말리크 68분에 득점 68′ (페널티골)
라탄발라 데비 70분에 득점 70′

2017년 4월 11일
18:00 UTC+8:30
대한민국 4 – 0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 80
심판: 아이 테인 미얀마
유영아 21분에 득점 21′
지소연 23분, 53분에 득점 23′53′
조소현 42분에 득점 42′

C조[편집]

예선 C조의 모든 경기는 팔레스타인 알람에서 열렸다.

승점 경기
태국 태국 6 2 2 0 0 7 0 +7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 2 1 0 1 5 1 +4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0 2 0 0 2 0 11 -11
레바논 레바논 기권
괌 기권

2017년 4월 3일
16:00 UTC+3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0 – 6 태국 태국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 경기장
관중: 500
심판: 케이트 제이스위츠 오스트레일리아
깐차나 7분에 득점 7′
알사라스 19분에 득점 19′ (자책골)
타니깐 26분에 득점 26′
나일드 64분에 득점 64′
온타이 73분에 득점 73′
라띠깐 76분에 득점 76′

2017년 4월 5일
16:00 UTC+3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5 – 0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 경기장
관중: 350
심판: 콩티등 베트남
미셸 파오 2분, 15분에 득점 2′15′
위슈징 6분, 66분, 70분에 득점 6′66′70′

2017년 4월 7일
16:00 UTC+3
태국 태국 1 – 0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 경기장
관중: 120
심판: 케이트 제이스위츠 오스트레일리아
나일드 3분에 득점 3′

D조[편집]

예선 D조의 모든 경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다.

승점 경기
베트남 베트남 12 4 4 0 0 27 1 +26
미얀마 미얀마 9 4 3 0 1 22 2 +20
이란 이란 6 4 2 0 2 19 8 +11
싱가포르 싱가포르 3 4 1 0 3 1 20 -19
시리아 시리아 0 4 0 0 4 0 38 -38

2017년 4월 3일
15:00 UTC+7
이란 이란 0 – 2 미얀마 미얀마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96
심판: 친량 중국
줄리 조 4분에 득점 4′
윈 테잉이 툰 45+3분에 득점 45+3′

2017년 4월 3일
18:00 UTC+7
싱가포르 싱가포르 1 – 0 시리아 시리아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55
심판: 예디타 미라비도바 우즈베키스탄
림리셴 81분에 득점 81′

2017년 4월 5일
15:00 UTC+7
싱가포르 싱가포르 0 – 6 이란 이란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100
심판: 리향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바리 14분에 득점 14′
고미 15분, 52분에 득점 15′52′
가세미 84분에 득점 84′
무리 87분, 90분에 득점 87′90′

2017년 4월 5일
18:00 UTC+7
시리아 시리아 0 – 11 베트남 베트남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300
심판: 미쓰위 중국
응우옌 티 리유 1분에 득점 1′
팜 허이 옌 6분, 24분에 득점 6′24′
응우옌 티 투옛 중 13분에 득점 13′ (페널티골)
응우옌 티 응우옛 17분, 45+1분에 득점 17′45+1′
응우옌 티 호아 20분, 90분에 득점 20′90′
응우옌 티 므언 71분에 득점 71′
응우옌 티 투이 항 76분에 득점 76′

2017년 4월 7일
15:00 UTC+7
미얀마 미얀마 14 – 0 시리아 시리아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56
심판: 마쓰시타 아사카 일본
노 아 로 워 포 7분, 41분, 90+6분에 득점 7′41′90+6′
이 이 우 19분, 45+2분, 76분, 82분에 득점 19′45+2′76′82′
윈 테잉이 툰 25분에 득점 25′ (페널티골)
와이 와이 아웅 67분에 득점 67′
푸 프윈트 카잉 87분에 득점 87′

2017년 4월 7일
18:00 UTC+7
베트남 베트남 8 – 0 싱가포르 싱가포르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300
심판: 예디타 미라비도바 우즈베키스탄
후인느 21분에 득점 21′ (페널티골)
부티늉 36분에 득점 36′
쩐티투이쩡 45+1분에 득점 45+1′
응우옌 티빅투이 67분에 득점 67′ (페널티골)
응우옌 티 응우옛 81분에 득점 81′

2017년 4월 9일
15:00 UTC+7
미얀마 미얀마 6 – 0 싱가포르 싱가포르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55
심판: 미쓰위 중국
흘라 윈 민 22분에 득점 22′
와이 와이 아웅 41분, 76분에 득점 41′76′
윈 테잉이 툰 56분, 85분에 득점 56′85′
이 이 우 72분에 득점 72′

2017년 4월 9일
18:00 UTC+7
이란 이란 1 – 6 베트남 베트남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380
심판: 리향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바리 8분에 득점 8′ 응우옌 티 투옛 둥 15분에 득점 15′
팜 허이 옌 25분, 79분에 득점 25′79′
후인 뉴 61분, 82분에 득점 61′82′
응우옌 티 호아 74분에 득점 74′

2017년 4월 11일
15:00 UTC+7
시리아 시리아 0 – 12 이란 이란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35
심판: 미쓰위 중국
간바리 4분, 35분, 66분, 88분에 득점 4′35′66′88′
조라비니아 13분, 27분, 45+1분, 54분, 87분에 득점 13′27′45+1′54′87′
루즈바한 16분에 득점 16′
파테메 가세미 63분에 득점 63′
고미 90+2분에 득점 90+2′

2017년 4월 11일
18:00 UTC+7
베트남 베트남 2 – 0 미얀마 미얀마 하노이, 베트남 청소년 축구 트레이닝 센터
관중: 750
심판: 친량 중국
응우옌 티 투옛 둥 55분에 득점 55′
후인 뉴 82분에 득점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