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N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H2N2 (A/H2N2)
생물 분류ℹ️
역: 바이러스
계: 리보바이러스계
문: 네가르나바이러스문
강: 인스토바이러스강
목: 아르티쿨라바이러스목
과: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속: 알파인플루엔자바이러스
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H2N2

H2N2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의 아형이다. H2N2는 아시아 독감 균주(현재 야생에서 멸종), H3N2 및 조류에서 발견되는 등 다양한 균주로 변이되었다. 또한 1889년 인류에 대해 범유행을 일으켰다고 의심된다.[1][2] 1889년 러시아 독감의 지리적 확산이 연구되고 발표되었다.[3]

인플루엔자 아형

러시아 독감[편집]

일부 사람들은 1889-1890년 러시아 독감(Russian Flu)이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아형 H2N2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증거는 정확하지 않다. 이는 최초의 인플루엔자 범유행으로 기록되었다.[4]

아시아 독감[편집]

아시아 독감(Asian Flu)은 1956년 초부터 1958년까지 중국에서 시작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의 카테고리 2 인플루엔자 범유행이었다. 일부 논문은 이것이 기존의 인간 균주와 결합한 야생 오리의 돌연변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5] 하지만 다른 논문에서는 확실하지 않다고 기술되었다.[6] 이 바이러스는 구이저우성에서 처음 발견되었다.[7] 그것은 1957년 2월 싱가포르로 퍼져 나갔고[8] 4월에는 홍콩에, 6월에는 미국에 전파되었다. 미국의 사망자 수는 약 69,800명이다. 이 유행성 전염병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 추정치는 출처에 따라 크게 다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약 2백 만명을 지정하면서 백 만명에서 4백 만명사이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아시아 독감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아형 H2N2(바이러스에서 헤마글루티닌뉴라미니데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기법)이며 1957년에 인플루엔자 백신이 개발되었다.

이후 아시아 독감 균주는 H3N2로의 항원이동을 통해 1968년에서 1969년 사이에 유행이 있었다.[9]

H2N2 및 H3N2 유행성 균주 모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세그먼트를 함유하였다.

검사 키트[편집]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까지 1957 H2N2 바이러스의 약 3,700개의 검사 키트가 미국 병리 전문 학교 (CAP)에서 우연히 전 세계로 퍼졌다. CAP는 미확인 바이러스 샘플을 제공하여 실험실의 정확성을 지원했다. 미국 신시내티에 있는 민간 계약자인 Meridian Bioscience는 덜 치명적인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대신 1957 균주를 선택했다.[10] 1957 H2N2 바이러스는 치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미국 정부는 균주가 포함된 바이알을 파괴할 것을 촉구했다.

각주[편집]

  1. Hilleman, Maurice R. (2002). “Realities and enigmas of human viral influenza: pathogenesis, epidemiology and control”. 《Vaccine》 20 (25–26): 3068–3087. doi:10.1016/S0264-410X(02)00254-2. PMID 12163258. 
  2. “The Influenza H5N1 Report”. 《Pliva.com》. 1998년 4월 2일. 2004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Alexis Madrigal (2010년 4월 26일). “1889 Pandemic Didn't Need Planes to Circle Globe in 4 Months”. 《Wired》 (Wired Science). 2010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4. “Encarta on influenza”. 2009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20일에 확인함. 
  5. Green, Jeffrey (2006). 《The Bird Flu Pandemic》. St. Martin's Griffin. ISBN 0312360568. 
  6. Belshe, Robert B. (2005년 11월 24일). “The Origins of Pandemic Influenza — Lessons from the 1918 Viru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영어) 353 (21): 2209–2211. doi:10.1056/NEJMp058281. ISSN 0028-4793. PMID 16306515. 
  7. Goldsmith, Connie (2007). 《Influenza : the next pandemic?》. Minneapolis, MN: Twenty-First Century Books. ISBN 978-0-7613-9457-0. OCLC 61278561. 
  8. Bud, Robert (January 2007). “Germ Warfare”. 《History Today》 57 (1). 2020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2일에 확인함. 
  9. Starling, Arthur E. (2006). 《Plague, SARS, and the story of medicine in Hong Kong》. Hong Kong Museum of Medical Sciences Society.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ISBN 978-962-209-805-3. OCLC 68909495. 
  10. Roos, Robert (2005년 4월 13일). “Vendor thought H2N2 virus was safe, officials say”. 《CIDRAP》. 2019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