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해킹방어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ISA 해킹방어대회는 매년 대한민국의 중·고·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서 개최하는 대회이다. 2004년 제1회 해킹방어대회가 처음 열렸다. 해킹방어대회라는 이름에 걸맞게 주로 보안 취약점을 찾아 해결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하지만 2008년도부터 CTF(Capture The Flag) 대회방식의 도입으로 방어 능력뿐만 아니라 공격 능력도 함께 평가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11회까지 개최되었다.

대회 방식[편집]

KISA 해킹방어대회는 예선과 본선, 두 개의 대회로 나누어 진행된다. 또한, 본선에참가하지 못한 해커들을 위하여 본선경기당일 해당 경기장에서 이벤트성 번외경기도 펼쳐진다.

예선[편집]

예선 대회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만큼 웹 해킹 기법과 관련한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이외에 악성코드 분석, 리버스 엔지니어링, 스마트폰 해킹 등의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예선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이 본선에 진출할 수 있다.

본선[편집]

본선 대회는 일정한 대회 장소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본선 대회에는 침해사고(크래킹) 분석 및 대응, 취약한 시스템 패치, 악성코드 찾기 등 해킹방어와 관련한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시상 금액 및 상품 내역[편집]

2013년에 개최한 제10회 해킹방어대회를 기준으로 시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대상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1팀 상금 1000만원)
  • 금상 : 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2팀, 상금 400만원)
  • 은상 : 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2팀, 상금 200만원)

역대 대회 수상팀 목록[편집]

다음은 역대 대회 수상팀의 목록을 나열한 것이다. (은상까지만 기재)

2004년 (1회)[편집]

  • 대 상 : KR@C (박규태, 박영호, 김경곤)
  • 우수상 : NULL 팀
  • 우수상 : Hantor 팀 (이승우, 이성환)
  • 특별상 : Lapios 팀

2005년 (2회)[편집]

2006년 (3회)[편집]

[1][2][3]

2007년 (4회)[편집]

[4]

2008년 (5회)[편집]

[5][6]

2009년 (6회)[편집]

2010년 (7회)[편집]

  • 대상 : Youm0x27s0x20Student(김태형, 최상명, 하동주, 최현우)
  • 금상 : 20101118의 (조휘철, 유주완, 이정훈), Core2Quad(김지한, 현종석, 김태완, 박민하)
  • 은상 : NoSmoking(박종섭, 심준보, 김호빈), ReverseLab(김민상, 주용식, 정대근, 구대훈)

2011년 (8회)[편집]

2012년 (9회)[편집]

2013년 (10회)[편집]

  • 대상 : 설이(이종호, 박종섭, 이정훈, 고기완)
  • 금상 : CodeRed(강인욱, 김희중, 임정원, 최규범), 진격의해커(최상명, 한승연, 김태형, 하동주)
  • 은상 : B10S, GoN

2014년 (11회)[편집]

2015년 (12회)[편집]

각주[편집]

  1. 해킹방어대회 대상, 'rootShell팀' Archived 2007년 2월 10일 - 웨이백 머신 - 머니투데이, 2006/06/13
  2. 제3회 해킹방어대회 폐막[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데일리, 2006/06/13
  3. 제3회 해킹방어대회 수상자 발표 - 디지털데일리, 2006/06/13
  4. 정통부, 정보보호 표어포스터ㆍ해킹방어대회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디지털타임스, 2007/06/26
  5. 해커 무림 고수를 가린다…제 5회 해킹방어대회 결선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디지털타임스, 2008/05/13
  6. "당신의 정보보호 마침표가 없습니다"<정보보호 표어 대상> - 연합뉴스, 2008/06/2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