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군 (1948년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포군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김포군·강화군
영등포구 갑

김포군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기도 김포군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포시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김포군 양동면·양서면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 이에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은 영등포구 갑 선거구로 편입되었으며 나머지 지역들은 강화군과 함께 김포군·강화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정준
1950년 무소속 이교승
1954년 무소속 정준
1958년 무소속
1960년 무소속
1961년 민주당 허길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김포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정준 무소속 13,002표
42.27%
당선
이장화 무소속 8,874표
28.85%
정장해 조선민족청년단 4,779표
15.53%
임성구 무소속 3,215표
10.45%
오봉환 무소속 885표
2.87%
합계 30,755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김포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교승 무소속 13,356표
40.03%
당선
정준 무소속 8,392표
25.15%
김송묵 대한국민당 3,441표
10.31%
심하택 무소속 2,089표
6.26%
심현대 무소속 1,895표
5.68%
임성구 무소속 1,149표
3.44%
김춘원 무소속 821표
2.46%
문광일 무소속 821표
2.46%
최병학 무소속 727표
2.17%
서장 무소속 667표
1.99%
합계 33,358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김포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정준 무소속 21,828표
60.42%
당선
배용문 자유당 11,838표
32.77%
최종호 무소속 1,715표
4.74%
임성구 무소속 742표
2.05%
합계 36,123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김포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정준 무소속 17,844표
44.95%
당선
문창모 자유당 15,342표
38.65%
허길 민주당 6,504표
16.38%
합계 39,690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김포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정준 무소속 15,803표
38.02%
당선
허길 민주당 8,313표
20.00%
심기섭 무소속 7,511표
18.07%
김두섭 민주당 4,614표
11.10%
유찬우 한국독립당 2,509표
6.03%
김상구 무소속 1,187표
2.85%
남기영 무소속 1,152표
2.77%
안병덕 사회대중당 469표
1.12%
합계 41,558표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편집]

정준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허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