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순서
기본 정보
거주지서울특별시 양천구
학력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조지아 대학교 방문연구원
종교기독교
배우자있음
활동 정보
소속KBS
상훈한국기자상
한국방송기자상
이달의 방송기자상
삼성언론상
이달의 기자상

박순서(?~)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사회 비평 저술가이다.

생애[편집]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KBS 기자로 입사하였다.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방문연구원 자격으로 데이터저널리즘을 연구했다.현재 KBS 제작본부 프로덕션 2 시사데스크에서 매주 화요일 밤 10시 KBS 1TV를 통해 방송되는 시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시사기획 창'[1]과 특집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다. 저서로는《공부하는 기계들이 온다 /도서출판 북스톤》와[2] 《빅 데이터, 세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 /레디셋고》[3]가 있다.

경력[편집]

대형 구조물 운송 업체의 불법을 고발한 《심야의 무법자》, 한국 사회의 양극화와 기회 불평등 문제를 분석한 《승자독식의 자화상》[4], KTX 탈선 원인과 코레일의 안전 불감증을 고발한 《자갈 위를 달린 KTX》[5], 부산 김해공항에 추락한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 생존자들의 10년 간의 고통과 트라우마를 다룬 《CA 129, 끝나지 않은 탈출》[6]을 제작했다. 빅데이터 관련 작품으로는 《빅 데이터, 세상을 바꾸다》[7]와 《빅 데이터, 비즈니스를 바꾸다》[8]가 있다. 2015년에는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한국사회의 변화와 성찰을 촉구한 《세월호 1년, 우리는 달라졌나》[9], 그리고 다가오는 로봇혁명이 가져올 미래 일자리 감소와 교육 패러다임의 지각변동을 다룬 《로봇혁명, 미래를 바꾸다》[10]를 제작했다. 또 광복 70주년 특집 2부작 '미래 100년, 유라시아를 가다' 《1편, 新실크로드 철도대전》[11]과 《2편, 하나의 대륙, 유라시아를 잡아라》[12]를 제작했다. 2016년에는 한국인들에게‘삶의 자리’로서 참된 집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되돌아본 KBS 시사기획 창 《살(買)것인가, 살(居)것인가》[13]와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 발전의 가장 큰 원인인‘딥러닝’이 불러올 예측불허의 지각변동과 사회변화의 방향을 담은 특집 다큐멘터리 '기계와의 대결 2부작 《1편, 차車 인간을 넘다》[14]와 《2편, 대결은 끝나지 않았다》[15]를 제작했다.

인간과 재난[편집]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 심리와 행동을 다룬 《인간과 재난》[16]을 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형 재난 시 인간 행동과 피난심리, 탈출 실험 사례 등을 소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형 재난이나 위기 앞에서 인간의 탈출을 돕지 못하는 대피 및 구조 매뉴얼은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인지과정과 의사결정, 피난 행동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와 접근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재난대응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검토, 재설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수상[편집]

‘한국기자상’ , ‘한국방송기자상’[17] ‘삼성언론상’[18], ‘이달의 기자상’, ‘이달의 방송기자상’, ‘KBS 우수 프로그램상’ 등을 수상했다.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