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주군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성주군·칠곡군

성주군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북도 성주군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칠곡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성주군·칠곡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이호석
1950년 무소속 배상연
1954년 자유당 도진희
1958년 자유당 주병환
1960년 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호석 무소속 24,400표
63.13%
당선
이낙균 대동청년단 12,823표
33.18%
이동화 무소속 1,422표
3.67%
합계 38,645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배상연 무소속 4,916표
11.93%
당선
정진용 무소속 4,687표
11.37%
이영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610표
11.19%
최성장 무소속 4,351표
10.56%
이인순 무소속 3,160표
7.67%
이한주 무소속 2,563표
6.22%
송태섭 무소속 2,367표
5.74%
박해석 무소속 1,998표
4.85%
여연길 무소속 1,785표
4.33%
도경기 무소속 1,699표
4.12%
백남규 민주국민당 1,452표
3.52%
이동화 무소속 1,425표
3.45%
서칠봉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88표
3.36%
이호석 미상 1,340표
3.25%
석태영 무소속 1,249표
3.03%
장진영 무소속 906표
2.19%
이기인 무소속 834표
2.02%
이원득 무소속 463표
1.12%
합계 41,193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도진희 자유당 11,131표
28.43%
당선
이영균 자유당 9,960표
25.44%
주병환 무소속 6,708표
17.13%
이호석 무소속 6,451표
16.48%
배상연 무소속 4,000표
10.21%
이기면 무소속 889표
2.27%
합계 39,139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주병환 자유당 23,496표
55.92%
당선
이민석 자유당 12,795표
30.45%
최성장 무소속 3,283표
7.81%
도정환 무소속 2,439표
5.80%
신동욱 자유당 0표
0%
합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주병환 민주당 15,550표
36.54%
당선
이규동 무소속 10,746표
25.25%
김대훈 무소속 9,911표
23.29%
배의석 무소속 4,369표
10.26%
김갑임 사회대중당 1,970표
4.63%
합계 42,546표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