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오마이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오마이아
화석 범위:
125백만년 전
에오마이아(Eomaia)의 복원도
에오마이아(Eomaia)의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상강: 사지상강
강: 포유강
속: †에오마이아속
종: †에오마이아 스캔소리아
모식종
†Eomaia scansoria
Ji et al., 2002

에오마이아(Eomaia)는 중국 요령성 이시안층(Yixian Formation)의 암석에서 발견되어 약 1억 2500만 년 전 백악기 중기에 살았던 멸종포유류이다.[1] 화석의 길이는 10cm이며 보존율이 높다고 평가된다. 무게는 20~25g으로 추정된다. 에오마이아의 화석은 으깨져 있는 두개골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부분이 보존되었다.[1]

특징[편집]

에오마이아의 화석은 의 흔적이 선명히 보존되었다. 그러나 볼라티코테리움(Volaticotherium)[2]의 화석과 약 1억 6천 4백만 년 전의 암석에서 발견된 도코돈트류(Docodonta)나 카스토로카우다(Castrocauda)에게도 털의 흔적이 있기 때문에 포유류 계통의 털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아니다.[3]

에오마이아는 유대류가 포함되는 후수류태반류가 포함되는 진수류 사이의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는 정강뼈 바닥에 확대된 복사뼈[1]가 포함된다. 제1 중족골과 발의 내측 설형골 사이의 관절은 제2 중족골과 중간 설형골 사이의 관절보다 더 뒤로 빠져 있을 뿐만 아니라,[1] 턱과 치아의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Ji, Qiang; Luo, Zhe-Xi; Yuan, Chong-Xi; Wible, John R.; Zhang, Jian-Ping; Georgi, Justin A. (2002년 4월). “The earliest known eutherian mammal”. 《Nature》 (영어) 416 (6883): 816–822. doi:10.1038/416816a. ISSN 1476-4687. 
  2. Meng, Jin; Hu, Yaoming; Wang, Yuanqing; Wang, Xiaolin; Li, Chuankui (2006년 12월). “A Mesozoic gliding mammal from northeastern China”. 《Nature》 (영어) 444 (7121): 889–893. doi:10.1038/nature05234. ISSN 1476-4687. 
  3. Ji, Qiang; Luo, Zhe-Xi; Yuan, Chong-Xi; Tabrum, Alan R. (2006년 2월 24일). “A Swimming Mammaliaform from the Middle Jurassic and Ecomorphological Diversification of Early Mammals”. 《Science》 (영어) 311 (5764): 1123–1127. doi:10.1126/science.1123026. ISSN 0036-8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