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곡어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완곡법(婉曲法)은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불쾌하거나 직접적인 상황을 표현하지 않고 덜 공격적이고 동의할만한 표현을 사용하는 표현법을 의미한다.[1] 비슷한 표현들의 예시는 완곡어구, 완곡어법, 유피미즘(euphemism)이다.

예시[편집]

  • 영어: die('죽다')의 완곡한 표현은 pass away다.
  • 한국어: '똥을 누다'의 완곡한 표현은 '뒤보다'다.
  • 중국어: '(다른 사람이) 병나다'의 완곡한 표현은 '违和'다.
  • 독일어: 'sehr gut(뜻: 매우 좋은)'의 완곡한 표현은 'nicht übel(뜻: 나쁘지 않은)'이다.
  • 프랑스어: 'emmerder(뜻: 성가시게 하다, 귀찮게 하다)'의 완곡한 표현은 'emmieller(뜻: 귀찮게 하다[구어])'다.
  • 네덜란드어: 'duivel(뜻: 악마)'의 완곡한 표현은 "koe'koek"다.
  • 하우사어: '독사처럼 보이는 뱀'의 완곡한 표현은 'igiyàr̃-ƙasà'다.

용어[편집]

유피미즘(euphemism)이라는 용어는 "좋게 말하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ευφημία(유피미아)에서 온 것이다. 그리스어의 어근 유(ευ, 좋다) + 피미(φήμι, 말하기)의 합성어에서 비롯한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완곡어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