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이집트 신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집트 신화

답변 adidas님이 제가 기존 *로 했던 것을 #로 바꾸신 거라.. 제가 할말이 없습니다 (__) 아디다스님이 ㄱㄴㄷ 순으로, abc순으로 정렬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9일 (토) 20:55 (KST)[답변]
예완료 *로 고쳤습니다. (가나다라, 알파벳순은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9일 (토) 23:54 (KST)[답변]
  • 찬성 문서의 품질이 좀 우수한다고 여겨집니다. 알찬 글 선정하기에 적절합니다. ^^ --지식왕자 (토론) 2010년 1월 9일 (토) 22:49 (KST)[답변]
  • 의견 우선 마크가 호루스의 눈인데, 그 문서가 있으면 더욱 좋을 것 같군요. 그리고 맨 밑의 틀에 보면 이집트의 종교 범주에 속하는데, 그에 대한 이해가 아직 덜 됐습니다.(저의 경우에는) 그리고 이집트 신화 라는 표제어 보다는 이집트의 신화가 더 낫지 않나요? 어떠한 나라의 무엇을 표제어로 할시에는 대부분 '나라의 무엇' 이렇게 하는 것으로 압니다. 이집트 신화라고 예외는 없다고 봅니다.--NuvieK (토론 · 기여) 2010년 1월 9일 (토) 23:15 (KST)[답변]
답변 '호루스의 눈'은 호루스 글을 채울 때 다루어볼 예정입니다만, 조만간 시간 날때 만들어 보겠습니다. 신화와 종교의 차이는 신화글을에 설명되어있습니다. 이집트 신화는 과거 실질적 종교로써 작용한 것이기 때문에, '고대이집트'문단에서는 '종교'로 표기되고 현재에서는 '신화'로 표기되는 것이지요. '이집트 신화'는 이집트의 '신화'를 부르는 명칭(일종의 교유명사)입니다. 관용적으로도 여태 그렇게 쓰여왔구요. 그리스 신화도 마찬가지의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9일 (토) 23:39 (KST)[답변]
예호루스의 눈 완료 호루스의 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5일 (금) 02:39 (KST)[답변]
답변 아직 신화에 포함되는 글들이 상당히 부족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위키프로젝트:신화에도 참여자들이 별로 적극적이지 않구요. 위에 누비에크 님에게 달았던 덧글과 유사한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역시 아무쪼록 토막글이나마 계속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이집트 신화글이 알찬글이 되서도 계속되는 작업입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5일 (금) 01:37 (KST)[답변]
알찬 글 선정 기준에도 포함되는 내용이죠. 오히려 토막글 문서라도 말씀하시면 독자들이 이해하기 더 쉬울 것입니다. 만드는데 번거로우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15일 (금) 08:39 (KST)[답변]
답변 토막글이라도 계속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기여수도 척척 올라가고 있군요 ^_^;;; 다만 이미 알찬글로 등록된 진화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가 매우 많지 않습니까? 오른쪽 틀도 보면 진화틀은 약 21.62%가 없는 링크로 뜨고 이집트신화틀은 약 22.91%가 없는 링크로 뜹니다. 그러니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가 많다고 하여 알찬글로 뽑히지 못하는데에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5일 (금) 22:20 (KST)[답변]
토트님의 의견, 특히 다만 이미 알찬글로 등록된 진화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가 매우 많지 않습니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동의합니다. 하지만, 우선 신화에 대해 하나도 모르는 저의 입장에서 보는 측면도 고려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런 현상은 저를 비롯한 해당 지식에 무지한 사람들한테도 포함되는 사항입니다. 알찬글이라고 한다면 모름지기 해당 문서를 보고 새로운 깨달음을 알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빨간색 문서 채우기는 배경 지식을 어느정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기에 이런 부탁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어쏭™ (토론) 2010년 1월 16일 (토) 00:50 (KST)[답변]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가 문서대비 몇%인지 어디서 알 수 있나요?죽자사자 (토론) (기여) 2010년 1월 16일 (토) 00:53 (KST)[답변]
답변 다만 이미 알찬글로 등록된 진화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가 매우 많지 않습니까?는 윤성현님 글에 대한 대답입니다 ^_^;; 문단상 이해할 수 없을 만한 부분은 제가 이미 링크를 다 채웠습니다만, 문단상 이해할 수 있는 단어는 아직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몇몇 단어는 저보단 미술사나 현대 종교사에 관심이 있으신분이 채울만한 두개 링크도 못채웠구요. 하지만 중요한 링크는 채웠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무튼 계속해서 채워나가고 있는 부분입니다. 아직 다 못채웠기에.. '예완료 덧글'도 못붙이고 있던거구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3:02 (KST)[답변]
답변 문서전체 퍼센트를 구한게 아니라.. 문서 머릿글 오른쪽에 있는 틀 전체 링크의 수 비율 대 빨간 링크의 수 퍼센트를 구한것입니다.. (수작업이죠)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3:02 (KST)[답변]

경험상으론 저도 알찬 글을 몇 개 만들어봤지만 알찬 글은 하나만 만드는 게 아닙니다. 토막글이라도 만들어 이 링크가 알찬 글 문서와 어떠한 상관이 있나 하는 것입니다. 진화가 알찬 글이 되기 전까지만 해도, 링크에 대해 많은 신경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링크 살리기"는 현재 선정 기준 중 하나이고 대체적으로 상관이 있는 문서를 만드시면 독자들은 이해하기 쉬워서 좋고, 만든 사람은 그쪽 분야를 개척해서 더욱 완전한 알찬 글이 될테니 더 좋지 않으련지요? 어찌되었든 다른 문서들도 만드시느라 수고가 많으십니다. ^^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16일 (토) 05:46 (KST)[답변]

답변예부분 완료가장 최근에 올라간 요하네스 케플러글도 빨간 링크가 수두록하지요.. 링크체우기에 대한 선정 기준은 2009년 4월 이전부터 쓰여져있던데,, 요하네스 케플러는 2009년 말에 선정됬죠.. 아무튼 현재 텍스트 자체에는 빨간 링크가 없어졌고, 틀에 있는 몇개만 채우면 끝납니다. 기존 타 알찬 글들에 비하여 빨간 링크 채우느라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데, 왜 링크가 몇개가 텅텅 비었느니, 그런 연유로 알찬글엔 반대라고 말하면 제가 납득하기 힘듭니다. 더군다나 사람도 부족한 신화프로젝트에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8:08 (KST)[답변]
물론 그렇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선 여전히 알찬 글을 제작하셨던 분들이 그동안 빨간 링크가 없어도 문서만 좋으면 안되나? 라는 식으로 말씀을 자주 하시더군요. 물론 저는 텅텅 비었다해서 반대나 찬성은 아직 하지도 않았습니다만... 단순히 빨간 링크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문서에 대해 제대로 검증하지 않는 분들도 계신데, 효율적인 의견을 내주시기 바랍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16일 (토) 08:24 (KST)[답변]
답변 그럼 좋은 선례를 만들어야겠군요 모든 링크를 채워보겠습니다. 그럼 그 이후 알찬글 선정에서도 빨간 링크 0%가 기준이 될것입니다. 그런데 좀 도와주실 수는 없는지? +_+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8:30 (KST)[답변]
굳이 그러실 것 까지야... 저는 적어봐야 빨간 링크가 15% 이내면 괜찮다 여겨서요, 그리고 제가 이집트 신화 책은 읽었어도, 그리스 신들처럼 이름을 달달 외우지는 못해서...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16일 (토) 08:32 (KST)[답변]
필레네페르타리는 신화부분이 아니라.. 지리와 인물 부분이라서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8:33 (KST)[답변]
태양의 돛단배는요? 본문엔 저게 유일하던데.. 근데 네페르타리는 왕비 아닌가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16일 (토) 08:34 (KST)[답변]
네 왕비이지요.. 그러니 신화와 관계없는.. '태양의 돛단배'를 새로 제작하였습니다. 노트북 각도에 따라서.. 색상이 다르게 보이다 보니 미쳐 발견을 못했었네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8:49 (KST)[답변]

많은 수고하시네요. 가급적이면 저도 돕고 싶습니다만 겹칠까봐(사실 귀찮아서) 생성이 힘드네요. 맡기실 부분 있으면 영어판에서 번역할 수 있는 한 해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찬성입니다.--NuvieK (토론 · 기여) 2010년 1월 16일 (토) 08:59 (KST)[답변]

지금 기준으로 빨간 링크가 딱 11개 남았습니다. 그러니 꼭 않도와주셔도 될 것 같아요 ^_^.. 하지만 혹시 종교쪽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신이교주의 글을 채워보심은 어떨까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16일 (토) 09:02 (KST)[답변]
예완료 수정하였습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월 22일 (금) 01:36 (KST)[답변]
찬성 우왕ㅋ굿ㅋ--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eedors52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다고 사료되며 잘 서술하고 있다 생각하기에 60번째 알찬 글로 선정합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24일 (일) 04:5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