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영 (독립운동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석영
신상정보
출생1855년 12월 3일(1855-12-03)
사망1934년 2월 16일(1934-02-16)(78세)
국적조선대한제국
활동 정보
관련 활동독립운동

이석영(李石榮, 1855년 12월 3일~1934년 2월 16일)은 한국독립운동가이다.

생애[편집]

1855년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본이 나라를 빼앗자 이석영은 자신의 농토를 팔아 망명 생활비를 마련하여 형제들하고 같이 만주로 망명하였으며, 경학사·신흥무관학교의 창설 운영자금으로 헌신하였다. 독립운동 자금 등으로 재산을 다 쓴 이후 이석영은 중국 각지를 홀로 떠돌아다녔다. 1934년 중국 상하이에서 8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 동아일보 1934년 2월 28일자 기사. 이석영의 장남인 이규준(1899 ~ 1927)도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일제의 밀정인 김달하 등을 암살하고 한커우(漢口)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29세의 나이로 암살당해 사망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기타[편집]

  • 아들 이규준(1899 ~ 1927[3])역시 독립운동가였다. 그는 일제의 밀정인 김달하를 암살하기도 했다.[3]

다른 아들인 이규서는 숙부인 이회영을 일본경찰에 밀고하여 체포당하게 했다.[3] 이규서는 1932년 10월 이달(李達) 등과 함께 밀고자로 지목되어 오던 연충열(延忠烈) 등 2명과 함께 백정기에게 암살당한다.

  • 김홍집 가문 역시 그의 인척으로 동생 이시영의 첫 부인의 친정아버지였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석영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