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일봉
최고점
고도1,793 m (5,883 ft)
지리
정일봉은(는) 북한 안에 위치해 있다
정일봉
정일봉
부모 산맥장백산맥

정일봉(正日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밀영로동자구에 있는 백두산의 일부인 산이다. 1988년 장수봉(將帥峯)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어원은 김정일의 출생지라 하여 붙여졌다.

자연[편집]

해발 1,793 m이다. 백두산 화산 폭발 이전의 식생이 보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품에서의 정일봉[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서는 정일봉을 우상화하는 여러 작품을 만들었다. 문학 작품으로는 오영재가 쓴 《인민의 아들》 6장[1], 전병구의 1989년 작품인 《아, 정일봉이여》[2]이 있으며, 노래로는 보천보전자악단의 《빛나라 정일봉》과 《정일봉의 봄맞이》, 왕재산경음악단의 《정일봉의 우뢰소리》 등이 있다.

현재[편집]

정일봉 절벽에는 안에 정일봉이라는 붉은 글자가 새겨진 화강암 석판이 세개가 붙어있다. 그 판의 무게가 100 t이 넘는다. 2013년 2월 핵실험의 여파로 글자가 떨어질지도 모른다고 한다.[3]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