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향교

죽산향교
(竹山鄕校)
대한민국 경기도문화재자료
죽산향교 외삼문
종목문화재자료 제26호
(1983년 9월 19일 지정)
수량일곽
시대조선 시대
위치
죽산향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죽산향교
죽산향교
죽산향교(대한민국)
주소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314번지
좌표북위 37° 4′ 56″ 동경 127° 25′ 25″ / 북위 37.08222° 동경 127.42361°  / 37.08222; 127.4236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죽산향교(竹山鄕校)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향교이다. 1983년 9월 19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죽산향교는 조선 중종 28년(1533)에 처음 지었으나, 그 이후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최근에 담장을 새로 지었고 외삼문을 복원하였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공자 등 성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짜맞춘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동무와 서무는 각각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를 갖추고 있다. 대성전과 달리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화려한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