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 (1948년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안군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진안군·장수군·무주군

진안군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전라북도 진안군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수군, 무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오기열
1950년 대한국민당 김준희
1954년 자유당 이복성
1954년 자유당 박정근
1958년 무소속 이옥동
1960년 무소속 전휴상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편집]

전라북도 진안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오기열 무소속 10,218표
33.76%
당선
김준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9,546표
31.54%
김승국 무소속 6,641표
21.94%
김병기 무소속 3,859표
12.75%
합계 30,264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전라북도 진안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준희 대한국민당 3,951표
13.59%
당선
이복성 대한국민당 3,275표
11.26%
허홍석 무소속 2,716표
9.34%
김준열 무소속 2,499표
8.59%
박동직 대한독립촉성국민회 2,401표
8.26%
고영정 무소속 2,087표
7.18%
김병직 무소속 1,761표
6.05%
오기열 무소속 1,729표
5.94%
황태욱 무소속 1,594표
5.48%
허석철 무소속 1,475표
5.07%
김계택 무소속 1,184표
4.07%
이용현 무소속 1,163표
4.00%
박노귀 무소속 1,027표
3.53%
오래열 무소속 880표
3.02%
전종열 무소속 761표
2.61%
김경태 무소속 557표
1.91%
합계 29,060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전라북도 진안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복성 자유당 12,068표
40.56%
당선
고영추 무소속 4,802표
16.14%
김재영 무소속 4,365표
14.67%
김태주 무소속 2,909표
9.77%
송재열 무소속 2,524표
8.48%
이희종 무소속 1,119표
3.76%
오재화 무소속 1,035표
3.47%
김숙현 무소속 930표
3.12%
김준희 무소속 0표
0%
정병희 무소속 0표
0%
양황현 무소속 0표
0%
합계

195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편집]

이복성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박정근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전라북도 진안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옥동 무소속 17,152표
52.37%
당선
고영추 자유당 15,596표
47.62%
합계 32,748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전라북도 진안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전휴상 무소속 6,590표
18.94%
당선
박동식 무소속 5,902표
16.96%
이희종 민주당 4,886표
14.04%
전태주 무소속 4,532표
13.03%
안일 무소속 4,167표
11.98%
고주상 무소속 3,897표
11.20%
김재영 무소속 3,336표
9.59%
오재천 무소속 1,470표
4.22%
합계 34,780표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