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윤서인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2년 전 (Tilden P.님) - 주제: 극우

비판[편집]

충분한 참조/출처를 갖고 있는 비판에 대해서는 기록해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비판 문단에 대해서는 선례도 있고요. 물론 중립적인 관점을 지켜야 겠지요.

비판이 중립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을까요. 참고와 출처 역시 논점에 따라 입맛에 맞게 고를수 있죠. 팬과 안티팬이 공존하는 경우엔 기록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218.38.81.210 (토론) 2010년 1월 17일 (일) 23:58 (KST)답변

날조와 왜곡이 없다면, 팬과 안티팬이 공존하더라도 비판에 대해서는 기록해도 될 듯 싶습니다만. 정치인들의 문서도 비판내용이 있듯.

근거 없는 내용을 수정했습니다[편집]

근거 없는 내용 추가에 이어서 외부에서 언급된 후에 또 근거 없는 내용 추가가 있어 모두 바로잡았습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11년 12월 31일 (토) 21:44 (KST)답변

윤서인 프로필 관련 문의[편집]

대만 출신 한국 귀화 화교 후손으로 휘문중고교와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했다. 네오위즈와 대만계 인맥으로 네오위즈와 야후!코리아에 취업 10여년간 근무하였으며 현재 프리랜서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이다. 포털사이트 야후!코리아와 데일리노컷뉴스에 생활웹툰《조이라이드》를 매일 연재중이며《일본박사 조이》한국판과 일본판을 발행하였다. 복잡한 성장 정체성 탓인지, 일본을 특히 동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부분은 전혀 사실과 다르지 않습니다만 윤서인 본인이 wiki에 출몰해서 지우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wiki에 등재되어야 한다고 봐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Whayobi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관인생략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그런데 화교출신인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일본 국적 취득 이후는 일본인 만화가로 분류해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우리나라에서 각 부모의 국적 문제 등 특수 사유없이는 이중국적을 기본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현재 윤서인의 프포필을 일본의 만화가로 수정해야 하는게 맞지 않습니까?

윤서인 대만화교는 루머인것 같네요[편집]

네이버에도 서울 출신으로 되어 있고요, 출생 문제에 관해서는 수정이 되는게 맞지만 본인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단 것만으로 텍스트를 삭제하는 것은 제재가 가해져야 한다고 봅니다--Morning147 (토론) 2012년 5월 20일 (일) 22:15 (KST)답변

문서 편집을 보호해야하는 것은 아닌지[편집]

문서에 대한 반달 행위가 심각한데 이거 편집 못하게 막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Loveyuikr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07:58 (KST)답변

편집 분쟁에 관해[편집]

근거가 없는 부분은 위키백과의 정책에 의해 당연히 삭제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근거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개인의 관점에서 삭제해선 안 됩니다. 일단 관점에 대한 논란이 있으므로 중립성 틀을 붙여두었습니다. 문서 내용에 대해 삭제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삭제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이며,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주세요. 편집 분쟁이 계속될 것을 예상하여 문서 관리 요청에 보호 요청을 하겠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09:23 (KST)답변

"위키백과 내용삭제 논란" 문단은 삭제합니다.[편집]

본인 트위터와 위키백과 내의 활동에 의한 논란이며, 제3자의 보도도 없었고, 따로 언급할만큼 중요한 사건도 아닙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3:39 (KST)답변

확인 가능 출처 대신에 만화를 출처로?[편집]

이건 명백한 백:출처에 위반됩니다. 이러한 내용은 곧 정리하고 삭제하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2년 5월 22일 (화) 15:02 (KST)답변

출처를 확인하여 해당 부분 삭제[편집]

출처가 만화이거나, 출처가 잘못 연결되거나, 출처가 없는 부분을 전부 삭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이의가 있다면, 이 토론란에 의견을 남겨 주세요.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9:40 (KST)답변

이전보다 훨씬 낫네요. 다만 논란 부분을 세부 문단으로 다시 나누지 말고 한 문단으로 풀어서 서술하였으면 합니다. 시작 문장을 '윤서인의 만화에는 ~한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독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이는 부분이 있다.'라고 하고 논란들을 뒤에 이어서 쓰는 거죠. 그리고 첫번째 주석은 {{뉴스 인용}}으로 정리해야 할 것 같아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2년 5월 22일 (화) 22:02 (KST)답변

본인의 생각을 본인이 그린 만화에서 드러내고 그것이 논란이 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이 단지 '만화' 라는 이유만으로 삭제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글로 쓴 것은 출처로써 허용이 되고, 만화는 출처가 안된다고 삭제하시는 Sotiale 님의 방법은 조금 잘못된 것 아닐까요? 실제로 만화에 대한 논란에 대해 해명글을 남기는 사례도 있습니다.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search&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umorbest&no=473015&page=1&keyfield=subject&keyword=%C0%B1%BC%AD%C0%CE&mn=&nk=&ouscrap_keyword=&ouscrap_no=&s_no=473015&member_kind= 따라서 삭제했던 모든 내용을 다시 되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화는 논란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만화를 출처라고 제시하면, "이런 논란이 있으니 그렇게 해석하라"라는 중립성에 상당히 어긋난 문서가 되어버립니다. 이러한 것을 위키백과에서는 백:검증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개인의 출판물은 출처가 될 수 없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3일 (수) 18:47 (KST)답변

기본적으로 위키인 만큼 윤서인 작가님에게 해가 되는 논란이건 득이 되는 논란이건 전부 기재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위키에서 링크가 삭제된 몇몇 만화들 중 실제로 각종 커뮤니티에서 크게 논란이 있었던 만화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니면 논란이 될만한 만화 탭을 따로 두어서 위키를 보는 이들에게 직접 판단을 맡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2.184.80.3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설령 대통령일지라도 논란이 있는 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가 제시된다면 넣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만화 그 자체는 논란이 아닙니다. 어떻게 만화 자체가 논란이 되나요? 논란은 독자들이 만들고, 충분히 공감을 얻으면 그것을 언론이 씁니다. 그래서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로 뉴스를 제시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논란을 적어놓고 만화를 보면, 그렇게 느낄 수 밖에 없지요. 게다가 논란의 출처를 만화라고 툭 던져놓으면, 그것이 충분히 공론화가 되지 않았을 때 자기만의 독자 연구에 불과하게 됩니다. 그래서 만화는 출처로 제시되어선 안 되며, 언론과 같은 매체들의 언급이 필요한 것입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4일 (목) 14:28 (KST)답변

논란은 독자들이 만들고, 충분히 공감을 얻으면 그것을 언론이 쓴다고 하셨는데, 언론에 배포되는 기사 하나하나도 한 개인(기자) 가 쓰는 하나의 생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사람이 어떤 이야기를 해서 그 이야기에 대한 네티즌에 반응을 요약한 수준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 입니다. 그것이 단지 언론에서 다루지 않았다고 (기자라는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이 주로보는 공개된 게시물을 작성하지 않았다고) 그것이 신뢰할 수 없는 출처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어떤 사람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큰 죄를 저질렀는데 그사람이 힘이있어서, 또는 여러가지 이유로 언론에서 공표하지 않았다고 그 사람의 죄가 없어지거나, 죄를 물을 수 없다 라는 생각은 잘못 됐다고 생각합니다. 논란이라는 표현 자체가 '논란 (論難▽) [놀란] [명사] 여럿이 서로 다른 주장을 내며 다툼.'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사람이 어떤 잘못을 해서 어떤 벌을 받았다는 팩트가 정확히 언론에서 다뤄지지 않았다고 해도, 지금 같은 경우에는 야후 웹툰이라는 공식적으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큰 매체에 자기 생각을 작성한 만화에 대해 여러 말들이 있었다는 것에 대한 것을 적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중립성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이런 만화가 이런식의 논란이 있었다. 는 전혀 편견을 가질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어떤 뉴스기사에 계란은 몸에 굉장이 좋으므로 하루에 하나씩 꼭 먹어야 한다. 라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계란을 먹진 않습니다. 오히려 알러지가 있는 사람들은, 그 기사를 봐도 무덤덤 하겠지요. 마지막 예가 좀 애매했다고 생각합니다만 결론은, 이런 만화는 이런 논란이 있었다. 이것만으로 사람들이 편견이 생기지 않으며, 그 논란을 보고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 입니다. 논란이 있었다는 팩트를 나열한 것 자체만으로 편견이 생기고 중립성을 해친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논란이 있었다는 산이 거기 있었다 라는 것처럼 그냥 하나의 사실이고, 그 사실을 중립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입력한다면, 언론사의 기사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사실로써 인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삭제된 내용을 모두 원래대로 되돌리되, 중립적인 입장에서 이런 논란이 있었다 정도로 수정해서 되돌리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211.217.35.251 (토론) 2012년 5월 25일 (금) 12:33 (KST)답변

기사를 기자가 쓰는 생각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그 언론사는 기자의 의견 발표소라고 우리가 인정하고 있나요? 위키백과는 독자 개개인의 이야기를 싣는 곳이 아닙니다. 독자 개개인과 달리 언론사의 경우 최소한의 중립성과 신뢰를 갖추고 있으며, 그것을 인정하여 위키백과에서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라고 보는 것입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며, 확인가능하다는 출처를 제시해야 합니다. 만화 그 자체가 확인가능한 출처라고 거듭 주장하시는듯 하나, 그럼 한번 보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개인마다 논란을 느끼고 판단하는 기준은 다릅니다. 그러나 생각해 보세요. 만화를 보고 논란을 느끼지 않을 수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럼 그 논란은 참이 되나요, 거짓이 되나요? 반대로, 뉴스는 논란이 있었다는 사실을 언론사의 중립성과 신뢰로 증명합니다. 그러나 만화를 그저 보라고 하는 경우는, 느끼고 이해하는 것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것이 사실인지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없습니다. 말그대로 독자연구로 전락해버리는 것입니다. 개인과 언론사의 차이를 크게 못느끼실수도 있겠으나, 개별적 예외가 아닌 큰 틀에서 보시면 어떠한 것인지 이해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를 언제든지 제시할 수 있다면 논란 부분을 예전처럼 채울 수 있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5일 (금) 15:27 (KST)답변

윤서인씨 대만화교논란은 본인 요청이 있긴 하지만[편집]

역시 논란이 있다는거 자체는 진실이니 대만화교논란이 있었으나 윤서인씨 본인이 직접 루머임을 밝혔다. 라고 기재해둬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냥 인터넷에서 보고 오는 분들은 대만화교논란에 대한 전말을 알려드릴겸 말이죠. --Ezinyuzung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09:42 (KST)답변

출처가 있다면 해당 내용을 실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출처가 위키백과이거나, 트위터라면 출처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뉴스기사 등을 찾아봐야 합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09:45 (KST)답변

논란 자체가 사실인 것에는 틀림이 없으니, 이를 "논란" 부분에 넣는것에는 이의가 없습니다. 위에 "그러나 그 출처가 위키백과이거나, 트위터라면 출처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뉴스기사 등을 찾아봐야 합니다" 라는 부분은 어디에 근거한 부분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위키백과:확인 가능#일반적으로 믿을 수 없는 출처를 참고해 주세요. --Sotiale (토론)
논란의 의미를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논란이란 의미는 "여럿이 서로 다른 주장을 내며 다툼"이란 뜻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769700). 따라서 논란 자체에는 꼭 그 출처가 있을 필요가 없으며,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한 링크만 제공하면 됩니다.따라서

윤서인씨의 대만화교 논란은, 주장하는 입장과, 그렇지 않다는 입장에 대한 링크만 제공하면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논란에 출처가 왜 필요없는지 알 수가 없네요. 논란은 누구 입장에서 논란인가요? 그리고 그 논란이 이 문서에 실릴 만한 가치가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논란이 트리비아가 아니라 다룰 만한 가치가 있다면, 출처에 제시된 수많은 매체 중 한 곳에서 그걸 다뤘겠죠. 근데 이에 대한 출처가 제공되지 않는 것을 보면 그러한 매체에서 다룰 만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나요? 해당 내용을 싣는 것에는 어떠한 의도가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의도가 객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입니다.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한 링크가 '신뢰할 수 있다면' 출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용은 넣으셨는데 말씀하신 그 링크가 존재하지 않네요. 그러한 출처가 제시되기 전까지 출처가 없는 내용은 개인에 대한 명예훼손이 될 수 있어 되돌려 놓겠습니다. --Sotiale (토론)
논란의 의미란 "여럿이 서로 다른 주장을 내며 다툼"이란 뜻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사안에 대해서 두가지 이상의 의견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서로 다른 의견에 대한 출처가 표시된다면, 그 자체가 논란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이죠. 서로 다른 두개의 링크는 다시 집어 넣었습니다. 하나의 링크는 "윤서인씨가 화교라는 주장"을 펼치는 곳이고, 또하나는 윤서인 본인이 트위터에서 본인은 화교출신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윤서인씨의 "화교논란"에 대한 출처는 정당하다고 보여집니다.
논란의 의미는 제시하셔도 의미가 없습니다. 출처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아닌지가 관건이니까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인지 제시를 해 주셔야겠죠. --Sotiale (토론)
논란에 관한 항목을 다루는 부분에서 "논란의 의미는 제시하셔도 의미가 없습니다. "는 Sotiale 의 의견은 전혀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논란의 의미를 다시한번 음미해 보시죠. 위키인 만큼, 윤서인씨 본인에 대한 우호적인 의견 또는 적대적인 의견 모두를 링크와 같� 제시하는것이 중립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링크는 다시 살렸습니다.
우호적이든 적대적이든 둘 다 싣는데 선행하는 조건이 '신뢰할 수 있는' 이죠. 뭐가 중립적이지 않은지 도대체 알 수가 없군요. 토론을 논란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 제시하시면서 끌지 말아주세요. 저 또한 한국어 화자입니다. 전 분명히 지침 제시해드렸고, 뭐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질문드렸는데, 계속 답변을 회피하시면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Sotiale (토론)
"토론을 논란의 의미 제시하시면서 끌지 말아주세요. "는 말은 과연 Sotiale 이 "논란"이라는 항목을 에디팅할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는지 의심스럽군요. "논란"을 싣는 항목에서 먼저 무엇이 "논란"인지 정확히 집고 넘어가는게, "신뢰할 만한 문서 작성"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따라서, Sotiale 님이 이 항목에 정확히 먼저 이해하시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게 순서입니다.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이 선행 조건이라고 하셨는데, "논란"의 의미를 먼저 이해하셨으면, 한국 귀화 대만인이라는 의견과, 윤서인씨 본인이 직접 그렇지 않다고 트위터에 써 넣은 각각의 주장에 대한 Facts를 제시하고 이에 관한 링크를 제시하는 것은 이미 Sotiale이 말하는 "신뢰할수 있는"의 요건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글을 다시 읽어주세요. '출처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카페에 자기주관 같은게 올라오면 신뢰할 수 있을까요? 카페에 제가 윤서인이 좋아요, 싫어요 하는걸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제공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Sotiale (토론)
Sotiale 님은 꼭 앵무새 같군요. "논란"의 의미는 이해하셨나요? 제가 링크한 자료는 윤서인이 대만출신 귀화 화교라는 주장을 한 "팩트" 와 그렇지 않다는 주장을 편 윤서인씨 본인의 말이라는 "팩트"를 링크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두개의 상반된 의견이 충돌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중립적으로 모두 알려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링크는 다시 살렸습니다)
분명히 전 한국어 화자인 것을 위에서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안 그런가요? 논란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출처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을 지금 몇 번째 제시해드리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상당히 소모적인 토론이 되어서 유감이네요. 귀하께선 두개 다 싣는 것이 중립적이라는 취지의 말씀을 되풀이하시는데, 그 이전에 그걸 증명하는 전제 자체가 오류가 있다고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Sotiale (토론)
한국어를 말한다고 해서 어떤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다는 것 자체가 오류입니다. "그 이전에 그걸 증명하는 전제 자체가 오류가 있다고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라고 말씀하시는데, "팩트"를 증명한다는 것이 가능한가요? 수학에서도 "팩트"를 이용해 다른 명제를 증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팩트" 자체를 증명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링크는 다시 살렸습니다.)
논점을 호도하시는데 제가 어떻게 답변을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이제 현상학과 해석학이라도 끌어내서 논의를 할까요? 사실 증명과 관련한 토론은 대학교에서 하실 일입니다. 여기서는 '출처를 제시'하기를 요구했고, 그 출처가 '믿을만해야' 한다는거죠. 왜 문서보호 요청이 받아들여졌을지 다시 생각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상의 토론은 더 이상 답변을 드리지 않겠습니다. 전 충분히 귀하에게 어떠한 지침 면에서 문제가 있고, 출처는 어떠해야 한다는 사실을 설명해 드렸으나 귀하는 논점을 호도하고 자기주장만 펼치고 있기 때문에, 이상은 토론이 아니라 말싸움에 불과합니다. --Sotiale (토론)
여기서 논점을 호도하시는건 Sotiale님 본인입니다. 문서보호 요청은 내용과는 상관없이 하루에 3번 이상의 에디팅이 들어간다면, 보호요청이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Sotiale님이 '출처를 제시'하기를 요구했고, 저는 그 출처를 정당히 제출했습니다. 어느 한 명이 "어떤 사실에 관해서 주장한다면, 그것은 무시되어질수 있지만, 충분히 많은 수의 네티즌들이 어떤 사실에 대한 주장을 한다면, 이는 무시할수 없고, 윤서인에 관해 위키 피디아에서 자료를 찾아보기 원하는 많은 네티즌들에게 알려드릴만한 가치가 있는 사항이 아닐까요? "사실 증명과 관련한 토론은 대학교에서 하실 일입니다."은 Sotiale님의 지적능력을 의심스럽게 만듭니다. "증명" 얘기는 "팩트"에 관한 예를 든것인데 Sotiale님이야 말로 얼토당토하게 "대학교에서 토론해야 한다는 말을" 하니, Sotiale님이 충분한 지적 능력을 가지고 "논쟁"에 관한 토론을 할 자격이 있는지 심히 의심스럽습니다. (그런데 사실 중학교 수준 수학에서도 기본 증명은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뭐 대학교에서 논의할 내용은 아니죠..) Sotiale님이 어떤 authority를 가지고 제가 주장하는 말을 "논점을 호도하고 말싸움에 불과하다고" 매도하는지 이해할수 없을 뿐더러 wikipedia의 매니저에게 정식으로 이 건에 대한 정정 요청을 드릴 예정입니다.
3회 되돌림 금지는 영어판 위키백과로 가셔서 찾아주세요. 그리고 문서 정정 요청 해 주세요. 관리자가 문서 요청을 받아들을 때에는 해당 사안을 어느정도 검토하고 실행합니다. 몇일날 보니 6월 문서 관리요청에 글 넣으셨던데, 7월 문서관리 요청에 글 넣어주세요. 6월에 넣으면 안 보이니까요. 그리고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장한다는 근거를 출처로 제시해돌라고 몇번이나 말씀을 드렸는데요. --Sotiale (Talk·Contribs) 2012년 7월 4일 (수) 10:45 (KST)답변
아 제가 6월 문서관리 요청에 넣었군요.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7월 문서관리 요청 링크를 혹시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장한다는 근거를 출처로 제시해돌라고 몇번이나 말씀을 드렸는데요." 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지금까지는 앵무새처럼 "믿을만해야' 한 링크를 얘기하시더니 갑자기,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장한다는 근거를" 제시하라니 설마 이제는 "믿을만해야" 라는 말과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장한다는 근거"가 같다는 말인가요? 그나저나 앞으로의 논의는 포기한다고 하시길래 제 의견만 표현되는지 알고 걱정했는데, 논의에 무시하지 않고 대답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그나저나 윤서인 본인은 아니시겠죠? 윤서인 본인이 윤서인에 관한 글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중립성"의 원칙에 벗어나니까요.. ^.^:)
윤서인 사건이 문제가 되기 시작할 때 윤서인이란 분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전 만화를 잘 보지 않아서, 만화가에 대해서는 도통 모릅니다. 출처를 제시해돌라고 하는 이유가 뭘까요? 그것이 사실이고,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믿을만한 출처를 제시하는 것은, 귀하께서 이야기하신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장한다는 것을 증명한다는 의미이죠. 그리고 아까 제가 해당 문서의 보호에 대한 재심 요청을 했습니다. 그 결과는 이곳을 참고해 주세요: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2년 7월#윤서인 문서 보호 재심 요청 --Sotiale (Talk·Contribs) 2012년 7월 4일 (수) 14:00 (KST)답변
링크 감사드립니다. "윤서인 사건이 문제가 되기 시작할 때 윤서인이란 분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전 만화를 잘 보지 않아서, 만화가에 대해서는 도통 모릅니다." 는 말은 듣던 중 반가운 소식입니다. 윤서인 본인과 아무 관련이 없으니, 앞으로도 계속 논의에 참가해 주셨으면 합니다. ^.^: 거기서 말씀하신 내용을 보았더니, 사실과 심각하게 틀린 점들이 있어 정식으로 요청할 예정입니다.
말씀하신대로 3차 보호 재심을 넣어주세요. 그리고 저보다는 신빙성 가실 관리자분들께 무엇이 잘못되어서 재심까지 보호요청이 떨어졌는지 설명을 들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아마 귀하의 입장에서 전 신빙성이 떨어질테니 관리자분들께 설명을 들어주세요. 신빙성 떨어지는 전 더 답변해 드릴 것이 없으니, 문서 보호 요청에서 납득할 설명을 찾을 수 있길 바랍니다. --Sotiale (Talk·Contribs) 2012년 7월 4일 (수) 16:47 (KST)답변
예. 알겠습니다. 현재 자료 수집중에 있습니다. "아마 귀하의 입장에서 전 신빙성이 떨어질테니"라고 하셨는데, 아무 authority가 없는 분이 자신의 의견만이 정답인 것처럼 저말고도 많은 분들의 편집 내용에 대해서 윤서인에 관한 내용을 본인이 직접 수정하시고, 거기에 대해 이러저러한 핑계를 다셨던데, 말씀하신대로 관리자 분들과 충분히 그동안의 편집 방향에 대해서 상의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앞으로의 편집 내용에 대해 더이상 이의가 없으시다면, 제 의견이 반영되겠지요. 또 " 재심까지 보호요청이 떨어졌는지"에 관한 내용은, 님의 일방적인 의견에 제가 아직 정식 심의 요청을 하지 않은 가운데, 너무 자기쪽의 의견만이 옳아서 의견이 반영된 듯.. 글을 쓰셨더라구요.
네. 화이팅. 귀하의 문관요청이 반려되지 않길 빕니다. 그리고 authority라니, 좌측 상단 로고는 클릭하면서 한번만 더 보세요. --Sotiale (Talk·Contribs) 2012년 7월 5일 (목) 09:09 (KST)답변
제 답글을 누군가가 지워버렸고, 님의 답글이 살짝 바뀌었네요. 다행히 복사해 놓은게 있어서 다시 올립니다. ^.^; "네, 화이팅해 주신것 감사드립니다. 님은 답글에서 문서보호 요청이 현재 통과되어진 이유가 마치 님의 글이 옳았음을 위키피디아에서 증명하고 검증이 끝났다는 듯이 말씀하셨지만, 사실 현재로는 7일간의 문서 편집 보호기간이 설정된 Sotaile 님의 일방적인 (사실을 정확하게 설명되지 않은) 의견이 "임시적"으로 받아진 임시 결정 사항일 뿐입니다. 더군다나 제가 아직 정식으로 요청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Sotaile님이 말씀하신대로 그렇게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의미가 없는 결정사항일 뿐입니다. 그리고 authority 관련 사항은, 이런 것까지 일일히 설명해야하는 제 시간이 아깝지만, Sotiale님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제가 윗글에서 authority를 언급한 이유는 그동안 편집 내용에 대한 논의 부분을 살펴보니, 다른 많은 네티즌들의 편집 내용 자체를 Sotiale님이 마치 윤서인에 관한 편집 내용 전체에 대한 authority 즉 마치 편집 방향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진 사람인 것처럼 많은 편집 내용을 지우셨던데, 저는 Sotiale님이 과연 그런 authority, 즉 그럴 권한이 있느냐고 반문한 것입니다. ^.^;"
문서 역사상에서 볼 때, 누군가가 귀하의 의견을 지운 적은 없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편집 충돌이 일어난 것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덧붙여서, 현재 귀하께서 보이시는 토론 태도는 썩 좋은 태도라고 보기 힘들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토론을 쓴 사람을 구분하기 위해 위키백과:서명을 하고 있으니, 의견의 마지막 부분에 --~~~~를 덧붙여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위키백과에는 주인이 없으며, 관리자 역시 특정 권위를 지니지 않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적절한 토론을 이어가주시길 바랍니다. --가람 (논의) 2012년 7월 5일 (목) 17:17 (KST)답변
다른 것을 떠나서, 이것이 ‘특필할만한 가치’가 있는 지가 우선입니다. 무엇보다도, 특필할만한 가치가 없다면, 출처를 따져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가람 (논의) 2012년 7월 2일 (월) 23:20 (KST)답변

문단의 각 문단을 나누는 단락을 제거하였습니다. 보기 좋게 하나로 합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Leedors (토론) 2012년 6월 6일 (수) 22:10 (KST)답변

위키백과 논란은 싣지 말아주세요[편집]

위키백과에 반론을 남긴 부분을 지속적으로 여러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되어 편집을 시도하고 있네요. 위키백과 논란 부분은 싣지 말아주세요. 이전에도 실렸다가 내용이 삭제된 부분입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6월 8일 (금) 11:40 (KST)답변

윤서인은 친일파가 아닙니다.[편집]

윤서인은 친일파가 아닙니다. 역사를 사실 그대로 말한것 뿐입니다. 사실을 사실대로 말했다고 친일파타령하는 병신들은 짐승만도못하다고 생각되네요. 일본사람 친절한것 칭찬하고 북괴공산당살인마 사탄마귀들이랑 중공에게 조공받치고 한반도를 공산화시키려고 나라를망치는 싸이코패쓰보다는 훨씬 올바른인생을 사는분이 윤서인씨입니다. 조선시대랑 북한은 똑같이 약육강식의 힘있는자가 힘없는 약자를 노예로 부려먹는 사회입니다. 그런 악랄한 사회를 비판했다고 친일파라고 욕하는 이상한 사람들은 당신들이 생각하는 유토피아인 북한가서 거기서 평생 사시길 바랍니다.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윤서인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7월 17일 (금) 11:03 (KST)답변

극우[편집]

윤서인 씨는 극우라고 보이지 않습니다. 편집 역사에서 2601:19b:801:1fb0:205d:f746:11fb:d47d 님의 글을 적습니다.

"극우는 대체로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결부되어 폭력을 행사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극우 라벨링은 지극히 정치적이고 편향적이다. 좌파적/사회주의적 입장에서 극우를 남발하는 경우가 많다. 바람직하지 않다." 132.68.162.68 (토론) 2021년 10월 23일 (토) 23:19 (KST)답변

그동안 공식석상에서 한 발언들로 유추해 보아 윤서인 만화가는 극우가 맞습니다. 존중합시다 리스펙! (토론) 2021년 10월 27일 (수) 21:35 (KST)답변

윤서인 씨가 공식석상에서 한 발언들을 보아서는 극우라고 보기 힘듭니다. 논의를 진행하고 싶으시다면, 윤서인 씨가 어떠한 발언들을 했고, 이것들에서 왜 극우임을 알 수 있는지 논증을 피시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윤서인 씨가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결부되었고 폭력을 행사하였나요? Tilden P. (토론) 2021년 10월 28일 (목) 07:26 (KST)답변

범죄인 분류[편집]

ko.wikipedia.org/wiki/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웹사이트에 원칙이 있습니다. 윤서인 씨는 이 분류 원칙에 부합되지 않습니다.

" 이 분류에는 다음의 경우에 해당되는 사람만 분류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재심 등 사후적 평가를 통하여 범죄인이 아닌 것으로 사회적으로 널리 인식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1. 적법한 절차에 따라 대한민국의 법원에서 특정강력범죄 또는 그보다 중한 범죄(내란죄 등)를 저지른 것으로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
  2. 위키백과에 등록된 주요한 이유가 '범죄'인 사람.
  3. 해당 인물의 활동 중 '범죄'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람. 판단이 애매할 경우에는 개별 토론을 통해 결정한다."

132.68.162.68 (토론) 2021년 10월 23일 (토) 23: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