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유자차님) - 주제: 저작권자 변수에 관하여

문제점[편집]

언제 사용될지는 모르겠지만 이 틀에 문제점이 몇 가지 보여서 나중을 위해 남겨두고자 합니다.

  • 문서를 입력하는 부분에 없는 문서의 제목를 입력했을 경우, 머릿 부분에 '그런 문서가 없어요'라고 메시지가 떠야 하는데, 지금 안 뜨고 있네요.
  • 영어 번역 안 되어 있습니다. 사실 언제 이 틀이 쓰일지도 모르기에 하나는 걍 냅뒀습니다. :P
  • includeonly를 넣었는데 아무 것도 없이 includeonly 태그를 닫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사이에 분류가 들어가야 합니다. 이상하게도 includeonly를 빼면 틀이 ‘망합니다’. 왜 이런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 iTurtle 2008년 1월 28일 (월) 21:12 (KST)답변

틀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 인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저작물의 정보를 적을 틀이 잘 준비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도움이 많이 필요합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09년 7월 1일 (수) 00:23 (KST)답변

저작권자 변수에 관하여[편집]

영어판 틀인 'Template:Non-free use rationale'에서는 저작권자 변수가 없습니다.

음반 표지를 사용하려면 'Template:Non-free use rationale album cover'을 채우고, 로고를 사용하려면 'Template:Non-free use rationale logo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틀이 존재합니다. 이 다양한 틀들 중 저작권자 변수는 없는 틀도 많고, 저작권자 변수를 채우는 것은 옵션(선택)이라는 틀도 많았습니다.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들도 영어 위키백과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논의가 필요할것 같아 이렇게 주제를 남겨봅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22일 (일) 14:17 (KST)답변

+또 변경된 사항에 따라 백:파일 업로드 요청양식도 변경건과 그동안의 비자유 저작물은 어떻게 할지도 논의를 해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22일 (일) 14:26 (KST)답변
비자유저작물의 저작권자 변수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독자적인 변수로 파악되는데, 이 변수가 어떻게 들어오게 되었는지 그 과정이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만약 도입배경이 대한민국 법체계 하에서 위반됨이 없다면(적어도 영어판에서 저작권자 변수가 없음은 최소한 재단 소재지의 법체계에 위반됨이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변수에서 제외하고 다른 필요한 변수를 추가해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얼마 전 저작권자 변수의 미흡으로 몇 개 파일을 삭제하게 되었는데 그러한 차원에서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3월 22일 (일) 15:52 (KST)답변
설명 변수의 설명을 보니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저작권 보유자를 여기에 포함해야 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저작자 변수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라고 써있어 확인해 보니 영어 틀 설명 변수의 설명에도 저작권자를 포함시키라고 써있네요.. --유자차 (토론) 2020년 3월 22일 (일) 17:0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