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젠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젠더학이란?

Puzzle globe
여성과 남성의 상징.

젠더학젠더 현상을 분석하는 학제간 연구 분야입니다. 젠더학은 젠더의 문화적인 표현과 젠더에 대한 인간의 경험을 모두 연구하며, 때때로 계급, 인종, 민족, 지역 등과 연관됩니다.

철학자 시몬 드 보부아르는 "한 사람은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되는 것이다."이라고 말했습니다. 젠더학에서 젠더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사회적 구축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문화적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지 생물학적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젠더학은 1950년대의 사회학, 자크 라캉의 정식분석학 이론, 주디스 버틀러와 같은 여성주의자들의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선정된 글

여성혐오(女性嫌惡, misogyny 미소지니[*]) 또는 여성증오(女性憎惡)는 여성을 증오하거나, 여성에 대한 멸시, 또는 반여성적인 편견을 뜻한다. 이는 성 차별, 여성에 대한 부정,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의 성적 대상화를 포함한 여러가지 방식으로 나타나며, 고대 세계에 관한 신화 뿐만 아니라 여러 종교 신화(설화) 속에서도 발견된다.

사회학자 앨런 G. 존슨(Allan G. Johnson)에 따르면, “여성혐오란 여성을 여성이란 이유로 혐오하는 문화적 태도”이다. 그는 이를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여성혐오란 성적 편견과 이데올로기의 중심이자, 남성 중심 사회에서의 여성에 대한 억압의 중요한 기초이다. 여성증오는 그들에게 그들 자신의 몸에 대한 느낌을 가르치는, 농담에서부터 자기 만족적인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으로서의 포르노그라피까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울런공 대학교의 사회학자 마이클 플러드(Michael Flood)는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hatred of women)로 정의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성혐오는 대부분 남성들에게서 나타나나, 여성들이 스스로나 다른 여성을 대할 때에도 나타난다. 여성증오는 가부장제와 함께, 수천년 동안 여성을 종속적인 위치에 못박았을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권력과 의사결정에 대해 제한적인 접근만을 허락하는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이념 혹은 신념체계로 기능한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이 자연적으로 변형되었거나 불완전한 남성이라고 주장한다. [...] 그 이래로, 서양 문화 속의 여성은 스스로의 역할을 사회적인 희생양으로 내면화하여 왔으며, 21세기에는 멀티미디어에 의한 여성의 대상화로 인해 문화적으로 승인된 자기 혐오감과 성형 수술, 거식증 및 식욕항진증에 대한 집착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사전들은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 ‘여성에 대한 증오, 불호 혹은 불신’이라고 정의한다. 2012년, 호주 의회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대한 일차적 대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영어와 뉴질랜드 영어를 문서화 한) 맥코리 사전(Macquarie Dictionary)는 이의 정의를 여성에 대한 증오 뿐만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확고한 편견”까지를 포함하여 확장하였다. 여성혐오의 대응항은 남성혐오이며, 이것은 남성에 대한 증오 혹은 불호이다. 여성혐오의 반대말은 여성에 대한 사랑과 호의를 뜻하는 여성 숭배이다.

선정된 인물

게일 S. 루빈 (Gayle S. Rubin, 1949년 ~ )은 활동가이자 성정치학 이론으로 알려진 미국의 문화 인류학자이다. 문화 인류학적 연구와 성적 하위 문화 뿐만 아니라 여성주의, 사도마조히즘, 성매매, 소아성애증, 포르노그래피, 레즈비언 문학을 포함하는 범주의 주제로 저작을 하였다. 그녀는 앤아버의 미시간 대학교 문화 인류학, 여성학 조교수이다.

1968년에 게일 루빈은 미시간 대학교에서 활동하였던 초기 페미니스트 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여성 운동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거나 《앤아버 아거스》(Ann Arbor Argus)에 기고하였다. 1970년에는 초기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그룹인 앤아버의 래디컬레즈비언스(Radicalesbians)의 창립에 협력하였다.

루빈은 최초로 젠더와 강제된 이성애가 생산되고 여성이 제2의 위치에 강제되는 역사적, 사회적 체계를 발견하고자 노력한 《여성 거래》(Traffic in Women: Notes on the 'Political Economy' of Sex)를 통하여 두각을 나타내었다. 젠더(사회적 성)와 섹스(생물학적 성)에 차이가 있다는 논문의 주장은 여성학의 중심 담론이 되었다. ...더 읽어보기

새로 올라온 글

2016년 7월

2016년 6월

2016년 5월

젠더학 관련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