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군 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성군 갑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50년~1963년
의원 수1인
이전 선거구수원군 갑
이후 선거구화성군
시흥군·부천군·옹진군

화성군 갑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기도 화성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1949년,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었으며 수원군의 잔여 지역은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수원군 갑 선거구가 화성군 갑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군 갑, 을 선거구가 합쳐지며 화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또한 1963년 1월, 화성군 일왕면이 시흥군에 편입되어 시흥군 의왕면이 됨에 따라 해당 지역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시흥군·부천군·옹진군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50년 무소속 김인태
1954년 자유당 손도심
1958년 자유당
1960년 무소속 박상묵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화성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인태 무소속 7,479표
29.00%
당선
이승재 무소속 5,444표
21.11%
나창근 대한청년단 4,378표
16.97%
이각래 사회당 3,153표
12.22%
최홍식 무소속 1,982표
7.68%
한영만 무소속 1,291표
5.00%
홍녹후 무소속 741표
2.87%
김구배 무소속 726표
2.81%
민태정 무소속 591표
2.29%
합계 25,785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화성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손도심 자유당 16,667표
48.89%
당선
홍사혁 무소속 7,073표
20.74%
이승재 무소속 4,372표
12.82%
박상묵 무소속 3,376표
9.90%
홍봉진 무소속 2,602표
7.63%
합계 34,090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화성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손도심 자유당 19,086표
50.67%
당선
김인태 민주당 18,574표
49.32%
합계 37,660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기도 화성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박상묵 무소속 9,248표
23.10%
당선
홍봉진 민주당 4,753표
11.87%
나상근 무소속 4,197표
10.48%
홍은승 무소속 3,454표
8.63%
한상갑 무소속 3,153표
7.87%
임래재 무소속 2,965표
7.40%
이규래 무소속 2,822표
7.05%
김정철 무소속 2,655표
6.63%
최희덕 무소속 2,383표
5.95%
예영창 무소속 1,583표
3.95%
홍경선 무소속 1,533표
3.83%
이창호 사회대중당 1,272표
3.17%
합계 40,018표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