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귀한 마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귀한 마음(팔리어: mahaggatacitta 마학가타 찟따, 영어: sublime, lofty, or exalted consciousness)은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 그리고 수행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색계 마음무색계 마음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욕계 · 색계 · 무색계 · 출세간의 총 89가지 마음 또는 총 121가지 마음 중 다음의 27가지 마음을 말한다.[1][2]

고귀한 마음은 세간의 선정의 마음(팔리어: lokiya jhāna cittas)이라고도 한다.[3]

팔리어 마학가따(mahaggat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크게 성장한(grown great)', '발전한(developed)', '고귀한, 신분이 높은, 고상한(exalted)'으로, 색계 마음무색계 마음욕계 마음에 비해 크게 발전한 상태의 마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1] 달리 말해, 무색계 마음4무색정을 제외하고서라도, 색계 마음4선 또는 5선의 선정에 들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비록 이 마음들이 출세간의 마음은 아니지만, 열반으로 가는 길의 도상에서 크게 발전한 상태 또는 크게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목록[편집]

  • 색계 마음 一 15가지 一 누적 15가지
    • 색계 유익한 마음 一 5가지 一 누적 5가지
      1. 일으킨 생각 ·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초선의 유익한 마음
      2.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2선의 유익한 마음
      3.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3선의 유익한 마음
      4.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4선의 유익한 마음
      5. 평온 · 집중이 함께하는 제5선의 유익한 마음
    • 색계 과보의 마음 一 5가지 一 누적 10가지
      1. 일으킨 생각 ·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초선의 과보의 마음
      2.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2선의 과보의 마음
      3.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3선의 과보의 마음
      4.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4선의 과보의 마음
      5. 평온 · 집중이 함께하는 제5선의 과보의 마음
    • 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 一 5가지 一 누적 15가지
      1. 일으킨 생각 ·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초선의 작용만 하는 마음
      2.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2선의 작용만 하는 마음
      3.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3선의 작용만 하는 마음
      4.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4선의 작용만 하는 마음
      5. 평온 · 집중이 함께하는 제5선의 작용만 하는 마음
  • 무색계 마음 一 12가지 一 누적 27가지
    • 무색계 유익한 마음 一 4가지 一 누적 19가지
      1. 공무변처의 유익한 마음
      2. 식무변처의 유익한 마음
      3. 무소유처의 유익한 마음
      4. 비상비비상처의 유익한 마음
    • 무색계 과보의 마음 一 4가지 一 누적 23가지
      1. 공무변처의 과보의 마음
      2. 식무변처의 과보의 마음
      3. 무소유처의 과보의 마음
      4. 비상비비상처의 과보의 마음
    • 무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 一 4가지 一 누적 27가지
      1. 공무변처의 작용만 하는 마음
      2. 식무변처의 작용만 하는 마음
      3. 무소유처의 작용만 하는 마음
      4. 비상비비상처의 작용만 하는 마음
  • 분류 또는 체계[편집]

    고귀한 마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ehm Tin Mon (2015).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Third edition. Mehm Tay Zar Mon, Mya Mon Yadanar Literature. pp.36~37.
      5 Mahaggata cittas (exalted consciousnesses) — 57 The 15 rūpāvacara cittas and the 12 arūpāvacara cittas are collectively known as mahaggata cittas. Practise writing the Pāli names of these cittas. How many māhaggata kusala cittas, mahaggata vipāka cittas, mahaggata kiriya cittas are there? (5+4=9 mahaggata kusala / vipāka / kiriya cittas)
      Mahaggata’ literally means ‘grown great’, i.e., developed, exalted. Mahaggata citta is the state of ‘developed consciousness’ attained in the fine-material and the immaterial absorptions. Mahaggata cittas are more developed or more exalted than kāma-cittas.
    2.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55.
      Collectively, the fifteen fine-material-sphere cittas and the twelve immaterialsphere cittas are designated mahaggatacitta — sublime, lofty, or exalted consciousness — because they are free from the hindrances (nīvaraṇa) and are pure, elevated, great states of mind.
    3. Mehm Tin Mon (2015). 《The Essence of Buddha Abhidhamma》. Third edition. Mehm Tay Zar Mon, Mya Mon Yadanar Literature. pp.36~37.
      11 Jhāna cittas — 67 The 27 mahaggata cittas are known as the lokiya jhāna cittas. Combining these with the 40 lokuttara jhāna cittas, we get 67 jhāna cittas. Among these, there are 11 first jhāna cittas, 11 second jhāna cittas, 11 third jhāna cittas, 11 fourth jhāna cittas, and 23 fifth jhāna cittas. These can be easily counted from the Chart No. 1. Note that there are 3 first jhāna cittas in the mahaggata cittas and 8 first jhāna cittas in lokuttara cittas; together they make up 11 first jhāna cittas.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jhāna cittas are counted in the same way. In counting the fifth jhāna cittas, all the 12 arūpāvacara cittas are included in the count — thus we get 11+12 = 23 fifth jhāna citt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