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궁수자리 피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피, φ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궁수자리 27, 27 Sgr
밝은 별 목록 HR 7039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73300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268859
소천성표 CPD-27  5241
히파르코스 목록 HIP 92041
다른 이름 나말사디라 1, 아왈 알 사디라, FK5 1487, GC 25661, PPM 297231[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8h 45m 39.38610s[2]
적위(δ) –26° 59′ 26.7944″[2]
겉보기등급(m) 3.17[3]
절대등급(M) −1.16[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21.5 km/s[3]
적경 고유운동 +50.61 mas/yr[2]
적위 고유운동 +1.22 mas/yr[2]
연주시차 13.63 ± 0.19 mas[2]
성질
광도 475 L[5]
나이 1억 6500만 년[5]
분광형 B8.5 III[6] ~ B7 IV[7]
U-B 색지수 –0.36[8]
B-V 색지수 –0.11[8]
추가 사항
질량 4–4.2 M[5]
반지름 4.8 R[5]
자전 속도 35 km/s[9]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궁수자리 피(φ Sgr)는 천구 남반구의 궁수자리 별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3.17로[3] 별자리에서 아홉 번째로 밝으며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시차로부터 계산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239 광년 (73 파섹)이다.[2]

이 별의 항성 분광형은 B8.5 III[6]과 B7 IV로 측정되는데[7] 광도분류 III은 궁수자리 피가 거성임을 의미하나, 한편으로는 광도분류 IV로부터 피가 아직 준거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두 분류 모두 궁수자리 피가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진화한 상태에 있음을 뜻한다. 항성 외포층에서의 유효 온도는 14990 켈빈으로[7] 이 온도 때문에 피는 전형적인 B형 항성의 특징인 청백색의 빛을 낸다.[10]

과거에 이 별은 분광쌍성으로 등재되어 있었고 동반성은 달 엄폐 과정에서 관측된 바 있다.[11] 그러나 궁수자리 피는 단독성일 확률이 높으며[5][12] 근처에 있는 별들은 안시 동반성들일 뿐이다.

이름 및 어원[편집]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은 '아오울 알 사디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라틴어로 번역하면 Prima τού al Sadirah (되돌아오는 타조들 중 첫 번째)이다.[13]

아랍권의 별자리 '알 나암 알 사디라'(النعم السادرة, '되돌아오는 타조들')의 구성원들은 궁수자리 피 외에 궁수자리 시그마, 제타, , 타우이다.[14] 《기술 보고서 33-57 - 537개의 이름이 붙은 항성들을 포함하는 성표》에 따르면 '알 나암 알 사디라' 또는 나말사디라(Namalsadirah)는 원래 다음 항성 넷을 부르는 명칭이었다 한다.

  • 궁수자리 피: 나말사디라 I
  • 궁수자리 타우: 나말사디라 II
  • 궁수자리 키1: 나말사디라 III
  • 궁수자리 키2: 나말사디라 IV

이 보고서에 따르면 궁수자리 시그마와 제타는 나말사디라에 포함되지 않는다.[15]

중화권에서 궁수자리 피는 두수의 일원으로, 두수는 궁수자리 피 외에 궁수자리 람다, 뮤, 시그마, 타우, 제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궁수자리 피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두수1(斗宿一)이다.[16]

각주[편집]

  1. “phi Sgr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5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oeffentlichungen des Astronomischen Rechen-Instituts Heidelberg》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5. Kaler, James B., “PHI SGR (Phi Sagittari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월 15일에 확인함 
  6.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cts.book.....H 
  7. Zorec, J.; 외. (July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8.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9. Abt, Helmut A.; Levato, Hugo; Grosso, Monica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10.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1. Finsen, W. S. (April 1951), “The duplicity of phi Sgr”, 《Astronomical Journal》 56: 56, Bibcode:1951AJ.....56Q..56F, doi:10.1086/106589 
  12.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13.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30,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4.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15. Rhoads, Jack W. (1971년 11월 15일),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PDF),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16.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Archived 2011년 5월 22일 - 웨이백 머신

좌표: 하늘 지도 18h 45m 39.38610s, −26° 59′ 26.7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