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벨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레벨룸

테레벨룸(ω)의 위치(적색 원).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오메가(ω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궁수자리 58(58 Sgr)
밝은 별 목록 HR 7597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88376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88722
히파르코스 목록 HIP 98066
다른 이름 CPD −26°6880, FK5 1629, GC 27583, PPM 270451.[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9h 55m 50.36255s[2]
적위(δ) −26° 17′ 57.6933″[2]
겉보기등급(m) 4.70[3]
절대등급(M) 2.64[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6.22±0.43 km/s[2]
적경 고유운동 203.96 mas/yr[4]
적위 고유운동 74.40 mas/yr[4]
연주시차 42.7159 ± 0.5538 mas[2]
성질
광도 7.1±0.1[2]
나이 3.00+0.13
−0.61
(십억 년)[5]
분광형 G5 IV[6]
U-B 색지수 +0.32[7]
B-V 색지수 +0.748±0.015[2]
R-I 색지수 +0.37[7]
추가 사항
질량 1.52+0.08
−0.06
M[5]
반지름 2.87+0.37
−0.34
R[2]
중원소 함량 (Fe/H) 0.06±0.06[5]
표면 중력 (log g) 3.64±0.05[5]
자전 속도 5.6 km/s[8]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테레벨룸(Terebellum) 또는 궁수자리 오메가(ω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1] 별자리 동쪽 염소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9][10]

속성[편집]

이 계는 황색으로 빛나며 겉보기등급은 4.70으로 맨눈으로 볼 때 희미하게 보인다.[3] 시차에 의하면 이 계는 지구로부터 76 광년 떨어져 있고[2] 초속 16 킬로미터의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2] 오메가는 황도 근처에 있어서 이 이 계를 가리기도 한다.[11]

오메가 계의 구성원들은 서로를 4.6892년에 1회 공전하고 있으며 궤도 이심률은 0.82이다.[12] 눈에 보이는 구성원은 G형 준거성으로 분광형은 G5 IV이다.[6] 이 별의 나이는 약 30억 년이고[5] 초당 5.6 킬로미터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8] 이 별의 광구 유효온도는 5499 켈빈으로 전체 광도는 태양의 7배에 이른다.[5][2]

명명법[편집]

The four stars of the Terebellum
The four stars of the Terebellum

궁수자리 오메가(ω Sgr)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시한 이름이다.

오메가는 궁수자리 60, 62, 59와 함께 '테레벨룸' 별자리를 구성한다.[13] 1971년 NASA의 비망록에 따르면 테레벨룸(Terebellum)은 원래 별 네 개를 묶어 부르는 이름으로, 궁수자리 오메가는 테레벨룸 I, 궁수자리 59는 테레벨룸 II, 궁수자리 60은 테레벨룸 III, 궁수자리 62는 테레벨룸 IV이다.[14]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하여 공식화할 목적으로 항성목록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5] WGSN은 2017년 9월 5일 궁수자리 오메가의 공식명칭으로 테레벨룸(Terebellum)을 부여했으며 이 명칭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9]

중화권에서 오메가 계는 두수에서 구국(狗國, '개의 땅')에 포함되어 있다. 구국을 구성하는 별들은 궁수자리 오메가 외에 궁수자리 60, 62, 59가 있다. 이들 중 오메가 하나만을 부르는 이름은 구국1(狗國一)이다.[16]

각주[편집]

  1. “ome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9년 10월 28일에 확인함. 
  2. Brown, A. G. A.; (2018년 8월).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22. doi:10.1051/0004-6361/201833051.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3.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4.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5. Aguilera-Gómez, Claudia; 외. (June 2018), “Lithium abundance patterns of late-F stars: an in-depth analysis of the lithium desert”, 《Astronomy & Astrophysics》 614: 15, arXiv:1803.05922, Bibcode:2018A&A...614A..55A, doi:10.1051/0004-6361/201732209, A55. 
  6.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7. Hoffleit, D.; Warren, Jr., W. H., 《The Bright Star Catalogue》 5 Revis판,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ID V/50. HR 7597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database entry. Accessed on line November 19, 2009.
  8. Luck, R. Earle (January 2017),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I: F, G, and K Dwarfs and Sub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3 (1): 19, arXiv:1611.02897, Bibcode:2017AJ....153...21L, doi:10.3847/1538-3881/153/1/21, 21. 
  9.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0. "Terebella". 《옥스퍼드 영어 사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제 2판 1989.
  11. Evans, David S.; 외. (November 1986),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lunar occultations. XVI.”, 《Astronomical Journal》 92: 1210–1215, Bibcode:1986AJ.....92.1210E, doi:10.1086/114254. 
  12. Fekel, Francis C.; 외. (September 2018), “Spectroscopic Orbits for Late-type Stars. II”, 《The Astronomical Journal》 156 (3): 15, Bibcode:2018AJ....156..117F, doi:10.3847/1538-3881/aad3c1, 117. 
  13.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14. Rhoads, Jack W. (1971년 11월 15일),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PDF),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9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5.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6.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 日 Archived 2011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좌표: 하늘 지도 19h 55m 50.36255s, −26° 17′ 57.6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