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Masoris/2007년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Yes0song님) - 주제: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Automatic Conversion in Edit Page[편집]

I moved this discussion to meta:User talk:Masoris/Edit Page Suggestion for Automatic Conversion System --마소리스 2007년 1월 5일 (금) 00:22 (KST)답변

사용자:Yes0song/다지모/다양한 표기법 현황[편집]

새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 Yes0song 2007년 1월 6일 (일) 17:11 (KST)답변

메타에 옮겨 놓아도 괜찮을 것 같네요. --마소리스 2007년 1월 7일 (월) 18:16 (KST)답변

언사이클로피디어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습니다.[편집]

현재 아랫방에서 언사이클로피디어의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으니 꼭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에멜무지로 (discusión · contribuciones · información · registro · e-mail) 2007년 1월 7일 (일) 12:22 (KST)답변

한국어 키릴판에 대해서[편집]

제가 나중에 다지모에 키릴판 건의문을 보낼 겁니다. 일단 제가 로표모의 대표로서 이 일을 적극 추진할려고 합니다. 키릴판에 대해 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루스 2007년 1월 14일 (일) 14:17 (KST)답변

한국어 키릴판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이며, 이로 인해 어떤 사람이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까? --마소리스 2007년 1월 14일 (일) 14:19 (KST)답변
키릴판을 들여오는 것이 제 머리 속에서 나온 거지만, 필요한 이유는 일단 다지모에서 한자판, 한글판을 들여온다고 했잖아요. 그와 마찬가지로 키릴판도 들여오면 될 것 같습니다. 한국어 위키가 라틴 문자판을 들여오는 것과 똑같아지죠. 그리고 제 생각인데 키릴판을 들여옴으로써 키릴 문자를 모르는 사용자들에게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14일 (일) 14:23 (KST)답변

남자의 성기[편집]

삭제 요청을 하시기 전에 역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지금 상태에서 바로 지우면 저 링크들은 깨진 링크가 됩니다. 그리고 일전에 Daybyday 씨가 남근남자의 성기로 옮긴 일이 있는데,[1] 서로 의견을 나눠 보셨나요? --Puzzlet Chung 2007년 1월 23일 (화) 14:45 (KST)답변

Daybyday님께서, 남근(penis)과 남성의 성기(Male reproductive system)을 동일한 것으로 착각하셔서 옮기신 것 같아, 원래대로 되돌렸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남성의 성기남성의 생식 기관으로 redirect 되어야 하며, 현재 남성의 생식 기관 항목이 없기 때문에 지금은 삭제한 후, 후에 redirect로 만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토론:남근에서 제가 문제점을 지적했으나, 답변이 없으시길래 임의로 옮겼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3일 (수) 15:00 (KST)답변

추가 토론글을 올렸습니다.[편집]

사용자토론:Masoris/한국어 위키백과 불만 수집에 추가 토론글을 올렸습니다. 한 번 살펴보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Johyeongryeol 2007년 1월 25일 (목) 01:15 (KST)답변

통용 표기?[편집]

비타민은 통용 표기가 아닌 국립국어원으 표준말입니다. 바이타민은 대한화학회에서 정한 기준이고요.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금) 17:36 (KST)답변

알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금) 17:42 (KST)답변

국가명 통용 표기에 대한 의견[편집]

안녕하세요. 제가 마소리스님과 생각에 차이 있어 의견 제시합니다.일단 통용 표기라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왜냐면 이제 더이상 통용되지 않는 추세이거든요. 애초에 이러한 음차라는 것 자체가 청 즉, 중국이 외국 이름을 번역한 것을 한자음으로 읽은 경우가 많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고, 한글로 제대로 번역하게 된 이후 젊은 세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주로 개화기 이후 사용되었고 그리고 과거 번역 된 책들에 남아있는 이상, 역사적 측면으로 본문에 달아주는 정도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굳어버린 음차(독일,영국, 미국, 호주, 인도)등을 제외 한것은 아마 앞으로 거의 쓰이지 않을 듯하고요. 그래서 본문에서 떼든지 아니면 추가적으로 언급해 주시는 것이 더 적절한 것 같습니다. 네덜란드문서에서의 화란 설명식으로... 이상 제 의견이었습니다. 의견 제시 부탁드립니다.--이강철 2007년 1월 25일 (금) 19:41 (KST)답변

저는 한자 음차 표기가 문서 어딘가에 있었으면 하지만, 굳이 문장이 아닌, 틀을 사용하여 괄호속에 표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그렇게 표기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통용 표기 틀 사용으로 인해 오해의 소지가 있다면, 문장으로 표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5일 (금) 20:13 (KST)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통용표기라는 단어 자체가 흔히 쓰이는 말이기 때문에 더 이상 통용되지 안는 말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건 주로 제가 포함된 10~20대 층이고, 나이든 분들은 또 다르실지도. 다른 이유는 위키백과는 국제 사전이기 때문에 자칫 통용되지 않는 말을 외국인이 한국어에서 흔히 쓰이는 말로 오해할 가능성을 제가 우려했습니다. ^^;;;--이강철 2007년 1월 26일 (금) 00:03 (KST)답변

정책 수정 제안[편집]

제안은 위키백과토론:보호 문서위키백과토론:넘겨주기 문서에 쓰시거나, 사용자:Masoris 밑에 새로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더 낫습니다. 가결되든 부결되든 간에 나중에 위키백과:보호 문서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로부터 찾아 들어가기가 힘들어져요. --Puzzlet Chung 2007년 1월 26일 (금) 12:14 (KST)답변

알겠습니다. 일단 각 토론 문서에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1월#보호 문서와 넘겨주기 문서 정책 수정 제안으로 가는 링크를 만들었으며, 다음에 제안 할 때에는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월 26일 (금) 12:24 (KST)답변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갑니다.[편집]

안녕하세요. 한오백년의 관리자 Ellif입니다. 이번에 Yes0song님의 제안으로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까지 한오백년이 어떠한 단체인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여러분들과 다시 한 번 한오백년의 정체성과 Manifesto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는 회원 여러분들께서는 1) 어디에서 살고 계시는지와 2) 수도권 지역에서 오프를 한다면 참여가 가능하신지, 3) 모임이 가능한 일자 (19일, 26일 주간, 평일에 한함)등을 답신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아직도 KAIS 정책이 인준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표를 하시지 않으신 여러분들께서는 여기의 투표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오백년에게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한오백년 토론이나 정책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체크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1:42 (KST)답변
p.s 으음.. 활동 재개하시기를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유동 IP를 고정 주소로 포워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편집]

예전에 제가 임시로 제 컴퓨터에 서버 돌릴 때 썼던 방법입니다. 제가 이용한 서비스는 오래되서 제가 사이트 주소를 잊어버린 관계로 -_-;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찾아보았습니다.

http://codns.com/codns/fixedaddr/intro.jsp 를 참고해보세요. 지금 마소리스 님이 쓰시고 계신 위키에 적용하면 될 것 같네요.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일) 17:34 (KST)답변

개인적으로는 dnip를 추천합니다. --Klutzy 2007년 2월 17일 (일) 17:53 (KST)답변

일단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우선 Klutzy님이 알려주신 dnip.net 것을 사용해 보았는데, 제 서버처럼 80번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더군요 :( 그래서 Yes0song님 것도 사용해 보았는데, 그건 wo.to와 같은 도메인 서비스와 별 차이가 없고, http://주소/~~ 이런 식으로 접속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내부에 있는 문서를 도메인을 통해 링크할 수 없으므로, 메인 페이지를 해당 주소로 접속할 수 있는 것 말고는 별다른 이점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불편하더라도 IP주소 그대로 쓰도록하겠습니다. 어차피 저의 인터넷은 IP가 자주 바뀌는 것도 아니고, 바뀔때마다 '다지모'에 새 IP 주소로 갱신할 것이니 찾아보시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일) 20:26 (KST)답변

저는 잘 쓰고 있는걸요.[2] --Puzzlet Chung 2007년 2월 17일 (일) 21:15 (KST)답변

엇, 잘되는 군요. 여기로 접속하시면 잘 들어가집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일) 21:48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 불만 수집>에 대해서[편집]

아실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저 글을 계속해서 인용하게 되네요. 한오백년에는 이미 가져다 들여놨고,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2월#지침에_대해에도 인용해 놨습니다. 그런데 정말 제 의도와 마소리스님의 의도가 동일한지 일단은 망설여지게 되어서, 이래도 되는건지 여쭙고자 합니다.^^; 만일 내리시기를 원하시면 내려놓도록 하겠습니다. - Ellif 2007년 2월 24일 (토) 00:40 (KST)답변

투표[편집]

마소리스 님이 벌여놓은 투표의 의견란에서 질문에 대한 응답이 아직 없으시네요.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Klutzy 2007년 3월 22일 (금) 18:09 (KST)답변

의견란에 답변 드렸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3월 22일 (금) 19:59 (KST)답변

LERK 님의 관리자 선거 보류 건[편집]

LERK 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를 절차 정비 후로 미루는게 어떨까요? LERK 님은 찬성하셨고, 추천인인 마소리스 님이 동의한다면 잠시 보류처리하겠습니다. -- ChongDae 2007년 4월 9일 (화) 17:18 (KST)답변

이 기회에 관리자 선거에 관한 규정을 먼저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염려하는 것은, 이전에도 투표 권한에 관한 의논이 여러차례 있었는데, 모두 흐지부지하게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제대로 의견이 모아졌으면 좋겠군요. --마소리스 2007년 4월 9일 (화) 18:16 (KST)답변

Merci Beaucoup.[편집]

환영을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그런데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Bonvenon en korean vikipedion!"가 무슨 언어 이지요? (제가 이 언어는 모릅니다. :く ) 프랑스어는 아닌것 같고, 스페니시도 아니고... 잘 모르겠습니다. 햐튼, Merci beaucoup pour cet. Je vais laborer mes supérior études. 오! 본베논 앤 코리안 비키페디온이 혹시 에스파란토 어였아요? Orthodoxy

en:User:Polleoeo-4라고 적어놓으셨으면서 -_- "Ĉi tiu uzanto parolas Esperanton preskaŭ kiel denaskulo. 이 사용자는 모국어에 가까운 수준의 에스페란토를 구사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5월 2일 (목) 17:41 (KST)답변
아, 죄송합니다, wiki-html 코드에 실수를 제가 했군요 :(. 다시 고쳤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저는 에스페란토를 잘 못하니, 착각하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Mi estas Ilha. Watashi wa Wikipedi-jin desu. Je suis un nationalist de Corée libre! はじめまして! Orthodoxy

공정 사용 투표건[편집]

위키백과토론:공정 사용에서 님의 의견과 일치합니다. 사실, 재단 라이센스 정책에 위배되는 정책이 가능할까요? 그럼 재단이 있을 이유가 없겠죠. 다 그 조건을 충족해야 하죠. 찬성표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제가 새로 번역한 거 한번 읽어보시구요. 꽤 시간들였답니다.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5월 18일 (토) 22:41 (KST)답변

en:Hangul[편집]

제가 마소리스 님이 영어 위키백과에서 하신 이 편집의 example(뷁)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정인의 발음을 흉내내어 조롱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뷁' 대신 '한'으로 수정했습니다. ― Yes0song 2007년 5월 25일 (토) 23:28 (KST)답변

어차피 제가 추가한 부분은 원래 에멜무지로님께서 한국어로 작성하신 부분입니다. 제가 번역하면서 수정할까 생각했지만, 그다지 거슬리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그대로 두었는데, Yes0song님께서 수정하셨군요. --마소리스 2007년 5월 26일 (토) 01:06 (KST)답변

Re:Language name issue[편집]

Good Afternoon Masoris!

I have replied to your message on my MetaWiki talk page. Korean users can vote or express your opinion regarding the language name issue.

Keep up the brilliant effort!

When a sufficient number of articles are created (ie. 100+, or 200+), the test-project will be conditionally approved. For example, the Hakka Test-wiki and the Lower Sorbian Test-wiki have both received conditional approval recently. --Jose77 2007년 5월 26일 (일) 15:25 (KST)답변

The test wikipedia has about 130 articles and 30 non-articles now. I expect it will be achieve 200 articles in a week. --마소리스 2007년 5월 28일 (월) 13:52 (KST)답변

쿠루프[편집]

I saw that you made articles on Korean hanja on Incubator Wikipedia. Could you please write a stub about Kurów on Korean hanja on Incubator – just a few sentences based on 쿠루프 or http://en.wikipedia.org/wiki/Kur%C3%B3w ? Only 3-5 sentences enough. Please.

PS. Article about Kurów is already on 191 languages. If you do that, please put interwiki link into English version. If your village/town/city isn't yet on PL wiki, I can do article about it. (I'm first author of requests) Pietras1988 TALK 2007년 5월 27일 (일) 04:28 (KST)답변

Done! --마소리스 2007년 5월 27일 (일) 05:12 (KST)답변
Very thx. You are great! Pietras1988 TALK 2007년 5월 30일 (목) 15:37 (KST)답변

다지모: 한자 혼용판 위키백과 관련 요청[편집]

여기를 읽어주십시오. ― Yes0song 2007년 5월 28일 (월) 08:47 (KST)답변

singular they?[편집]

m:Requests for new languages/Wikipedia Hanja에서 Users interested in forming an editing community:란의 주석을 '1. They are not a native speaker but can read and write mixed script of Hangul and Hanja.'이라고 수정하셨죠? 일반적으로 They라면 補語로 native speakers가 와야 하잖아요. 혹시 마소리스 님이 쓰신 게 singular they인가요? 아니면 실수하신 건가요? ― Yes0song 2007년 5월 28일 (화) 22:55 (KST)답변

Yes0song님 덕분에 영어사전 찾아보네요, 네이버 영영사전을 보시면 2번째 뜻으로 he인가 she인가가 불확실 할 때 대신 the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영문 게시판을 사용하면서 이런 표현을 봐왔기 때문에 사용했었는데, 사전에 실제로 있는 표현인줄은 처음 알았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native speakers로 고치는 것이 좋겠지요. --마소리스 2007년 5월 28일 (화) 23:07 (KST)답변
Singular they는 선행사가 단수일 때만 성립 가능합니다. 애초부터 대명사로 문장이 시작되면 singular they가 아닙니다. --Kjoonlee 2007년 6월 30일 (토) 02:32 (KST)답변

Re: GFDL호환?[편집]

안녕하세요, 위키백과가 GFDL인 만큼 모든 자료가 GFDL 호환이여야 함이 옳기 때문에 그런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GFDL 호환이면 자동으로 DFCL 호환이 되지 않나요..? GFDL과 호환되면서 DFCL 비호환인 라이센스가 있다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DFCL이 강제사항인 것은 아닙니다. --Kjoonlee 2007년 6월 30일 (토) 02:36 (KST)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하지만 아직 잘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GFDL과 GFDL호환 저작권과 자유저작권의 차이점의 잘 모르겠습니다. 이에 관해 설명되어 있는 곳이 있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7월 5일 (목) 21:40 (KST)답변
GFDL보다 적은 것을 요구하는 라이센스는 GFDL 호환 라이센스가 될 것입니다. (예: 저작자표시요구 라이센스요.) 한편, GFDL에서 보장하고 있는 자유는 DFCW의 조건에서 요구하고 있는 자유와 상당부분 일맥상통하고, GFDL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DFCL을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GFDL도 자유라이센스의 일종이니까요. --Kjoonlee 2007년 7월 13일 (금) 22:09 (KST)답변

총의없는 지침?[편집]

'투표를 통한 총의가 없었다'는 게 무슨 의미인가요? 위키백과는 민주주의가 아니기 때문에 규칙을 투표로 결정하지 않습니다(Its primary method of determining consensus is discussion, not voting) --Klutzy 2007년 7월 5일 (목) 21:21 (KST)답변

말그대로 투표가 없었음을 알려주는 안내틀입니다. 어떤 지침의 경우 투표는 커녕 어떠한 토론도 없이 만들어진 것이 있던데, 이런 지침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틀의 내용을 바꾸는 것이 좋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7월 5일 (목) 21:31 (KST)답변
내용을 약간 바꾸어보았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5일 (목) 21:34 (KST)답변

불합리하게 여겨지는 정책/지침이 있는데 그 규칙이 만들어진 시점에 사용자들의 방향과 대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아예 정책/지침 틀을 떼세요. 과거에는 동의하는 분위기였지만 현재는 바뀌었다면 틀을 달지 말고 토론을 여세요.. --Klutzy 2007년 7월 5일 (목) 21:26 (KST)답변

투표는 컨센서스와 전혀 맞지 않습니다(m:Polls are evil#Polling discourages consensus). 바로 위에도 적었지만 토론이 전혀 없었고 현재 사용자들의 대부분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아예 정책/지침 틀을 떼세요. 지키지 않는 규칙은 '총의없는 규칙'이 아니라 그냥 규칙이 아닙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같은 경우는 제가 과거에 아마 실수로 엉뚱한 분류를 달아서 생긴 일인가 본데, 상식적으로 정책/지침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셔도 그냥 떼세요. --Klutzy 2007년 7월 5일 (목) 21:37 (KST)답변

저도 이 엉뚱한 틀과 분류에 반대합니다. 초창기부터 쓰이고 있던 관례에 대해서도 일일이 총의를 물어야 하는건가요? -- ChongDae 2007년 7월 5일 (목) 22:54 (KST)답변
말 그대로, 충분한 토론 없이 형성된 지침을 구분하기 위한 편의를 위한 틀입니다. 다른 목적은 없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5일 (목) 23:08 (KST)답변
사랑방 등에서 토론을 거쳤던 게 확실한 지침은 이 이상한 틀을 제거했습니다. 그렇다고 떼지 않은 지침이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ChongDae 2007년 7월 5일 (목) 23:00 (KST)답변
알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5일 (목) 23:08 (KST)답변

위키백과:새 문서 만들기는 도움말로 만들고 지침부분은 아예 제거했습니다(사용자 총의 없는 지침이라면 필요없기 때문에). 위키백과: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위키백과:길라잡이 (지켜야 할 것)에서도 사용되는 등 이미 기존 사용자들이 동의한다고 판단해 틀을 뗐습니다. 위키백과:스포일러 경고의 경우는 특수기능:Whatlinkshere/위키백과:스포일러 경고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수많은 문서에서 스포일러 틀이 사용되고 있고 스포일러 틀이 '수입'된 후부터 이 틀의 목적 자체에 대한 반대를 여태껏 거의 본 적이 없었을뿐더러, 또한 여러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의한 '네티켓'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틀을 뗐습니다. 위키백과:토막글도 마찬가지고요. 위키백과:사용자 문서위키백과토론:사용자 문서의 투표에서도 보시다시피 멀뚱이님을 제외하고는 3개월 동안 아무도 반대를 하지 않았기에 틀을 뗐습니다. 잘못된 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그리고 정책이나 지침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도 과거에 대부분이 동의해왔다면 그 자체로는 문제가 안 됩니다. 앞으로 바꿔야 한다면 몰라도요.. en:Template:Disputedtagen:Template:Underdiscussion는 '총의없는 규칙'을 뜻하지 않습니다. --Klutzy 2007년 7월 8일 (일) 00:58 (KST)답변

알겠습니다.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 표기 빼고는 전부 정리하셨네요 :) --마소리스 2007년 7월 8일 (일) 01:41 (KST)답변

위키백과:편집 지침에 있는 사용자 토론 - 저작물의 명칭과 표기[편집]

사용자:Hwi-ya님의 '찬성'투표도 무효화 시킬까요? Hwi-ya님도 투표시작후 만들어진 계정이라 무효화를 시켜야 될 것 같습니다. 이미 보고 있었지만, 마소리스님의 제안 회부때 명시적인 투표자격 규정이 없어서 일단 무효화를 못시켰습니다. 어떻게 할까요?--Kys951 2007년 7월 14일 (토) 10:30 (KST)답변

무효로 옮겼습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아직 투표 관련 정책이 없긴하지만, 관습적으로 투표 시작 이전에 생성되었거나, 기여가 극도로 적은 사용자에게는 투표권한을 주지 않고 있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14일 (토) 16:57 (KST)답변

언어분과위원회에 올리신 글에 답변이 달렸습니다.[편집]

Bèrto 'd Sèra 님이 마소리스 님의 글을 모르고 계신 것 같아서 제가 직접 알려드렸습니다. 그래서 Bèrto 'd Sèra 님이 답변을 주셨습니다.

m:Talk:Special projects subcommittees/Languages 역사 비교에서 확인하세요. ― Yes0song 2007년 7월 17일 (화) 00:32 (KST)답변

질문[편집]

틀토론:통용 표기 사용에 의견을 남겼는데 답변이 없으셔서 글남깁니다. 대충 다듬어봤는데(거의 순서만 재배열한거지만) 지금껀 어떤가요? -- Allen 2007년 7월 31일 (화) 00:29 (KST)답변

제 생각에는 표기법에 관한 틀의 사용방법보다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 표기에 관한 충분한 합의가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천어님이 지적하신 것 처럼 위키백과 지침을 무시하고, 무차별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31일 (화) 00:40 (KST)답변
통용 표기 사용틀은 만들어지지 6개월이 넘었는데 그 동안 확정된 사용법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마소리스님이나 천어님 말대로 무차별적으로 남발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틀의 사용법을 명확하게 확정짓는것입니다. 무차별적 악용에 대해서는 조항에 제한과 조건조항들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족한건 계속 채워나가면 됩니다. 그렇기에 의견을 계속 받고 있는것이고요. 외국어의 한글 표기 지침은 토론란을 보면 반대 의견이 더 많고,반대하는 분들이 토론에 더 적극인데, 이걸 부결된 지침으로 섣불리 바꾸는것도 좀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합의가 있긴 있어야 되는데 어떤 방향으로 합의를 내려야될지는 모르겠네요. 지금 상태론 해당 지침은 암묵적으로 잘 돌아가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아무튼, 답변 감사합니다. -- Allen 2007년 7월 31일 (화) 01:01 (KST)답변

한자혼용판의 코드에 관해[편집]

저는 굳이 kore를 hani로 되돌릴 필요가 없었다고 봅니다. kore=hang+hani인 만큼, 한글+한자 혼용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ko-kore를 쓰는 게 더 낫다고 봅니다. 현재의 한국어 위키백과는 한자가 괄호 안에 감춰져있는 형태(괄호 밖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음)이므로 표기법을 kore보다는 hang으로 간주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봅니다(물론 유니코드 콘소시엄 측에서는 이것도 kore로 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만, 콘소시엄 쪽 사람들이 사실 한국어의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진 않네요. 한글전용에 가까워도 kore라고 말할 수 있다면, 굳이 그 kore라는 코드의 존재 의의가 없다고 봅니다). ― Yes0song 2007년 8월 2일 (목) 23:46 (KST)답변

일단 유니코드측의 답변을 듣고 hani로 바꾸긴 했지만, Yes0song님 생각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메타에 이유를 적은다음 kore로 바꾸기시 바랍니다. ISO 15924에 관한 질문이 있다면, 여기에서 하시면 됩니다. --마소리스 2007년 8월 3일 (금) 11:14 (KST)답변

사용자:Masoris/생각[편집]

임시 복구해 놓았습니다. (특수 문자가 많아 메일로 보내도 깨질듯 싶네요.) 다른 관리자 분이 보기(?) 전에 빨리 복사해놓으세요. -- ChongDae 2007년 8월 9일 (목) 00:29 (KST)답변

복사했습니다. 이제 지워주세요. --마소리스 2007년 8월 9일 (목) 00:55 (KST)답변

위키백과와 거짓백과[편집]

서로 라이선스 조건이 달라 무작정 옮기면 라이선스 위반이랍니다. 위키백과는 GFDL, 거짓백과는 CC-BY-NC-SA니깐요. -- ChongDae 2007년 9월 4일 (화) 15:00 (KST)답변

다지모를 확대하는 게 어떨까요?[편집]

위키백과 언어분과위원들이 죄다 서양권 사람들이라 동양 사정에 정말 무지합니다.

메타에 다지모 국제판 같은 걸 만들고, 거기다 우리와 처지가 비슷하게 제안된 언어판 신청자들과 연대하는 겁니다. 일단 일본어 문어판과 일본어 고문판, 베트남 한자(쯔놈)판 준비하는 사람들을 끌어모아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리고 공동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진행합니다.

  • 해당 위키백과의 개설 허가를 촉구하는 결의문 등을 만들고, 직접 재단 측에 전달한다.
    • 언어분과위원회를 중심으로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상위 조직에도 요구서를 전달할 수 있다.
  • 여러 위키사용자들에게 왜 우리 모임이 조직되었는지, 우리 모임의 목표는 무엇인지 등을 이해시키는 설명문을 작성한다.

마소리스 님 생각은 어떠신가요? ― Yes0song 2007년 10월 3일 (수) 01:04 (KST)답변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다지모처럼 Meta의 사용자 페이지에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저의 생각은 페이지가 완성되면 그 때 적도로 하겠습니다. 어차피 Meta에 영어로 적어야 할 것 같으니깐요. 한자혼용 위키백과를 요구하면서 알았는데, Cantonese는 ISO 언어 코드가 있는데, Mandarin은 언어 코드가 없더군요. ISO 언어코드 선정도 문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0월 3일 (수) 16:49 (KST)답변

주제에서 벗어난 이야기입니다만 Mandarin도 언어코드 있습니다. en:Mandarin (linguistics)는 잘못된 것 같네요. en:Chinese language의 infobox를 살펴보면 Mandarin의 ISO 639-3 코드가 cmn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현 중국어 위키백과(zh:)는 cmn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만, 보기에 따라서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cmn은 문자 언어에 대한 분류라기보다 음성 언어에 대한 분류에 가깝습니다. 현재 중국어 위키백과는 현대 만다린의 북경 방언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백화문(白話文)으로 쓰여지긴 합니다만, 만다린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홍콩의 광둥어 사용자 등)들은 그냥 구어와 다른 문어처럼 배워 쓰고 있습니다(언문불일치). 그리고 백화문을 읽을 때는 자기 방언의 한자음으로 바꾸어 발음하긴 하지만 그 방언의 구어와는 차이가 있구요. 아무튼 이런 문제로 인해서 현 중국어 위키백과를 그저 cmn으로 처리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4일 (목) 14:14 (KST)답변

다지모 국제판(가칭) 설립에 관해 의견을 주시길 부탁드립니다.[편집]

제가 다양한 표기법 지원 모임에서 가칭 다지모 국제판을 설립하는 문제를 상정했습니다.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다지모 국제판 설립 방안에 대해 논의해 봅시다.를 읽어보시고, 그곳에 의견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3일 (수) 22:46 (KST)답변

위키백과토론:한자혼용[편집]

너무도 성급하십니다. 왜 다지모에서 의견을 모으지 않고 바로 저 논의를 시작합니까? 메타에서 안 먹히는데 여기서 먹히리라고 생각하십니까? 저는 다지모 국제판 개설 논의에 집중해야 한다고 봅니다만. ― Yes0song 2007년 10월 6일 (토) 22:31 (KST)답변

메타에서 통하지 않는 설득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통하리라는 법은 없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현 위키 시스템으로는 한 위키에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을 동시에 넣는 것은 무리입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6일 (토) 22:54 (KST)답변
글을 적기전에 Yessong님께 알리지 않은 것은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다음부터는 이런 결정을 하기전에는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굳이 위키백과토론:한자혼용에 글을 적은 이유는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의 의견을 들어서 나쁠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좀 더 기다려 봐야 알겠지만,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한자혼용으로 글을 적는데 그렇게 까지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제안이 통과된다 하더라고, 메타에는 한자혼용 위키백과를 계속 요구할 생각입니다. Yes0song님께서도 메타에서 진행되고 있는 토론에 지속적으로 참여해 주셨으면합니다. 여기서만 토론하는 것은 한자혼용 위키백과 생성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0월 6일 (토) 23:07 (KST)답변
예, 그렇지 않아도 좀 전에 메타에 올라온 반대 의견에 반박글을 썼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6일 (토) 23:16 (KST)답변

Pardonu al mi, mi estas nova kaj mi ne parolas tio lingvo sed mi volas helpi. Cxu vi scias helpo en artikoloj sur lingvoj ol geografio? --Parolu Esperanto 2007년 11월 13일 (화) 03:36 (KST)답변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편집]

그동안 개인 사정으로 위키 활동이 적었습니다.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며, 곧 이어서 위키아에 가서 의견 제시 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1월 13일 (화) 18:1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