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 기호(數學記號, 영어: mathematical symbol)는 수학에서 쓰는 기호로서, , 계산,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기호로 사칙연산+ (더하기표), − (빼기표), × (곱하기표), ÷ (나누기표)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수학 기호의 이름은 유명한 수학자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차용하여 짓기도 한다.

아래는 수학 기호의 목록이다.

기초 연산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더하기 와 수 를 더한 값을 의미한다.
빼기 에서 수 를 뺀 값을 의미한다.
음의 부호 반수를 의미한다.
플러스마이너스 에 대해 를 모두 의미한다. 이다.
측정에서의 범위 에 대해 부터 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mmmmmm를 의미한다.


곱하기 또는 와 수 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나누기 또는 0이 아닌 수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분수 0이 아닌 수 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소수 는 소수로 나타낸 실수를 의미한다.



순환소수 소수점 아래 반복되는 마디 위에 선을 긋거나 마디 양끝 위에 점을 찍어 순환소수를 표현한다.



제곱근 양수 제곱근을 의미한다.
거듭제곱근 제곱근을 의미한다.
^
거듭제곱 ^ 또는 거듭제곱을 의미한다. 인 경우 제곱을 의미한다.

^

절댓값 의 절댓값을 의미한다.
유한합 의 유한합을 의미한다.

관계 기호[편집]

기호 이름 설명 예시
등호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부등호 가 같은 수학적 대상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근삿값 의 근삿값임을 의미한다. ≃, ≅, ~, ≒로도 쓸 수 있다.
동형 는 두 대수 구조 동형임을 의미한다.
합동 △ABC ≅ △DEF는 삼각형 ABC와 삼각형 DEF가 합동임을 의미한다. △ABC ≅ △DEF
동치관계 집합원소 가 동치 관계임을 의미한다.


부등호 는 주어진 순서에서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는 주어진 순서에서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등호 는 주어진 순서에서 이하임을, 즉 보다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는 주어진 순서에서 이상임을, 즉 보다 작지 않음을 의미한다.





정의 기호 는 대상 수식 로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집합론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공집합 원소가 없는 공집합을 의미한다.
한원소 집합 하나만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의미한다.
원소나열법으로 표현한 집합 중괄호 안에 원소를 나열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집합을 표현한다.


조건제시법으로 표현한 집합 또는 에 대한 술어 에 대하여, 이 되도록 하는 원소 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포함관계 또는 원소 집합 에 속함을 의미한다.


미포함관계 또는 원소 집합 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분집합 , , ,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진부분집합 , 집합 가 집합 의 진부분집합임을 의미한다. 저자에 따라 , 이 진부분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부분집합이 아님 , , , 집합 가 집합 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의미한다.


합집합 집합 에 속하거나 집합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

는 어떤 에 대해 집합 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족 에 대해 이다.



교집합 집합 와 집합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

는 모든 에 대해 집합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족 에 대해 이다.









분리합집합 , , 집합 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

, 는 주어진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 에 대해


여집합 또는 전체집합 의 원소 중 가 아닌 것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로 쓰기도 한다.



차집합 또는 집합 의 원소 중 집합 에 있지 않은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곱집합 집합 의 곱집합 을 의미한다.

는 주어진 집합족 에 대해 을 의미한다.

함수 화살표 함수 집합 에서 집합 로 사상함을 의미한다. 정의역공역실수함수이다.
함수 화살표 또는 함수 정의역의 원소 공역의 원소 에 대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와 같은 의미이다.
함수의 합성 함수 의 합성 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역함수 함수 의 역함수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멱집합 또는 집합 부분집합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로도 쓴다.
함수 전체집합 집합 에서 집합 로 사상하는 함수 전체의 집합을 의미한다.


집합의 크기 또는 집합 의 크기를 의미한다. , 로도 쓴다.

  • 또는 상한
  • 또는 하한
  • 최대 원소, 최소 원소
  • 전단사함수
  • 알레프 수
  • 베트 수

논리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논리적 부정 명제 에 대해 , , , , 는 모두 부정을 의미한다. ¬(¬A) ⇔ A
xy ⇔ ¬(x = y)
논리합 AB라는 명제는 A 또는 B가 참이라면 참이 된다. 양쪽 모두가 거짓이라면 명제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는 max(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논리곱 명제 ABAB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된다. 다른 경우에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 min(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실질적 함의 , , , 는 술어 가 참일 때 술어 도 참임을 의미한다. 즉 와 논리적으로 같다.


동치 ABB가 참이면 A는 참이고, B가 거짓이면 A도 거짓이다. x + 5 = y + 2 ⇔ x + 3 = y
전칭 기호 x: P(x)P(x)는 모든 x에 대하여 참임을 의미한다. n ∈ ℕ: n2n.
존재 기호 x: P(x)는 P(x)가 참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x 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n ∈ ℕ: n은 짝수이다.
유일 한정자 ∃! x: P(x)는 P(x)가 참인 x가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 n ∈ ℕ: n + 5 = 2n.
약수가 아니다

기호[편집]

기호 의미 정의
자연수 집합 . 경우에 따라 0을 포함하기도 한다.
정수 집합
p진 정수환 (p소수) p진수 참고

에 대한 몫환 모듈러 산술 참고
n으로 하는 정수곱셈군
유리수 집합
p진체 p진수 참고
실수 집합 실수의 구성 참고
복소수 집합 . 허수 단위이다.
사원수 집합 . 기저이다.
팔원수 집합 팔원수 참고

GF(q)
유한체 (q소수거듭제곱) 원소의 개수가 개인 (p소수) 유한체

상수[편집]

미적분학해석학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미분라그랑주 표기법 함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은 각각 함수 의 이계 도함수와 삼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계 도함수를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미분뉴턴의 표기법 는 일반적으로 시간 에 의존하는 변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가 물체의 위치를 의미하는 변수이면 는 물체의 속도를 의미한다.
미분라이프니츠의 표기법 변수 에 의존하는 변수 의 도함수를 의미한다.

는 단일 변수 에 의존하는 함수 의 도함수를 의미하고, 에서의 도함수의 값을 의미한다.

함수 에 대해
편미분 , , , 변수 에 의존하는 함수 에 대한 편미분을 의미한다. 에 대해
경계 위상 공간부분 공간 의 경계를 의미한다.
부정적분 는 도함수가 f인 함수를 의미한다.
정적분 x 축과 x = ax = b 사이에 있는 함수의 그래프 사이에 지정된 넓이이다.
선적분 는 곡선 를 따르는 함수 를 의미한다. 에서 은 곡선 의 매개변수화를 의미한다.
합성곱 함수 의 합성곱 을 의미한다.

추상대수학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행렬 번째 행 번째 열의 성분이 행렬을

또는 로 표기한다. 또는 로 표기하기도 한다.

역행렬 행렬 의 역행렬을 의미한다. 에 대해








전치 행렬 , , , , 행렬 의 전치 행렬을 의미한다.






켤레 전치 , ,, 복소 행렬 의 켤레 전치를 의미한다. 에 대해
쌍대 공간 벡터 공간 의 쌍대 공간을 의미한다.


가역원으로 이루어진 곱셈군 에 대해 또는 가역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인 경우 이다.



고전적 수반 행렬 행렬 여인자 행렬전치 행렬이다.


행렬식 또는 행렬 의 행렬식을 의미한다.


단위 행렬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

행렬의 크기가 중요하지 않거나 생략해도 되는 경우 로 쓰기도 한다.

대각 행렬 번째 대각 성분이 인 대각 행렬이다.
대각합 정사각 행렬 주대각선 성분들의 합이다. 에 대해
행렬의 닮음 행렬 가 닮음임을 의미한다.
이항 연산 임의의 이항 연산을 나타낼 때 를 사용한다. 는 이항 연산 가 주어진 집합 이다.
스칼라곱 uv벡터 uv의 스칼라곱을 의미한다.
벡터곱 u × v벡터 uv의 벡터곱을 의미한다.
내적 내적 공간 의 원소 의 내적을 의미한다. 내적 공간 참조. 실수에서 원소 의 내적은
외적 벡터 의 외적을 의미한다. 에 대해

텐서곱 벡터 공간 의 텐서곱을 의미한다.


직접곱 ,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 가군, 위상 공간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의 직접곱을 의미한다.



반직접곱 또는 의 반직접곱을 의미한다.
직합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 의 직합을 의미한다.

벡터 공간, 아벨 군, 가군 등의 대수 구조들의 모임 의 직합을 의미한다. 유한 집합인 경우 직접곱과 같다.

쌍대곱 범주 의 대상의 집합 의 쌍대곱을 의미한다.
화환곱 반군 가 각각 집합 의 오른쪽에서 작용할 때 의 화환곱을 의미한다.


부분군 가 군 의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진부분군 가 군 의 진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정규 부분군 또는 의 정규 부분군임을 의미한다. 에 대해
몫공간 몫집합, 몫군, 몫환몫공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G, N에 대해 몫군을 의미한다.

체의 확대 F가 체 E확대임을 의미한다.

괄호 기호[편집]

기호 이름 설명 예시
브라 벡터 φ|는 벡터 |φ⟩의 쌍대를 의미한다.
켓 벡터 |φ⟩는 φ 표시와 함께 표기되는 벡터를 의미한다. 힐베르트 공간 안에 있다.
  • 개구간
반개구간
  • 폐구간
  • 바닥함수
  • 절대값, 행렬식, 노름(norm)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최접근 정수함수
  • 우선 연산 기호 또는 행렬 또는 행렬식 또는 조합
좌표계, 튜플

  • 순서쌍, 튜플
  • 큐-아날로그(큐-브라켓)
  • 큐-포흐하머 기호(q-Pochhammer symbol) 또는 큐-쉬프티드 팩토리얼(q-shifted factorial)

미분류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계승 자연수 에 대해 을 의미한다.
준계승 자연수 에 대해 개의 원소에 대한 완전순열의 수를 의미한다.


조건부 확률 또는 는 사건 가 일어났을 때 사건 가 일어날 조건부 확률을 의미한다.
확률 분포 확률 변수가 특정 확률 분포를 따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확률 변수 표준 정규 분포를 따를 때, 라 쓴다.
  • 약수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켤레복소수
  • 클레이니 스타 또는 복소켤레
  • 포흐하머 기호(상승 팩토리얼, 하강 팩토리얼)
  • 소멸자생성자

수식이 아닌 기호[편집]

기호 의미 설명 예시
그러한 (such that);
...하기 위해서(so that)
:는 "그러한 (such that)" 또는 "...하기 위해서(so that)"를 의미하며, 증명이나 조건제시법에서 쓰인다. n ∈ ℕ: n는 홀수이다.
그러므로;
따라서
증명에서 논리적 귀결 앞에 쓰인다. 인간은 도덕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이다. (단, 이것은 항상은 아니다. 예 : 사람은 동물이다. 사자는 동물이다. ∴사람은 사자이다. 이것은 모순이다.)
왜냐하면 증명에서 근거 앞에 사용된다. 11은 소수이다. ∵ 그 자신과 1 이외에 다른 약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Q.E.D. 증명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중략) 따라서 증명이 완료된다. ■

예를 들면(for example)
such that
바꾸어 말하면(that is 또는 [áiìː])
즉(namely)
without loss of generality. 일반성을 잃지 않고.
the following are equivalent 다음에 서술하는 조건들이 동치임을 의미한다.
want to show 다음에 서술하는 것을 증명하려 함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Goldrei, Derek (1996), 《Classic Set Theory》, London: Chapman and Hall, 4쪽, ISBN 0-412-606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