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레곤초원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레곤초원쥐
오레곤초원쥐
오레곤초원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비단털쥐과
아과: 물밭쥐아과
족: 물밭쥐족
속: 밭쥐속
종: 오레곤초원쥐
(M. oregoni)
학명
Microtus oregoni
(Bachman, 1839)

학명이명
이명 목록[1]
  • Arvicola oregoni
    Bachman, 1839
  • M. adocetus
    Merriam, 1908
  • M. bairdii
    Merriam, 1897
  • M. cantwelli
    Taylor, 1920
  • M. morosus
    Elliot, 1899
  • M. oregoni
    Miller, 1896
  • M. serpens
    Merriam, 1897
오레곤초원쥐의 분포

오레곤초원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오레곤초원쥐(Microtus oregon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3] 북아메리카태평양 북서부 지역에 분포하며, 숲과 초원, 삼림 지대, 수풀 등에서 서식한다. 작은 꼬리와 부드러운 갈색-회색털을 가진 포유류이며, 표본은 컬럼비아강 어귀에서 수집되었고 1839년에 처음 기재되었다. 분포 지역에서 가장 작은 밭쥐로 몸무게는 약 19g이다. 분홍색의 털이 없고 눈을 뜨지 못하는 상태로 태어나며 몸무게는 약 1.6g이고 늘어진 귀가 귀 입구를 완전히 덮여 있다. 분포 지역에서 흔하지 않지만 생존에 위협에 느낄 정도의 특별한 위협 요소는 없다.

분류학[편집]

1839년 바흐만(John Bachman)이 처음 기술했다.[4] 원래 학명은 Arvicola oregoni이었다.[4] 모식표본은 나이든 수컷으로 오레곤주 컬럼비아강 어귀에서 1836년 11월 2일에 수집되었다.[4] 표본은 바흐만이 제출했고, 존 커크 타운센드(John Kirk Townsend)가 검토했다.[4] 이어서 다른 학자들이 컬럼비아강 입구 아스토리아에서 표본을 수집했다.[5] 1857년 베어드(Baird)가 물밭쥐속(Arvicola) 물밭쥐아속(Arvicola)에 Arvicola oregoni로 분류했다.[6] 1874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에서 쿠스(Coues)는 오레곤초원쥐 학명을 Arvicola (Chilotus) oregonus로 명명하고, 킬로투스(Chilotus)를 아속으로 재분류했다.[7][8] 이어서 밀러(Miller)가 오레곤초원쥐를 밭쥐속에서 속하는 킬로투스아속으로 재분류했다.[9] 이는 오레곤초원쥐의 현재 학명 Microtus oregoni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다.[5] 이어서 미노메스아속(Mynomes)으로 재분류했다.[1]

특징[편집]

오레곤초원쥐 평균 몸무게는 약 19g, 몸무게 범위는 14.5~27.5g이다.[5] 평균 몸길이는 약 140mm이고 몸길이 범위는 129~154mm이다.[5] 분포 지역 내의 다른 밭쥐와 비교하여 오레곤초원쥐가 가장 작다.[5] 다른 밭쥐에 비해 눈이 작고(직경 약 2mm), 같은 지역에 분포하거나(동지역성 종분화) 인근 지역에 분포(근지역성 종분화)를 보인다.[5]

각주[편집]

  1. Musser & Carleton 2005.
  2. “Microtus oregon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4.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4년 12월 10일에 확인함. 
  3.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01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4. Bachman 1839, 61쪽.
  5. Verts & Carraway 1985, 1쪽.
  6. Miller 1896, 21–22쪽.
  7. Miller 1896, 22쪽.
  8.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7일에 확인함. 
  9. Miller 1896, 60–62쪽.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