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웅가바목걸이레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웅가바목걸이레밍
웅가바목걸이레밍
웅가바목걸이레밍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비단털쥐과
아과: 물밭쥐아과
족: 목걸이레밍족
속: 목걸이레밍속
종: 웅가바목걸이레밍
(D. hudsonius)
학명
Dicrostonyx hudsonius
(Pallas, 1778)
웅가바목걸이레밍의 분포

웅가바목걸이레밍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웅가바목걸이레밍 또는 래브라도목걸이레밍(Dicrostonyx hudsonius), 엉게이바목걸리레밍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북아메리카 레밍이다.[1]

특징[편집]

짧고 통통한 몸에 갈색과 회색 털이 덮여 있으며, 얇고 짙은 줄무늬가 등을 따라 이어지며, 옆구리 쪽으로 노란 줄이 나 있다. 작은 귀와 짧은 다리, 아주 짧은 꼬리를 갖고 있으며, 목덜미의 붉은 무늬가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지며 귀 뒤로 붉은 반점이 있다. 겨울에는 흰털이 덮이며, 땅을 파기 좋게 앞발에 발톱이 발달해 있다. 평균 몸길이는 14cm이고, 꼬리 길이는 1.5cm, 몸무게는 약 60g이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퀘벡주 북부와 래브라도툰드라 지역에서 발견된다. 여름에는 풀과 사초속 식물, 기타 녹색 식물을 먹고, 겨울에는 버드나무와 사시나무, 자작나무 등을 먹는다.

생태[편집]

일년에 2~3번에 걸쳐 4~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지하 또는 은폐된 식물 속 둥지에서 새끼를 낳는다. 연중, 밤과 낮에 모두 활동적이다. 지표면 위 식물 사이에 통로를 만들며 영구동토층 위에 굴을 판다. 겨울에는 눈 아래에 굴을 판다. 3~4년을 주기로 개체수가 과잉 또는 급락한다. 개체수가 최고로 달할 때 레밍은 과잉 지역을 벗어난다. 마지막 빙하기 시기에 남아 있던 웅가바레밍의 흔적이 현재 분포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오타와 계곡에서 발견된다.

각주[편집]

  1. “Dicrostonyx hudsoni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5월 24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2.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