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09년 제34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2009년 제34주
2009년 8월
31 27 28 29 30 31 1 2
32 3 4 5 6 7 8 9
33 10 11 12 13 14 15 16
34 17 18 19 20 21 22 23
35 24 25 26 27 28 29 30
36 31 1 2 3 4 5 6


뭐 이런 녀석이 다 있는지... ㄱ-;;;[편집]

  • 한 2주전에 사용자:A.general와 관련된 악의적인 계정의 활동을 방해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랬더니, 영어 위키백과의 제 사용자 문서에 이런 짓을 해놨더군요.

A Korean user who is strongly regarded most junkish by many users.

There are some examples committed by the above.

- Practicing abuses of the right of editing. - Deleting many innocent user ids by no reasons. - Disturbing users' working on deep research.

Currently, I personally estimate that there are so many tremendous errors in other languages, especially in the languages which are very far from English (wiki's central...). Thus, I hereby expose a little savagery or such like behaviors related to THIS KIND OF JUNK. (above are really few)

And I am glad you (readers or witnesses) drop by or find here and read those things. Thank you for reading and good lucks on your working. :)

영어위키피디아에 있는 글을 번역하면서 그 글에 있는 사진을 넣고 싶은데요 그래도 되나요?[편집]

영어 위키피디아에 있는 글을 번역하려고 하는데 그 글에 있는 사진을 넣고 싶습니다. 퍼블릭 도메인은 아닌데 대충 '이 파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 요약하면, 원저작자를 표시하고 본 라이선스와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하는 조건으로 이 파일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공식 라이선스 전문을 참고하십시오.' 이라고 되어있는데요. 한국어 위키피디아에서 원저작자 표시해주고 이 사진을 사용해도 될까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샬롯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이 경우 공정사용이 아니면 파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려서 사용해주세요.----hyolee2♪/H.L.LEE 2009년 8월 17일 (월) 16:15 (KST)답변
물론이죠. 언급하신 대로 원저작자를 표시하고 배포시에 같은 라이선스로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7:49 (KST)답변

저작자가 불분명한 사진 발견[편집]

파일:090801 (31).jpg 파일:Gyulee.jpg 파일:Seungyeon.jpg 파일:NicoleJ.jpg 파일:Jiyoung.jpg 파일:Hara.jpg 사진의 저작자가 불분명합니다. 라이선스 없음 틀을 달아야 하는 지 고민 중입니다. 위키 사용자 여러분의 의견 부탁합니다.Q0v9z8 (토론) 2009년 8월 18일 (화) 02:54 (KST)답변

저작권 침해입니다. 워터마크에 나와있네요. Kwj2772 (msg) 2009년 8월 18일 (화) 08:30 (KST )
해당 문서에서 저 그림을 모두 뺐습니다. 그냥 삭제 신청해도 될 듯 싶습니다만..... --WhiteNight7(Talk) 2009년 8월 18일 (화) 10:26 (KST)답변
확인해보니 상업적 이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Kwj2772 (msg) 2009년 8월 18일 (화) 10:41 (KST)답변

애도합니다.[편집]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관리자분들께서는 다행히도 빠르게 준보호 처리를 하셨네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18일 (화) 15:05 (KST)답변

▶◀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Ha98574 (토론) 2009년 8월 18일 (화) 17:17 (KST)답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정육면체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01:21 (KST)답변
▶◀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hyolee2♪/H.L.LEE 2009년 8월 19일 (수) 09:01 (KST)답변
[謹弔] ‘행동하는 양심’, 그 말씀 잊지 않겠습니다. 편히 쉬십시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1:15 (KST)답변
▶◀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닭살튀김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1:30 (KST)답변
▦ 편히 쉬십시오. 자손투 Jasontwo 2009년 8월 19일 (수) 22:17 (KST)답변
▶◀ 정치인이야 누구든 일부 국민의 욕을 들어먹게 되어있지만, 분명한 것은 그는 한 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희망이었다는 사실입니다. 코라손 아키노에 이어 아시아 민주화의 영웅을 또 하나 잃었군요. --미국에서 정안영민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16:31 (KST)답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Les Templiers% et %Templiers Noirs Discussion Histoire 2009년 8월 21일 (금) 06:54 (KST)답변
국장을 치른다고 합니다. 합당한 예우입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1일 (금) 10:03 (KST)답변
▦ 편히 쉬시길. --람다람쥐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1일 (금) 15:26 (KST)답변
▶◀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베이징 (토론) 2009년 8월 21일 (금) 15:56 (KST)답변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7:46 (KST)답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며 국장으로 치루는 것에 대해 정말 합당하다 여겨집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3일 (일) 07:12 (KST)답변

영어 위키백과 300만 돌파![편집]

독일어 위키백과도 가을 쯤이면 100만을 돌파할 듯 싶군요. -- ChongDae (토론) 2009년 8월 18일 (화) 17:00 (KST)답변

넘사벽인 300만을 돌파했군요. 실로 대단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18일 (화) 17:33 (KST)답변
편집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영어 위키백과는 문서 수도 대단하지만 그 깊이 또한 탄복할 정도의 수준이더군요. --Chunjae41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2:15 (KST)답변
한국위키백과도 언젠가는 300만 돌파하겠죠? -_---Bsi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5:11 (KST)답변
아득합니다… ^^; --닭살튀김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5:22 (KST)답변
포털에서도 검색결과가 나오고 있고 문서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니 언젠가 100만 넘을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Park6354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7:28 (KST)답변
긍정적으로 생각하세요~♬ 좋은 사용자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는 건 그만큼 한국어판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Š.ßULLET.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22:20 (KST)답변

나로(NARO)호 발사[편집]

잡담입니다만, 나로호 발사시간이 임박하고, 기상상태도 좋습니다. 오후 5시에 발사한다고 하는데, 지금이라도 당장 빨리 크고 웅장한(?) 발사장면을 보고싶네요. 사용자분들도 지금 tv 보시면서 발사순간을 기다리고 계시겠죠? ^^--Bsi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6:26 (KST)답변

찬물을 끼얹는 것 같기도 하지만 기대는 작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성공할 때 기쁨이 두 배가 되지요! adidas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6:36 (KST)답변
그래야겠군요.--Bsi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6:55 (KST)답변
여건이 안되는데 무리하게 하느니 기다리는 것도 좋지요. adidas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8:00 (KST)답변

제 생각에 나로의 발사는 좋은 일입니다. 그런데 로시아(?) 눈치만 살피는 것 같습니다. 신문에서 보니 우리 기술진은 1단 로켓의 내부를 볼 권한도 없다더군요. 기술 이전에 대한 확약도 없고 말입니다. 김해시민™-우체통-업적 2009년 8월 20일 (목) 08:36 (KST)답변

애초에 '혈맹' 미국과 제휴가 잘 되었다면 이런 일도 없었겠지요? 사실 미국과 기술제휴를 했다 치더라도 러시아 정도의 제한은 있지 않았을지. adidas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15:59 (KST)답변
우리나라에서 러시아와 기술제휴를 하는 것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미국의 비협조 등) 무엇보다도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소련 붕괴되면서 온갖 군사기술이 헐값에 나와버렸죠. 그래서 미국이 정밀폭격 어쩌고 하고 있을때(물론 오폭이 난무하지만) 러시아는 걍 도시 하나를 밀어버린다는... Clockoon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16:20 (KST)답변
음, 그렇군요. 김해시민™-우체통-업적 2009년 8월 20일 (목) 20:47 (KST)답변
급하게 하기보다는 안전이 제일이죠. 연기하는 것도 나름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우주 개발에서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하니까요. 우리는 아직 챌린저와 콜롬비아의 비극에서 한 세대도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1일 (금) 10:04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편집]

궁금한 게 있어서 그러는데... 한국어 위키백과는 대한민국 법을 준수할 이유가 있습니까? 제가 알기로는 서버가 미국에 있는데, 이 경우 미국 법에 영향을 받지 한국 법에 영향을 받지는 않은가요? 흠... 최근 외래어 표기랄찌 저작권 문제랄지 .. (물론 저작권 등은 국제적인 저작권 협약에 따른 거긴 하지만 :) - 이름은 까먹었습니다 ;; ) 순수하게 질문드려봅니다. :) 한국 위백으로 알고 있었는데 문서를 편집하다 보면 한국, 한국의 위백으로 느껴질 때가 많아서요... UNCIA Discussion ·Contributions 2009년 8월 19일 (수) 16:41 (KST)답변

의견 백:저작권은 위키 공식정책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은 위키 공식 정책이 아닌 국립국어원의 규정이라고 생각됩니다.Q0v9z8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6:54 (KST)답변
제 말은 이 정책을 적용할때,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따르는 경우가 많아서요. 대한민국 내에서 저작된 저작물이어서 그런건지... UNCIA Discussion ·Contributions 2009년 8월 19일 (수) 17:02 (KST)답변
표기법은 표기법이 명백히 틀렸을 경우에는 따르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이 역시 '신뢰할 만한 출처'에 근거해야 겠고요. 그리고 저작권법의 경우, 한국어판의 실질적 기반이 대한민국에 있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이후 위키미디어 대한민국 지부가 생길 때도 대비해야 하겠고요. adidas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17:00 (KST)답변
편집자 거의 대부분이 대한민국에 사는 대한민국인이라면, 대한민국 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할 경우, 대한민국 법에 따라 대한민국 경찰 또는 검찰에서 '조치'를 '사용자'에 대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준수하는게 신상에 좋을듯 합니다. --H군 (토론) 2009년 8월 19일 (수) 23:58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 서버 서울에 있지 않나요? ∫∫∫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00:34 (KST)답변

예. 서울에 있는 야후 서버를 한 때 이용했습니다만, 현재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09:44 (KST)답변

위키미디어 공용의 자료 경우에는 서버가 위치하는 국가와 파일을 올리는 사람의 국가의 저작권법이 적용됩니다. 제 3자 웹사이트의 자료를 올리는 경우에는 해당 웹사이트 서버가 위치하는 국가의 저작권법도 적용되지요.--닭살튀김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09:04 (KST)답변

저작물이 속한 국가의 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 jtm71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2:42 (KST)답변

뉴스에 포함된 사진의 저작권[편집]

사용자:Akiragk님이 파일:GunsanDongHighSchool.jpg을 업로드 했는데 사진 속에 "군산뉴스"라고 워터마크가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가보니 저작권 관련해 언급하는 부분이 안보였습니다. 라이선스 없음 틀을 달아야 하는 지 고민 중입니다. 위키 사용자 여러분의 의견 부탁합니다.Q0v9z8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14:58 (KST)답변

명백히 군산뉴스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삭제틀을 붙히면 좋습니다.----hyolee2♪/H.L.LEE 2009년 8월 20일 (목) 15:10 (KST)답변

이거 해결할 줄 아시는 분?[편집]

며칠 전부터 자꾸 문서 편집 비교를 보면 초록색이나 노랜색 등으로 나오는 게 아니고, 계속 검은 비교 화면만 뜨네요. 뭐가 바뀐건지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문제 현상이 뭔지 아시는 분은 좀 알려주시길...--Ph (토론) 2009년 8월 20일 (목) 23:15 (KST)답변

스샷 찍은후 위키백과에 올려서 사랑방에 보여주실순 없나요?--Leedors (토론) 2009년 8월 21일 (금) 00:35 (KST)답변

병합에 참여해주세요[편집]

전여옥 폭행 사건에 대한 삭제 토론병합으로 끝을 맺음에 따라, 병합 작업이 필요합니다. 정치분야는 제 전문분야가 아니라서, 어느 부분을 병합시켜야 할지 모르겠네요. 다른 사용자분들께서 도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전여옥 문서에 관련된 단락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21일 (금) 15:19 (KST)답변

틀:내비게이션의 사용이 눈에 띄네요?[편집]

이럴거면 밑의 분류난은 왜 있는 겁니까? 차라리 분류난을 맨 위로 끌어올리는 게 낫겠네요. 거기에다 분류난을 따로 편집하는 기능을 만들면...

아, 이참에 인터위키만을 따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만들면 어떨까요? -- 성혀니 (토론) 2009년 8월 21일 (금) 18:52 (KST)답변

지금도 충분히 가능할텐데요? 김해시민™-우체통-업적 2009년 8월 21일 (금) 20:14 (KST)답변
네비게이션 부분은 일본의 웹사이트에서 종종 보이는 스타일입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도 자주 보이고요. 없애자는데 저도 찬성입니다. -- ChongDae (토론) 2009년 8월 21일 (금) 21:50 (KST)답변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위키문헌으로 올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편집]

s:위키문헌:글로벌백과에서 표면상으로는 작업이 진행중입니다만, 여러모로 힘이 부족합니다. 일단 요점을 말씀드리면 지식공유 프로젝트로 공개된 글로벌 세계대백과를 위키문헌에 올려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좀 더 잘해보자는 의견이 모아졌었고, 그래서 케골님이 나서서 온전한 데이터(다음 웹페이지 자료는 좀 불완전합니다)를 위키문헌에 올리는 작업을 진행하셨었습니다. 아무래도 혼자 하시기에는 좀 어려우셨던지 지금은 작업이 전혀 진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저도 잘 모르겠으나, 어느정도 그 방법은 정해진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지금 필요한 것은 일련의 작업들을 할 줄 아는 분의 '일손'입니다.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09년 8월 21일 (금) 23:57 (KST)답변

돐되는 간난쟁이가 재미있는 여가생활을 무지 방해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시간이 되면 일을 더 진행할 예정입니다. 더 많은 참여자가 필요합니다. --케골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07:11 (KST)답변
아기 보는것보다 더 즐거운 일은 없죠:) 처음부터 빠르고 쉽게 진행될 일은 아니었구, 어찌되었든 힘이 더 필요하네요. 구체적으로 어떤 쪽에 더 참여자가 필요할지 말씀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09년 8월 24일 (월) 23:29 (KST)답변

우리은행,광주은행,경남은행문서에 관해서[편집]

지금 어느분이 "한편, 우리금융그룹에 속해 있는 가족회사인 우리은행, 경남은행과 연계되는 거래는 당행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뱅킹으로 광주은행 계좌에서 경남은행으로 송금할 때는 수수료가 없으며, 광주은행 카드로 우리은행 기기를 통해 인출시에는 당행간 거래로 간주되어 영업시간중에는 수수료가 없다. 또한, 우리은행 기기에서 광주은행 카드로 입금시에도 수수료가 없다. " 이런식으로 문서에 수수료면제된것까지 얘기하시는데, 백과사전에 수수료면제까지 구지 얘기해야 하는지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이 의견을 2009년 8월 22일 (토) 10:37에 작성한 사용자는 금융과사람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by 이니그마7 (토론하기)

해당 내용을 입력한 편집자와 토론하시는 것이 빠를 것으로 보입니다. 언급하신 내용이 추가된 지 사흘 밖에 지나지 않았기에 해당 내용에 대해 아시는 분도 아직 별로 없을 것이고, 편집분쟁은 당사자끼리 해결하시다가 정 안 될 경우 {{의견요청}} 틀을 다시거나 조정을 요청해주세요. 개인적으로는 '당행으로의 인식'에 대한 사례 제시로 크게 문제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수수료가 없다'라는 표현 보다는 '이체 수수료가 면제된다'는 표현이 좋겠네요.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7:42 (KST)답변
상대방과 토론 하기전 상대방 사용자토론 역사를 봤는데, 상대방에 대한 토론을 무시하고, 듣기싫은 말은 무조건 사용자토론을 삭제하시더군요. 전에 어느분과 토론하다가 인신공격까지 할 정도면 말을 다한 거죠? 즉, 저분과는 토론해 봤자 자기주장만 내세울게 뻔하단 얘기죠.. 다른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 이 의견을 2009년 8월 22일 (토) 20:37에 작성한 사용자는 금융과사람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런거는 제가 알기로 차단정책에도 저촉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한번 제소해보세요. 김해시민™-우체통-업적 2009년 8월 23일 (일) 11:04 (KST)답변
사용자토론을 삭제하면 막장인거죠. 말이 안통하면 차단 신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0v9z8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22:44 (KST)답변

(종합의견) 인신공격 피해자분이 해당사용자 차단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위키 운영진분들이 너무 관대하셔서 차단을 안해주시더군요. 제가 제시한 글에 대해선 입장을 밝히시는 분이 한분밖에 없기 때문에, 당분간은 해당 문구에 대해 유지를 하는 방안으로 가야 겠군요.--사용자:금융과사람 (토론) 2009년 8월 25일 (토) 21:36 (KST)답변

이제 110000개 문서 돌파하면[편집]

뭐 로고가 바뀐다라든가 그런 거 없나요? 9만 -> 10만 보다 10만 -> 11만이 더 빠른 듯한 느낌이 들어요.--Leedors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5:16 (KST)답변

제가 관리자는 아니지만 아마 그런 일은 없을 것 같네요. ^^ 10만 지나고 더 빨리 20만을 보고 싶은 위키피디언들의 바람이 문서생성 속도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7:28 (KST)답변

오늘자 한겨레 잠깐독서[편집]

오늘자 한겨레 지면을 보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21면에 실린 '잠깐독서' 코너 중 위키백과와 관련된 부분이 조금 있어 소개해봅니다.

《천황제 코드》(조용래 지음/논형·1만6000원) 3년 전까지 ‘녹색의 날’로 불리던 일본의 국경일이 있다. … 일본 정부는 2007년부터 이 날을 아예 ‘쇼와의 날’로 바꾸어 부른다. … 한글판 위키백과에 들러 ‘쇼와 천황’을 검색해보니 내용이 가관이다. “확인된 것은 없다”면서 넌지시 그가 반전평화주의자일 수도 있겠다는 착각에 빠뜨린다. ‘천황제 코드’가 일본에서만 암약하고 있는 건 아닌 모양이다.

실제 한국어 위키백과의 문서 내용입니다.

그는 정작 대미전쟁을 우려하여 군주의 발언이 금지된 최고 회의에서도 반전의 의지를 은근히 드러내는가 하면 독일 및 이탈리아와의 동맹에도 반대했었다고 하나 한편으로는 그가 일본의 군국주의를 맹렬히 지지하여 당시의 팽창주의 정책 입안에 관여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어, 어느 쪽도 확실히 확인된 바 없다.

이 문서 내용을 좀 고쳐야 하지 않을까요? 다른 사용자 여러분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6:29 (KST)답변

누가 편집했는지는 몰라도...히로히토가 반전의 의지를 드러냈다고 하니;; 참 어이 없군요. --Š.ßULLET.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6:34 (KST)답변

이 글이 올라온 후, S.BULLET.님께서 해당 내용을 삭제하셨다는 것을 여기에 써 둡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16:53 (KST)답변

저는 공정해 보이는데요? 이견을 소개할 뿐더러 백:중립에도 어긋나지 않는 적절한 서술이라고 보입니다. 물론, 저 필자는 '한국 위키백과'라고 인식한 전제 가운데서 저글을 썼는 것 같습니다. --H군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00:34 (KST)답변

히로히토가 반전주의자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당시 일본이 내각제가 아닌 전제 군주제와 내각제의 혼합 형태였고 최고 통수권과 결정권은 천황에 있고 육군 대연습이나 어전회의에도 열성적으로 참여한 히로히토에게 반전 의지가 있었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그랬다면 왜 히로히토가 전쟁을 일으켰을까요?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3일 (일) 07:16 (KST)답변

반전 의지가 있는 지 없는 지는 모르겠으나, 2.26사건에서 전제 군주제를 시도한 젊은 장교에 대한 태도와 1945년 종전(패망)의 기로에서 본토결전을 피한 것으로 볼때, 어느 정도 변론은 되지 않을 까 생각은 드는 군요. 명확히 반전주의자라고는 말은 못하겠지만. 서로의 시각의 차이겠죠.--Gwpei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03:24 (KST)답변
사용자:220.118.77.132가 처음에 히로히토 문서를 만들 때부터 이렇게 썼더군요. 장장 4년이나 이런 내용이 기재되었다니...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3일 (일) 07:20 (KST)답변

이거 정정보도 신청감이네요?

"위키"가 들어간 한겨레 기사 검색결과 -- 성혀니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16:07 (KST)답변

덕분에 히로히토가 반전주의자라는 문서가 버젓이 실려 있는 것을 고쳤으니 오히려 다행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adidas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20:21 (KST)답변
일본인들은 역사 왜곡이 심하네요. Q0v9z8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22:47 (KST)답변
언젠가 기회가 있다면, 가지고 있는 서적을 이용해서 문서를 살찌워야 겠군요. --Š.ßULLET.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22:53 (KST)답변
물론, 공정한 references가 없다면야 삭제 또는 수정 서술 되어야 하겠지만 말이죠, 저 서술 자체로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물론, 출처가 없다는 크나큰 결함이 있습니다.). --H군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00:01 (KST)답변
자기마음대로 썼으니 지워지는게 마땅하죠. 잘 지우셨습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4일 (월) 03:07 (KST)답변

저 끌쓴이에 대해서 불꽤한 느낌이 드는 군요. 천황제의 저자에 대해서 말입니다. 자신이 그렇게 느끼고 잘못된 서술로 생각하면, 출처를 제시하면서 수정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자신은 방관하면서, 불평한 줄 적고, 이에 이를 사랑방에 올려 천황에 대한 서술이 잘못이다. 왜곡되었다하는 식이면, kpov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전 쇼와 천황이 어떤 일을 했는 지는 자세히 모릅니다. 하지만, 마치 저 문서에 참여한 사람이 잘못 되었다는 논의이고, 이는 kpov식의 접근일 수도 있습니다. 누가 욕을 먹으면서 문서를 살찌우길 원하겠습니다. 제 지인들이 말한 식민지 컴프렉스란 말이 새삼 떠오르는군요.--Gwpei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03:18 (KST)답변

위키백과 초기에는 '중립적 시각'에 대한 오해가 있어서, 모든 견해를 '동일한 분량'으로 설명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했는데, 당시의 분위기를 반영한 듯합니다. jtm71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2:40 (KST)답변

위키백과의 문서들은 CC인가요, GNU인가요?[편집]

PDA용 PPC용 위키백과 라이브러리가 최신으로 변환 배포되고 있지만 사용허가서를 보면 GNU로 배포되서.. 이 문서의 내용이 복사되어 넣어져 배포되어 왔습니다. 아마 별 문제 없는걸까요? --Sotiale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20:16 (KST)답변

네, 별 문제는 없습니다. 현재는 GFDL + CC 듀얼 라이센스 구조로, 둘 중에 아무거나 편한 쪽을 선택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CCL의 경우 허가서 전문을 넣지 않고 대신 url로 라이선스를 알릴 수 있어서 사용이 간편한 편입니다. --klutzy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20:22 (KST)답변

틀: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표[편집]

번역을 거의 아무도 안 하고 있습니다.. 저는 en-이므로 나라하고 간단한 문장만 번역했는데, 다른건 무리라서 다른 분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Palestinian Territories팔레스타인 (Palestine)과 다른 문서인데 무슨 나라인가요? 지식이 없어서…. 그리고 W- / * / low 등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 같은데, 범례가 없어서 뭔지 모르겠네요.--Jigsaw puzzle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21:57 (KST)답변

팔레스타인들이 살고 있지만, 이스라엘과 분쟁중인 지역(가자 지구 같은)입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22:03 (KST)답변
한국어 공식 이름은 없는건가요?--Jigsaw puzzle토론 2009년 8월 22일 (토) 22:18 (KST)답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같네요.--Jigsaw puzzle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15:29 (KST)답변
그것과는 차원이 다를 듯 싶군요. -- 성혀니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17:02 (KST)답변
명칭의 차이가 있을 뿐 '팔레스타인 지역'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지리적으로 같은 곳을 나타냅니다.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가 팔레스타인 지역으로서, 국제적으로 통치국가가 없는 곳일 뿐,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점령하고 있는 곳이기는 합니다.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2:10 (KST)답변
일단 제 개인적으로 가능한 선에서 번역해놨습니다. WHO나 질병관리본부에서 사용하는 공식 표기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표가 깔끔해 보이지 않네요.. 표 모양은 잘 하시는 분이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17:53 (KST)답변
Wow~ 주석 일부 말고는 모두 번역하셨군요. 천재임..--Jigsaw puzzle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3:09 (KST)답변
오늘 밤에 주석 번역하고, 가능한 부분을 최근 문서의 내용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어젠 조금 급히 번역해서 주석은 쳐다보지도 못했습니다.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5:55 (KST)답변
어이쿠, 한창 번역중이시군요.. 충돌이 발생하여 잠시 숨 돌리고 있습니다.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22:14 (KST)답변

KAIST 표제어 변경안[편집]

KAIST의 표제어를 다시 한국과학기술원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합니다. 비록 대외명칭이 바뀌었어도 법인명칭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우에도 2007년 5월 대외명칭을 코레일으로 변경하였지만 표제어 명칭이 바뀌지 않은 전례가 있습니다. 당시 표제어를 코레일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철도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습니다.--Usuario: República Argentina (Discusión · Contribuciones) 2009년 8월 23일 (일) 09:50 (KST)답변

의견 1년 전이었나요? KAIST의 홍보팀이라고 자처하는 사람이 관리자 요청 쪽에 한국과학기술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RedMosQ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17:09 (KST)답변

김대중 대통령님 유저박스[편집]

예전에 봉곤님께서 만드셨던, 노무현 대통령님 유저박스에 이어서, 김대중 대통령님을 기억하기 위한 유저박스를 만들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님을 영원히 기억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예시 코드
이 사용자는 김대중 대통령님을 영원히 기억하고자 합니다.
{{사용자:LambdaCorp/유저박스/김대중}}

--람다람쥐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3일 (일) 14:04 (KST)답변

백: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 에서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adidas (토론) 2009년 8월 23일 (일) 20:20 (KST)답변
고맙습니다. 아멘...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4일 (월) 03:08 (KST)답변
여담이지만, 국장 당일 조기 저 혼자 달았더군요. 창문에 고개 내밀고 휘휘 둘러봤는데 아무데도 안 걸려있더이다. 후…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4일 (월) 11:55 (KST)답변
켁. 인간들이 귀찮은 건지... 끌끌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4일 (월) 12:28 (KST)답변
여담이지만 30년 전에 똑같은 상황에서는 너도나도 다 조기 달았다죠. 정부의 외압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하여튼 일사불란하게 달았다네요. 이번 상황과는 심하게 비교되네요. 쩝.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4일 (월) 12:29 (KST)답변
저도 조기를 걸었습니다만은 역시나 저희집 혼자만 걸려있더군요. 지지하지 않더라도, 예우 차원에서 거는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24일 (월) 16:24 (KST)답변
독재자처럼 무섭게 하질 않으니^^.. adidas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8:36 (KST)답변
사실 이 유저박스 만든 저도 영결식 당일 조기를 게양하지 않았습니다...(게을러서.) 부끄럽습니다... --람다람쥐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4일 (월) 19:11 (KST)답변
저희집엔 태극기가 없어서 못달았습니다. 오늘 버스를 타고 가다보니 시내버스에 한반도기를 달고 그 아래 근조 리본을 단 차가 있더군요. 김해시민™-우체통-업적 2009년 8월 24일 (월) 19:04 (KST)답변
저는 조기도 달고 그 위에 근조리본도 걸었습니다.... 람다람쥐님 잘쓸게요.-- 아우드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24일 (월) 19:08 (KST)답변

질문[편집]

스포츠 신문에 자주 나오는 ㅂ, ㅅ, ㄹ이 무엇인가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8.32.80.228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by 람다람쥐 토론 · 기여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습니다.--Leedors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08:12 (KST)답변
?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4일 (월) 11:20 (KST)답변
무엇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우드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24일 (월) 19:12 (KST)답변
질문은 구체적으로 해주시고, 안내소에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ㅡ.ㅡ; --닭살튀김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19:19 (KST)답변

위키온지[편집]

안녕하세요? 제가 2일동안 어디 다녀와서 그런데 저 사실 위키온지 1주년 되었습니다. (지금은 2일 지났지만..<뒷북???>) 여기서 참 많은 기여를 했죠.... 전 인터넷 하는것 중에서 위키에서의 활동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무튼 좀 축하 좀 해주시고요... 오늘은 좀 바빠서 여기까지 써야겠군요... 1년동안 저를 대해주신님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라는 말을 남기고 가겠습니다. --北京 (대화 / 편집항목) 2009년 8월 24일 (월) 22:05 (KST)답변

위키 활동 1주년을 축하드립니다. :)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4일 (월) 22:12 (KST)답변
축하합니다! ^o^ (어디보자...) 저는 10월 5일이 1주년이군요. 앞으로도 열심히 활동합시다! --람다람쥐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4일 (월) 23:45 (KST)답변
저는 조금 있으면 4주년인데요. ^^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25일 (화) 00:01 (KST)답변
약 한 달 뒤에는 윤성현님 4주년 축하글을 사랑방에서 볼 수 있겠지요. :D --자연머리 (토론) 2009년 8월 25일 (화) 00:11 (KST)답변

저는 이제 2주년 되었군요. 준장 승진.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9년 8월 25일 (화) 09:4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