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2013년 제13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1년 전 (Xakyntos님) - 주제: 위안부 문서에서 반달 행위
사랑방
2013년 제13주
2013년 3월
9 25 26 27 28 1 2 3
10 4 5 6 7 8 9 10
11 11 12 13 14 15 16 17
12 18 19 20 21 22 23 24
13 25 26 27 28 29 30 31


영어 위키백과 박근혜 문서에서 종교가 논란인데 도와주세요[편집]

박근혜가 자기 입으로 자기 종교를 말하지는 않았지만 언론에서는 무교라고 소개되고 있죠. 그러나 아버지 어머니가 하늘에서 나를 지켜주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으니 내세를 믿고 있고 종교 행사에도 많이 참석했으니 무신론자는 아니죠. 그런데 코리아타임스에서 박근혜가 무신론자라는 오보를 내서 그것을 가지고 영어 위키백과에서 박근혜가 무신론자라는 주장을 하네요. 박근혜가 자기 입으로 무교라고 한 적도 없는데 무교라도 미신을 믿을 수 있다는 점에서 불가지론자나 무신론자와는 다르죠. 제가 영어를 잘 못하니 토론 좀 도와주세요. 무교인 정치인이라도 자신이 불가지론자무신론자라고 말하지 않으면 위키백과에서는 쓰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박근혜가 종교 행사에 참석한 오마이뉴스의 한국어 기사를 올려도 영어가 아니라고 무시당하는데 도와주세요.--Iloverussia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02:41 (KST)답변

점심시간에 잠깐 들어와서 우연히 남기신 글을 보고, 검색해서 찾은 한겨레의 영어 기사를 그쪽에 남겼습니다. 영어판 본문에도 인용된 매체이니 '거기가 언론사요 블로그요' 등의 불필요한 질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나다만, 생각보다 대통령의 종교에 관한 내용이 인터넷상에 많이 없어서 걱정되네요.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12:53 (KST)답변
조금 전 답이 올라왔는데 한겨레 기사 내용을 근거로 추론하는 것도 안 된다고 하는군요. 상대 유저가 "코리아타임스 기사가 나온 이후의 자료"(it would also have to post-date the current cited article)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무신론자라도 미신을 믿을 수 있다고 주장을 하거나 예전에 나온 자료를 근거로 제시하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듯 싶습니다. 코리아타임스 기사가 문제라고 생각하시면 코리아타임스측에 문의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0:03 (KST)답변
우선 정치인이 종교 행사를 참석한다고 그 종교를 신봉한다는 증거가 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사람과 달리 정치인은 어느 종교의 행사도 다 참석하고 있는 것이 아주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1:36 (KST)답변
일리 있는 말씀이지만 그렇다고 박 대통령이 "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는 무신론자와 같은 주장을 한 기록도 없지요.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2:09 (KST)답변
그럼 코리아타임즈가 오보라고 말씀하시는 근거가 있으신가요? 여기서 Iloverussia 님이 말씀하신 글만으로는 종교 행사에 많이 참여했다는 점과 출처 없이 내세를 믿는다는 점과 부모가 하늘에서 나를 지켜주고 있다고 믿는다는 말을 했다는 것을 근거로 코리아타임즈가 오보를 했다고 판단을 했다는 뜻 같아 보여서요. -- Min's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2:12 (KST)답변
저 역시 Iloverussia님의 생각은 잘 모르겠지만, 자신의 종교적 믿음에 대해 직접 설명하지 않는 분을 한 언론에서 '무신론자'로 규정했다고 그 분을 무신론자로 규정하는 건 좀 아니지 않나요? 한국 언론에서 박 대통령을 "atheist"라고 지칭하는 경우는 구글 검색 결과 코리아타임즈가 유일합니다. 그래서 코리아타임즈의 보도가 맞을 수도 있지만, 잘못됐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2:23 (KST)답변
돌아가신 부모님이 하늘에서 나를 지켜주고 있다고 믿는다는 말은 내세를 믿는다는 말이죠.--Iloverussia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09:42 (KST)답변

참고로 영어 위키백과 해당 페이지를 링크합니다. en:Park Geun-hye.——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4:21 (KST)답변

Iloverussia님, 어제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코리아타임스 기사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코리아타임스에 먼저 문의를 해 보시는 것이 어떤지요. 기사 본문에 기자님의 이메일 주소도 있습니다. 상대측에서 박 대통령이 '무신론자'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코리아타임스 기사뿐인데 이 기사만 고쳐지면 바로 끝날 일로 보입니다. 그런데 너무 어렵게 가시려는 느낌이 드네요.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22:23 (KST)답변

한 사실을 뒷받침하는데 여러 출처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NuvieK 2013년 3월 26일 (화) 23:30 (KST)답변

해당 표제어에 관련한 연구 논문 목록 기재에 관하여[편집]

수이전 문서를 한번 보셔요. 항목 5가 관련 저술인데, 거기 하위 논문 항목에 50편 정도의 서지 목록이 올라와 있습니다. 표제어에 관한 연구 논문 목록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은 백과사전 서술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는데, 관련 지침이나 토론을 찾아보았으나, 저는 못 찾겠네요. 혹시 있다면 안내해 주시고, 없다면 의견을 듣고 싶네요. 수이전의 경우에는 사용자토론:Qkqhrhkdtn#수이전 관련 논문의 기재 필요성 질문에 남긴 것처럼 수이전 문서 내용의 반이 넘게 연구사가 서술되어 있으니, 연구사에 등장하는 논문을 주석 처리하고 기타 논문은 삭제하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어떤 문서의 연구 논문 목록을 나열할 수 있느냐, 마느냐에 대한 총의를 확인하고 싶습니다.--Eggmoon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09:49 (KST)답변

열거된 논문들이 편집자가 글을 쓰는 데에 참고한 논문일 경우에 한하여, 나름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단순한 연구 논문 나열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어판에는 Wikipedia_is_not_a_directory라는 지침이 있습니다.HappyMidnight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0:06 (KST)답변

위키백과에서 말하는 "단순한 형태"의 정의?[편집]

새 문서 정보[편집]

새 문서 순찰에 도움이 되고자 사용자:ChongDae/새 문서를 만들어봤습니다. 살펴보시고 추가되었으면 하는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완성되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해보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17:21 (KST)답변

위키데이터 등록 봇 안내[편집]

봇 프로그램을 이용, 새 문서 중에 인터위키가 있다면[1], 인터위키 정보를 이용해서 위키데이터에 등록[2]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했습니다. 등록이 완료된 걸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정리[3]하는 프로그램도 있고요. 위키데이터 사용이 어색하다면, 당분간은 과거의 인터위키 방식으로 작업하셔도 좋습니다. 이 봇은 현재 비주기적으로 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봇에 너무 의지하지는 말아주세요. 잘못된 인터위키 정보(예를 들면, [4]에서 추가된 인터위키는 다른 인물입니다)를 봇은 확인할 방법이 없으니깐요. 부작용은 최소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만, 실수[5]는 있게 마련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17:30 (KST)답변

"MediaWiki:Youhavenewmessages"와 관련 메시지의 바꾸기 제안[편집]

지난 주 사랑방에서 ChongDae님의 의견을 따라 "다른 사용자가 의견을 남겼습니다. (마지막 바뀐 내용)"으로 메시지를 바꾸려고 합니다. 일주일 정도 의견을 들어보고 바꿀 예정입니다. --아라다 알아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18:54 (KST)답변

생각해보니 사용자토론에서는 의견만 주고받는게 아니군요. 좀 옛스러운 표현이지만 "다른 사용자가 전갈을 남겼습니다"도 있네요. 그리고 "다른 사용자" 없이 그냥 "전갈이 있습니다"도 가능하고요. 그냥 "메시지가 있습니다"는 외래어 남발일까요?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19:06 (KST)답변
저는 간단히 "새 메시지가 있습니다. (마지막 바뀐 내용)" 으로 썼으면 합니다. --Prime number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0:35 (KST)답변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새 글이 있습니다"도 괜찮아 보입니다. --아라다 알아 (토론) 2013년 3월 27일 (수) 18:38 (KST)답변

라틴어 성가곡표제어[편집]

라틴어로 되어 있는 성가곡 오소서 성령님이라고 하는 노래에 관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원어가 라틴어인 성가곡에 대하여 표제어를 원어인 라틴어로 로마자 표기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번역어가 좋은지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저의 토론 사용자토론:Jesusmas#혹시 라틴어 표기법 아세요?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3년 3월 25일 (월) 21:30 (KST)답변

당연히 로마자로 돌려야 합니다. 특히 그레고리안 성가 등의 가톨릭계 성가의 경우에는 라틴어 자체가 업계표준인 것 같습니다. 참고로 본 건의 대상인 Veni sancte spiritus 보다는 콘클라베에도 쓰이는 Veni creator spiritus가 좀 더 유명하고요. 기타 Asperges me, Vidi aquam, Pueri hebraeorum 등의 곡도 많이 있습니다. 제가 작업했던 비슷한 건으로 euouae도 그대로 라틴어 표기로 처리했었습니다. - Ellif (토론) 2013년 3월 27일 (수) 09:41 (KST)답변

번역 구걸?[편집]

캘리포니아 헌법의 출처를 찾다보니 재미있는 걸 발견했습니다. 원문은 영어 위키백과의 en:Constitution of California인데, 이걸 문단별로 지식인에 번역의뢰를 했습니다.[6][7].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선의로 지식인에 답변한 사람은 자신의 번역을 CC-BY-SA로 공개하지 않았으니 저작권 문제도 있어보이고, 문단별로 번역하다보니 일관성은 전혀 없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4:42 (KST)답변

번거롭지만, 당연히 번역자에게 CC-BY-SA로 공개해주십사 부탁을 해야지요. 양쪽에서 다 허락하면 일관성을 고민하고요.--Eggmoon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4:57 (KST)답변
제가 제시한 저 두 링크 말고도 더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5:00 (KST)답변
번역자 허락 못 받으면 어차피 못 쓰잖아요. 누군가 고것을 참고로 번역을 새로(?) 하면 모를까, 허락을 구할 수밖에요.--Eggmoon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5:09 (KST)답변
저는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일반론으로서는 두 분 의견에 동감합니다만, 그 내용과 길이를 보면, (1) 내용- 사실의 기술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2) 길이- 해당 지식인이 각 의뢰받은 부분의 길이가 2~3문장에 불과하기 때문에, 출처를 표시하는 한, 인용의 형태로 기술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다만, 지식인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아니라는 문제점은 있군요. 영문판 원문의 출처를 보강하면, 해당 지식인의 번역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HappyMidnight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5:32 (KST)답변
문장의 번역에 대한 출처를 다는 건 이상하지 않나요? 그 번역문을 인용 형태로 쓸 수도 없고요.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7:17 (KST)답변
전체 문서를 다듬는 것과 새로 번역하는 게 비슷한 난이도를 요구할 것 같습니다. (각 문단이 얼마나 정확한지도 알 수 없고요.) 일단 해당 부분은 삭제하고 지식인 답변들을 '참고'삼아 새로 만들어야 할 것 같네요. --klutzy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6:36 (KST)답변
다듬는 것이나 새로 번역하는 것이나 난이도는 비슷해 보입니다. 어짜피 원문은 따로 있으니깐요. 삭제 처리하긴 해야겠지만, 특이한 경우라 사랑방에 일단 글을 남겨본 것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6일 (화) 17:17 (KST)답변

모바일 한정으로 아랍어 문장이 거꾸로 보입니다[편집]

이게 인터넷 전체의 문제인지 위키백과 내에만 국한된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모바일로 문서를 볼 때 아랍어가 거꾸로 됩니다.

아랍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쭉 쓰죠? 그런데 그게 스마트폰으로 보면 왼쪽부터 쓰여져 있습니다!! 참고로 기종은 삼성 갤럭시S2 LTE입니다. -- P3 ; 後三年 / ⓒ환골탈태(사용자문서)(토론)(기여목록) 2013년 3월 26일 (화) 22:06 (KST)답변

http://www.google.com.sa/ 같은 사이트에서는 어떻게 보이나요? 만약 다른 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라면 갤럭시 S2의 문제는 아닐까요? --Puzzlet Chung (토론) 2013년 3월 27일 (수) 11:29 (KST)답변
역시 거꾸로 보입니다. 데스크탑에서 알리프가 가장 오른쪽(처음)에 가있는 것이 스마트폰에서는 맨 왼쪽(끝)에 있다거나... 위백 내에서만 저러는게 아닌게 정말로 갤2눝 자체의 문제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 P3 ; 後三年 / ⓒ환골탈태(사용자문서)(토론)(기여목록) 2013년 3월 27일 (수) 17:50 (KST)답변
구글 크롬 등의 다른 브라우저를 설치해서 시험해보세요.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8일 (목) 12:41 (KST)답변

CLDR 정보[편집]

유니코드 컨소시엄에서 제공하는 CLDR을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함께 검토해보면 어떨까요? 현재의 한국어판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나라 이름, 언어 이름, 통화 이름, 시간대 이름 등의 정보가 있는데, 잘못된 정보(예컨데 아프리칸스어를 "남아공 공용어"로 옮긴다거나)도 있고 고칠 곳이 꽤나 많이 보이네요.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28일 (목) 12:40 (KST)답변

지속적으로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문서에 대하여.[편집]

이제 문서의 준보호가 풀리기까지 겨우 두 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 동안 문서에 LG 트윈스 관련 훼손 행위가 반복되어 장기간 준보호가 되어 있었는데, 이번 준보호가 풀린 이후에도 훼손이 지속된다면 무기한 준보호를 고려해 보아야 할 듯 합니다. (푸념으로, 올해 LG가 4강을 간다면 이런 훼손이 사라지지 않을까 합니다.) 비슷한 이유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문서에도 준보호 해제 이후에도 극우 네티즌의 문서 훼손이 계속되고 있어 무기한 준보호를 고려해봐야 하지 않나 합니다. 로마의대나무 (토론) 2013년 3월 28일 (목) 18:17 (KST)답변

편집 분쟁을 이유로 무기한 준보호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그 때 그 때 주시하면 됩니다. 우선 준보호 기간이 끝나지오 않았는데 미리 염려할 이유가 없습니다.——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3년 3월 29일 (금) 22:40 (KST)답변

이게 또 왜 이러죠.[편집]

한국어는 $5000, 미국은 5000원. 메타에서 잘못 바꾼 건가요? 우리나라 것을 5000원으로 바꾸라고 요청 넣었다던데. Jytim 토론·기여 2013년 3월 28일 (목) 19:14 (KST)답변

차노아 문서 관련[편집]

[8], [9], [10]. 대략 이 정도면 확실시 된 듯 한데 (....) 차노아 문서에 저 내용을 집어 넣을지, 아니면 앞으로 차노아 문서에 뭔가를 넣을 내용이 없을 것이 명백하니 그냥 LG-IM 문서에 합병해 버릴지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29일 (금) 11:10 (KST)답변

아무리 명백하게 보이더라도 일단은 실명이 뜰 때 까지 기다리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이정도면 독립된 문서로 둬도 괜찮지 않을까요? 마약 사건은 둘째치고 선수였는데...--NuvieK 2013년 3월 29일 (금) 11:33 (KST)답변
출전 기록도 거의 없어요. 거의 이벤트 리그 정도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클럽 마스터즈에 한 두번 나온게 다입니다. (덤으로 그 때 출전 했을때 썼던 챔피언-캐릭터가 자르반 4세인데 자르반 4세의 대사 중 "데마시아!"에서 따와서 "대마시아!"라는 드립이 흥하기도....)--Leedors (토론) 2013년 3월 29일 (금) 11:54 (KST)답변

ISO 26000 문서 내의 저작권 침해 의심[편집]

ISO 26000 문서에서 ISO 용어 한정으로 저작권 침해가 의심됩니다. 해당 내용은 일단 문서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서 지웠으며, 본인이 직접 작성했는지의 여부를 물어볼 것입니다. --아라다 알아 (토론) 2013년 3월 30일 (토) 17:13 (KST)답변

위안부 문서에서 반달 행위[편집]

현재 며칠 동안 비중립적이라 주장하는 편집이 강행되고 있습니다. 토론을 거칠 것을 권했지만 일방적인 주장만 남긴 채 토론도 하지 않고 있네요. 편집 내용은 아무리 봐도 명백한 반달에 해당하는 것 같은데,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근거가 빈약한 추측이긴 하지만, 한국말이 어설픈 것으로 볼 때 일본인일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Xakyntos (토론) 2013년 3월 30일 (토) 19:02 (KST)답변

만약 계속해서 토론할 의지가 없이 문서를 수정한다면 명백한 반달이겠네요. 근데 반달 행위와는 별개의 이야기인데, 이 문서를 쭉 훍어봤는데, 출처도 빈약하고 감정 섞인 표현도 눈에 띄는 등 전체적으로 상당히 난삽해보입니다. 일단 출처 하나가 이상해서 관련된 내용을 지웠는데,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Emiya Mulzomdao (토론) 2013년 3월 31일 (일) 23:55 (KST)답변
저도 그래서 전체 문서에 대해서 중립성 틀이 달리는 것 자체를 고치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지금은 전체적으로 위 사용자가 특정 주장에 반하는 내용을 삭제하면서 중립성 틀을 다는 황당한 행동을 계속하고 있는지라 되돌리기 분쟁(?) 비슷하게 되어서 중립성 틀까지 통째로 되돌려지긴 했습니다만. 아무튼 위 사용자의 문제가 해결되고 난 뒤에 좀 더 검토해보아야 할 사안인 건 맞는 것 같습니다.--Xakyntos (토론) 2013년 4월 1일 (월) 22:3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