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프로젝트토론:왕족과 귀족/보존1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5년 이전의 토론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군주(168945판)에서 옮겨옴. ― Yes0song 2007년 9월 21일 (금) 00:43 (KST) 2008년 1월 15일 (화) 20:15 (KST)답변

세종대왕, 로물루스 등 일부 페이지들이 이미 생성되어 있는데요, 어느정도 규칙을 확실히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예로 '태종' 이라고 하면 그게 어느 나라의 어느 태종인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

방법:

등.

서양의 경우:

서양의 경우 왕들이 대부분 이름이나 고유의 칭호로 불려 겹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은데요, 이것도 페이지 이름에 나라를 포함시킬 것인지, 호칭을 포함시킬 것인지 등을 하나로 통일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Caffelice 2004년 6월 4일 (金) 18:44 (UTC)

조선 태종태종 (조선)에 한표씩 던집니다. 그리고, 관용적으로 많이 쓰는 세종대왕조선 세종세종대왕쪽으로 넘겨주기(redirect)하면 될 듯 하고요. 넘겨주기를 잘 씁시다! 엉망
연도페이지에는 아시아의경우 조선 태종같이 국호+시호, 서양의 경우 아우구스투스와 같이 이름만으로 했습니다. Caffelice 2004년 6월 10일 (木) 22:43 (UTC)

아래는 토론:조선 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태종"처럼 중국사의 시호와 겹치는 것은 어떻게 할까요? 항목명을 "태종 (조선)", "태종 (당)" 등으로 할까요? 아니면 "태종"으로 놔두고 "당 태종"이란 항목으로 할까요? 중국의 군주를 다루는 항목명을 만들때 통일을 시켜야 할텐데... 제 생각은 중국의 군주 항목명은 국호와 시호를 다 사용해서 "당 태종", "한 고조", "진 시황제" 등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Iceager 2004년 4월 17일 (土) 05:44 (UTC)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King Taejong of Joseon", "Emperor Taizong of Tang China" 처럼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만, "당 태종", "진 시황제" 등으로 하되 우리나라 시호는 "태종"으로, 그리고 구분을 둬야 할 때만 "고려/조선 태조"로 두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태조 (고려/조선)"으로 쓴 것은 고쳐야겠군요. 그리고 "태종 (disambiguation)" 페이지 같은 것을 만들어서 송태종 당태종 청태종 등등으로 링크를 걸어두어야겠군요. ;) --PuzzletChung 2004년 4월 17일 (土) 05:58 (UTC)

개인적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우리나라의 잘 알려진 시호나 서양의 겹치지 않고 잘 알려진 황제의 이름의 경우 국호를 붙이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붙였으면 좋겠습니다. "잘 알려졌"기 때문에 국호가 붙어 있는 페이지가 으뜸꼴이 되는 것이 부적절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떤 경우든 redirect와 disambiguation은 있어야겠지요. --PuzzletChung 2004년 6월 11일 (金) 01:14 (UTC)

가능하면 일관적으로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태종'처럼 시호가 겹치는 경우 국호를 붙이면 다 붙이고, 안 붙이면 다 안붙이고. 서양의 경우는 같은 이름의 왕이 있어도 보통 "루이 14세", "루이 15세" 하는 식으로 구분이 되거나 하니 필요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 Caffelice 2004년 6월 11일 (金) 02:55 (UTC)
서양의 경우도 왕의 이름이 겹치는 수가 수두룩합니다. 영어의 Alexander에 해당하는 이름만 해도 고대 마케도니아, 러시아, 스코틀랜드, 그리스, 불가리아, 그루지야, 유고슬라비아 등의 왕 이름입니다. 국호를 붙이는 것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바이킹 시대 스칸디나비아의 왕에 관한 문서를 준비하고 있는데 나라간에 이름이 겹치는 왕이 많습니다. 우선 스웨덴의 망누스 1세, 노르웨이의 망누스 2세, 덴마크의 에리크 7세, 스웨덴의 에리크 10세 등으로 통일할까 합니다. 스웨덴 왕 망누스 1세도 생각해 보았는데 왕이 아닌 경우도 포함하려면 먼저의 방식이 낫다고 봅니다. 또 스웨덴 망누스 1세처럼 국호와 왕명을 붙이는 것은 서양 군주의 경우에는 어색하다고 생각합니다. --Iceager 2005년 7월 12일 (火) 04:03 (UTC)

"덴마크의 에리크 7세"와 "에리크 7세 (덴마크)" 중에 골라야겠네요. 나라 이름이 뒤로 가는 것이 정렬 등을 고려하면 편하지 않을까요? 나라 이름을 앞에 쓰면 자연스럽긴 하지만 어짜피 본문에서는 "덴마크의 에리크 7세|에리크 7세" 식으로 줄여써줘야 하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 ChongDae 2005년 7월 12일 (火) 04:50 (UTC)

제가 둘 중 "덴마크의 에리크 7세"를 선호하는 이유는 "{지명}의 {이름}" 형식으로 알려진 인물이 많고 이들과의 일관성을 추구하자는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브고로트의 블라디미르 같은 경우는 영어로는 Vladimir of Novgorod로 잘 알려진 인물인데 실제 노브고로트 공국의 군주였으므로 제가 말한 방식대로는 잘 알려진 이름과 같은 항목으로 처리됩니다. "블라디미르 (노브고로트)"는 필요 이상으로 번잡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잘 알려진 호칭 자체가 "{지명}의 {이름}" 형식으로 된 경우와 다른 경우를 구별할 수도 있지만 둘 다 한 방식으로 처리하는게 더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Iceager 2005년 7월 13일 (水) 00:24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