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논현역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6년 전 (IRTC1015님) - 주제: 3

1[편집]

아무래도 제 의견을 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인천 소재 논현역이 영업을 중단했지만 이미 그 구간이 착공되었고 그 이름이 그대로 유지될수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미래를 대비해 '논현역 (서울)' 이나 '논현역 (서울도시철도공사)'로 바꿔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미래도 얼마 안 남았으니까요. -사용자:Ilovephos

찬성네, 맞아요. 제가 생각하기에도 변경했으면 좋겠습니다.鎭海벚꽃祝祭 (토론)

위키백과는 미래를 예측하는 장소가 아니며, 바꿀 필요가 하등 없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6월 8일 (화) 21:14 (KST)답변

하하하 그렇긴 하죠. But! 이 상황은 그래도 괜찮나면, 바로 익산포항고속도로 토론문에서 감종국 님이 미래를 예측하진 않는데 min's의 말처럼 몇년 안팎을 예측하더라도 예정 등의 충분한 출처가 제시되면 괜찮다고 했잖아요. 그리러니 아이러브포님이 출처를 제공했으며, 진해벚꽃축제도 맞는 말을 했다고 보죠... 그리고, 수인선의 2012년때의 역 목록에서 수원역, 4호선 한대앞~오이도구간은 이름이 유지되나 그밖의 역들은(폐역 포함)가역명으로 오해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한대앞~인천역 구간이 내년 12월이나 2012년쯤 개통될때, 폐선하기 이전에는 없었던 역이지만 노선이 부활할때 새로 건설되는 역들은 가역명이죠. (참고로 괄호가 쳐저 있는 새로 건설될 역들). 하지만, 폐선 이전에도 있었고 폐선 당시 동시에 폐역된 그 역들. 다시 말해, 폐역된 역들은 수인선이 부활할 시 폐선 이전의 역명으로 그대로 부활할 것입니다. 만일 제 말이 틀렸다고 본다면 경춘선 복선 전철화 이후에 경춘선 폐선 이전에는 없었지만 내년에 부활 시 새로 생길 세 역들(신내,별내,묵현)만 가칭이라고 써놨나요? 현재의 경춘선도 수인선과 비슷한 상황인데.... 그렇게 써놓으면 금곡역자리에 다른 이름으로 개업할 수도 있나요? 사능역도 가칭명인가요? 그러니 wp가 미래를 예측하지 않더라도 경춘선 금곡역, 사능역, 수인선 논현역, 남동역 등이 폐선 이유로 폐역이지만 폐역명 그대로 확정되었잖아요. 그러니까 정답은 논현역 (서울)로 바꿔야 하는 셈입니다. 그렇게 되면 두 논현역의 사이는 곧 양평역 (서울)양평역 (양평)과 비슷한 상황이 될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141.223.171.51 (토론) 2010년 7월 5일 (월) 16:27 (KST)답변

저의 말을 왜곡하지 마세요. 왜곡이 아니라 아예 말을 지어내셨네요..; 제가 "몇년 안팎을 예측하더라도 예정 등의 충분한 출처가 제시되면 괜찮다"고 했었나요..;;; -- Min's (토론) 2010년 7월 5일 (월) 16:42 (KST)답변
제 생각에 역명은 군자역/정왕역처럼 다른 이름이될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일단 다른뜻 틀로 충분합니다. --양평동역 (토론) 2010년 7월 6일 (화) 19:09 (KST)답변
정보 혼동방지를 위해 트롤러 의견은 취소선 처리했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6일 (화) 19:10 (KST)답변

2[편집]

2010년 12월 21일 곧 수인선 영업 등으로 인해 논현역 (서울)로 변경합니다. :)--비상봉황 (討論|寄與|發信) 2010년 12월 12일 (일) 12:48 (KST)답변

3[편집]

논현역 지하에 유령승강장 발견되었다네요 - kth681386

역 구조 쪽에 지하 몇 층에 미사용 시설이 있다 쓰면 될 것 같습니다. 신설동역에서처럼요. — 2147483647 2017년 12월 13일 (수) 11:45 (KST)답변
"발견"이고 뭐고, 딱히 비밀리에 지어진 시설도 아니고, 선시공 자체는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말이죠……. 기자가 들어가서 사진까지 찍은 건 드문 사례긴 하지만요. --IRTC1015 2017년 12월 13일 (수) 12:1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