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문소황후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1년 전 (Synparaorthodox님) - 주제: 견씨와 진씨

견씨와 진씨[편집]

甄은 '견'으로 읽습니다만, 성으로 쓸 때는 '진'으로 읽습니다. 현재 이문열 삼국지, 정비석 삼국지, 박종화 삼국지 등에서도 진씨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삼국지 해설서 중 견씨로 표기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만, 이는 번역상 오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일본서를 번역했을 경우, 발음상 오류가 몇 가지 보이더군요.

또한, 진희는 일본식 표현으로 '진씨 가의 아가씨'를 가리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문 위키피디아에서는 진희라는 표현이 없는 것으로 보이고, 고대 중국에서 姬의 용법은 공주가 시집 간 곳의 나라나 성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진희라는 표현은 일본식으로 보이나, 확신이 없어 그대로 두었습니다. 의견 부탁 드립니다.--Sielrace 2008년 2월 21일 (목) 01:56 (KST)답변

제가 '甄姬'라는 표현을 추가 했습니다. 이 '甄姬'라는 표현은 일본식 표현으로 쓴것이 맞습니다. 일본 게임회사 코에이가 만든 진·삼국무쌍이라는 게임에서 이 문소황후를 '甄姬'라고 표현하고있고 이 게임이 한국에서 정식 한글판이 발매되었을때 게임내에서 '甄姬'가 견희로 번역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오류가 생긴것이 아닌가 합니다. 견희라는 게임 표현이 존재하고 있으니 백과사전에서 따로 '甄姬'라고 표기한뒤 견희(일본식 표현)라고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Nuevo Paso 2008년 3월 8일 (토) 15:57 (KST)답변
문소황후는 견씨가 맞습니다. 문소황후의 성인 견씨가 오나라 때 손권이 즉위하면서 견을 진으로 읽으면서 '진' 씨로 읽었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손권이 칭제할 때가 229년이고 문소황후가 죽을 때가 221년이면 문소황후는 견씨로 불렸을 것입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8월 19일 (수) 05:54 (KST)답변
고증으로 따지면 그게 맞겠지요. 하지만 영어 위키피디아를 보면 견씨를 zhēn으로 표기했는데, 이를 무시하기도 어렵지 않겠습니까. 차라리 '진씨'로 표기하고 주석 등으로 그러한 내용을 다는 편이 낫지 않을까 합니다.--Sielrace (토론) 2010년 3월 20일 (토) 11:45 (KST)답변
진씨가 확실한 편도 아닙니다. 어떤 중국인은 견씨로도 읽고 진씨로도 읽는다고도 하더라구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4월 3일 (토) 13:27 (KST)답변

강희자전의 설명을 자세히 보면, 손권이 甄의 음을 眞韻에 해당하는 '진'으로 바꿨다는 주장의 출처는 《삼국지》 오서가 아니라, 《장계유 · 계륵편(莊季裕·雞肋篇)》입니다. 더구나 여기에서는 오지의 주석인 오서(오나라의 관찬 사서)의 내용을 본문의 내용으로 오해하고 있습니다. 즉, 배송지주의 吳書曰:堅入洛 ,掃除漢宗廟 ,祠以太牢 。堅軍城南甄官井上,旦有五色氣 ,이 부분에 해당하는 구절을 吳志,孫堅入洛,屯軍城南,甄宮井上,旦有五色氣,로 인용하고 있습니다. 강희자전에서 또 《손혁 · 시아편》에서 학자들이 모두 甄을 先韻(음으로는 '견'에 해당)으로만 쓰고 眞韻으로는 쓰지 않는다는 주장을 인용했고, 이 뒤에는 또 삼국시대 위나라 사람인 장읍의 《박아》와 그에 딸린 《석문》에서 모두 반절을 '진'으로 붙이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권위 있는 한국의 자전을 참고하는 게 최선일 것 같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2년 11월 17일 (토) 16:0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