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리아 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베리아 왕국
ქართლის სამეფო
kartlis samepo

888년~1008년
 

국기
국기
이베리아 왕국(빨간색 선)의 영역
이베리아 왕국(빨간색 선)의 영역
수도
정치
정치체제공국
(c. 813~888)
봉건군주제
(888 ~ 1008)
공작
 •813–826
 •826–876
 •876–881
 •881–888

 •888–923
 •923–937
 •937–945
 •958–994
 •994–1008

아쇼트 1세
바그라트 1세
다비트 1세
아다르나제 4세

아다르나제 4세
다비트 2세
바그라트 1세
바그라트 2세
구르겐
역사
역사적 시대중세 초기
 • 건국
 • 조지아 왕국으로 계승
888년
1008년
인문
공용어중세 조지아어
종교
종교조지아 정교회

이베리아 왕국(조지아어: ქართველთა სამეფო, 로마자: kartvelta samepo)은 서기 888년경에 등장한 바그라티온 왕조의 중세 조지아계 군주국으로, 역사적인 이베리아 공국의 영토와 상부 이베리아를 계승했다. 이 왕국은 오늘날 조지아-튀르키예 국경지대 및 캅카스 남서부 일대에 걸쳐 있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지형적 특징에 따라 아르시아니산맥 서부는 타오-클라르제티, 니갈리, 샤브셰티, 동부는 메스헤티, 에루셰티, 자바헤티, 아르타아니, 아보시, 콜라, 바시아니 등으로 구분되었다. 북동부에는 코루강쿠라강이 흐르고 있었다.

이베리아 왕국은 1008년 당시 조지아 지역에 있던 모든 국가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조지아 왕국이 세워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역사[편집]

건국[편집]

813년, 바그라티온 왕조의 시조였던 아쇼트 1세는 클라르제티 지역에 자리를 잡았고 그곳에서 공국을 건국했다. 이후 그는 5세기에 바크탕 1세가 건설했다고 알려진 아르타누지 성을 복구했으며,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이베리아의 통치자이자 쿠로팔라테스로 인정받으면서 점차 주변 지역을 정복해나갔다.

아쇼트 1세는 아랍인의 거듭된 침략과 전염병으로 황폐해진 조지아 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했다. 그는 이 땅들에 칸츠타의 그레고리(759~861)가 세운 지역 수도원 공동체를 후원하고, 그 지역에 조지아인들의 정착을 장려했다. 그 결과 이베리아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는 이전의 중부 이베리아에서 남서쪽의 타오-클라르제티로 사실상 이전되었는데, 이 지역은 오랫동안 문화적인 안전지대이자 조지아의 가장 중요한 종교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동·서양의 대제국들 사이에 존재하는 지리적인 위치, 그리고 실크로드의 한 갈래가 이들의 영토를 관통한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이 끊임없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캅카스 지역의 아랍 토후국들이 점점 더 독립적으로 성장하자, 아바스 칼리파는 아쇼트 1세를 이베리아의 왕으로 인정하고 트빌리시 토후국의 아미르 아스마일 이븐 슈아이브에 맞서도록 했다. 그러자 트빌리시 토후국은 카헤티의 그리골 왕과 조지아 고원 지대의 차나르족의 지원을 받아 그에게 대항했다. 810년대 후반, 아쇼트 1세는 압하지야 왕국테오도시우스 2세와 동맹을 맺고 크사니 강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아쇼트 1세는 중부 이베리아에서 카헤티 세력을 밀어내고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의 아바스 총독 칼리드 이븐 야지드 알 샤이바니가 827 ~ 828년경 동부 이베리아로 쳐들어오자, 아쇼트 1세는 타오-클라르제티 지역으로 후퇴하였다.

분열[편집]

아쇼트 대왕이 죽자, 그의 영토는 세 아들들에게로 분할 상속되었다.

  • 장남 아다르나세 2세(826-869)는 대공(에리스타브-에리스타비)로서 수도인 아르타누지와 사브셰티, 서부 클라르제티의 중심지를 지배했다.
  • 차남 바그라트 1세(826-876)는 콜라와 타오 지역 대부분을 지배했는데, 이 지역은 아쇼트 1세 영역에서 전략적인 핵심이었다.
  • 막내 과람(826-882)는 삼츠헤와 자바헤티, 카르틀리 서부 등을 지배했으며, '통치자'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850년경의 캅카스 형세. 독일어로 표기되어 있음.
  압하지야 (서부), 헤레티 (동부)
  스바네티 (북서부), 카헤티 (북중부)
  아르메니아 (아바스 칼리파국의 지방)
  빌라간 (아바스 칼리파국의 지방)
점선은 현대 국경을 나타낸다.

아쇼트가 죽고 난 뒤, 아랍인들은 카르틀리 지역을 점령하고 남은 영토에 공물을 바치도록 요구했다.바그라트 1세는 트빌리시 토후국과 카헤티 공국에 맞서 아바스 칼리파국와 동맹을 맺었고, 853년 아바스 장군 부그하 알 카비르와 함께 공격에 나서 카르틀리를 수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압하지야인들이 곧 쳐들어와서 그를 축출했다. 876년에 바그라트 1세가 사망하자, 공작위는 그의 아들 다비트 1세에게 계승되었다.

869년에 아다르나세 2세가 죽자, 그의 아들들인 구르겐 1세슴바트 1세가 각각 타오, 클라르제티를 물려받았다.

막내아들 과람은 가장 적극적인 확장 정책을 펼친 인물이었다. 880년에 그는 전통적인 적수였던 트빌리시 토후국의 가불로트를 사로잡고, 그를 사슬로 묶어 콘스탄티노플로 보내기도 했다. 876년 이전에 과람은 그의 영토 중 일부를 형제들에게 넘겨주었으며, 882년에 사망한 후 오피자 수녀원에 묻혔다. 사후 그의 아들 나스라가 공작위를 계승하였다.

내부 분쟁[편집]

876년, 리파리트가의 리파리트는 트리알레티 산맥에 클데카리 요새를 건설하고, 그 일대를 중심으로 공국을 건국한 다음 다비트 1세에게 복속했다. 이것은 나스라

동이베리아와 서이베리아[편집]

이베리아반도와 이름의 유사성으로 '서'이베리아인은 그들과 캅카스 이베리아의 사람들('동'이베리아인 이라고 불림) 사이의 민족유전학적 혈족 관계의 관념을 갖게 한다.

그들은 그들이 유래한 발단 장소에 대한 의문으로 접근하면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다양한 고대 그리고 중세 작가들에 의하여 그러한 혈족 관계가 옹호된다. 그 이론은 중세 조지아에서 인기 있었던 듯하다. 저명한 조지아의 종교 필자 기오르기 므타츠민델리(아토스의 게오르게)(1009~1065년)는 확실한 조지아 귀족들이 이베리아반도를 여행하기를 희망함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들의 요청으로 지역의 "서방의 조지아인"을 방문한다.[1]

같이 보기[편집]

참조[편집]

추가 문헌[편집]

  • Thomson, Robert W. Rewriting Caucasian History (1996) ISBN 0-19-826373-2
  • Braund, David. Georgia in Antiquity: A History of Colchis and Transcaucasian Iberia, 550 BC-AD 56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ISBN 0-19-814473-3
  • Lang, David Marshall. The Georgians (London: Thames & Hudson, 1966)
  • Toumanoff, Cyril.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