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아 왕국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მეფო
sakartvelos samepo
1008년~1490년
 

 

 

국기
둘서트, 피시가노 형제, 그리고 다른 민족들에 따른 14세기와 15세기의 조지아의 국기[1]
문장
바쿠슈티 왕자의 아틀라스 (1745년경)에 따르면 "전 조지아 왕국"의 문장
Coat of arms of the Kingdom of Georgia under khan (Grünenberg Wappenbuch, 1480)
그뤼넨베르크에 따르면 "칸 통치하의 조지아 왕국"의 문장 와펜부치 (1480년)[2][3]
1220년 조지아 왕국은 영토 확장의 절정기에 있었다.
1220년 조지아 왕국은 영토 확장의 절정기에 있었다.
수도
정치
정치체제봉건군주제
군주
978년 ~ 1014년

1446년 ~ 1464년

바그라트 3세 (초대)

기오르기 8세 (말대)
역사
역사적 시대중세 초기 ~ 중세 후기
 • 설립

 • 조지아 황금기

 • 일시 멸망

 • 몽골의 지배

 • 티무르의 침략

 • 멸망
1008년

1122년 ~ 1226년

1245년 ~ 1247년

1238년 ~ 1327년

1386년 ~ 1403년

1490년
인문
공용어중세 조지아어
그리스어
라즈어
아르메니아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경제
통화비잔틴/사산 주화
(12세기까지)

디르함
(1122년 이후)[4]
종교
종교조지아 정교회
이전 국가
다음 국가
압하지야 왕국
이베리아 왕국 (중세)
카헤티 왕국
헤레티 왕국
아르메니아 왕국
트빌리시 토후국
카르틀리 왕국
카헤티 왕국
이메리티 왕국
삼츠헤 공국

조지아 왕국(조지아어: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მეფო, 로마자: Sakartvelos samepo)은 조지아 제국이라고도 불리며, 1008년에 건국되어 1490년까지 존속했던 중세 유라시아의 군주국이었다. 그것은 11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다비드 4세타마르 여왕의 통치 아래 정치적·경제적 힘의 절정기에 다다랐으며, 이 시기는 조지아 역사에서 "황금 시대"로 불린다. 조지아는 곧 동방 기독교의 선봉 국가 중 하나가 되었고, 그들이 구축한 범캅카스 왕국과 그 연결망은 동유럽에서 아나톨리아와 이란 북부까지 뻗어 있었으며, 또한 조지아 왕국은 예루살렘십자가 수도원그리스이비론 수도원과 같은 타국의 종교적 유산을 유지했다. 그것은 오늘날 조지아의 주요한 역사적 전조이기도 하다.

몇 세기 동안 지속된 조지아 왕국은 13세기에 몽골의 침공으로 한 차례 멸망했지만, 1340년대에 이르러서 그들의 주권을 다시 주장할 수 있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흑사병의 유행 및 티무르의 침공이 일어나 국가의 경제, 인구, 도시 중심지가 모조리 황폐화되었고, 오스만 제국비잔티움 제국·트라페준타 제국을 정복함에 따라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5세기 중반이 되면 조지아 왕국은 단지 명목상으로만 남아 있게 되었다.

이러한 모든 일련의 사건들은 1466-1490년 사이에 수많은 반란이 일어나고 왕국이 무정부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1490년에 최종적으로 조지아 왕국은 해체되었으며, 이 지역은 바그라티온 왕조와 그의 경쟁 분파들이 주도하는 더욱 작은 정치적 분열체로 나뉘게 되었다.

배경[편집]

라지카이베리아로 알려졌던 조지아인의 초기 왕국들은 서기 3~6세기에 걸쳐 벌어진 로마-페르시아 전쟁으로 인해 봉신국으로 전락하거나 멸망하고 말았다. 그 후 이 지역은 7세기 초 아랍 무슬림의 정복으로 이슬람 제국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바그라티온 가문 출신의 이베리아 왕족들은 아랍의 압제에 맞서 싸우면서 타오-클라르제티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들은 비잔티움 제국의 명목상 봉신으로써 쿠로팔라테의 이베리아를 세웠고, 888년까지 자신들의 지배권을 조지아 중부 지역(카르틀리)로 확장하면서 기반을 다졌다.

각주[편집]

  1. “Heraldica - რუკები”. 《heraldry.ge》. 2019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5일에 확인함. 
  2. “Zwölf Königswappen , aus: Grünenberg, Konrad: Grünenberg, Konrad:Das Wappenbuch Conrads von Grünenberg, Ritters und Bürgers zu Constanz - BSB Cgm 145 ( um 1480) - Digitalisiertes Buch aus dem urheberrechtsfreien Bestand der Bayerischen Staatsbibliothek München [Deutschland] 2007-2021 Bildähnlichkeitssuche”. 《bildsuche.digitale-sammlungen.de》. 2020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1일에 확인함. 
  3. Oldest Georgian Arms 보관됨 2019-01-12 - 웨이백 머신 Zachary Kiknadze, pp.6–7, State Council of Heraldry, 2014
  4. Paghava, Irakli; Novak, Vlastimil (2013). 《GEORGIAN COIN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NÁPRSTEK MUSEUM IN PRAGUE》. 2016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