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Ykhwong/보관 문서/7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如何联系想要解放朝鲜的韩国人?

您好,我想问一个与维基百科无关的问题,我不会韩文,也不知道什么韩国网站,只好到这里来,请见谅。

我看到有报道说,朝鲜女生为保护金正日画像溺亡获嘉奖。既然朝鲜人十分愿意保护金正日的画像,我建议韩国想要自由化朝鲜的人,将传单印上金正日画像,画像边角印上关于自由、民主的资料,用热气球传送到朝鲜。这样,朝鲜人由于他们保护金正日画像的要求,就应该合法拿起这些传单,便可推动朝鲜自由化。

我想联系有志于自由化朝鲜的韩国人,阁下能提供一些链接吗?谢谢。--王小朋友 (토론) 2012년 7월 2일 (월) 20:23 (KST)답변

对不起。这里是韩语维基百科。这里不是韩国(大韩民国)的维基百科。这里不是朝鲜(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的维基百科。我在这里不能帮您,因为在维基百科政治中立是非常重要的。如果您有其他问题,请告诉我。--ted (토론) 2012년 7월 5일 (목) 12:45 (KST)답변

번역

위키백과의 일반 문서의 작성을 시작하기 앞서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를 꼭 참고해 주세요. 문서 작성에 익숙하지 않으신 경우 위키백과:빠른 길라잡이도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15:49 (KST)답변
이풍호 문서에서 말하는 인물이 혹시 본인인가요? 해당 인물이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나요? 위키백과에서 문서를 작성하실 때에는 어느 정도의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위의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라는 링크를 먼저 참고하실 것을 권유한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16:42 (KST)답변
저명성 이외에도, 문서의 대상 인물이 자신을 소개하는 것처럼 쓰인 것이나, 경어체를 쓰는 것은 위키백과 문서의 형식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7월 8일 (일) 16:53 (KST)답변
해당 문서는 상기에 언급된 여러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삭제되었습니다. Plee223님께서 개인적으로 복구를 원하신다면 말씀해 주세요. 사용자 문서로 이동해 드릴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16:56 (KST)답변
사용자:Plee223/이풍호에 복구해 드렸습니다. 해당 문서는 수정 이후에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어떠한 문서들이 작성되고 있는지, 또 문서들이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눈여겨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8일 (일) 18:18 (KST)답변

류화영 문서에 부적절한 내용이 든 편집 판에 대한 삭제 요청

크리스탈 (1994년) 문서 역사에 변경 내력을 보면 2012년 7월 4일 (수) 12:45‎ 164.125.243.108 (토론)‎ 판과 2012년 7월 4일 (수) 11:12‎ 164.125.243.21 (토론)‎ 판, 2012년 7월 2일 (월) 10:04‎ 164.125.243.23 (토론)‎ 판 등등 매우 부적절한 내용이 들어있는 판들이 몇개 있군요. 이러한 부적할한 내용이 들어있는 판들을 계속 나둘 경우 또 장난성 편집이 일어나는 악순환이 일어날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이러한 장난성 편집이 있는 판들을 이 문서 역사에서 삭제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삭제는 관리자 분들만 권한이 있다고 해서 제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서 토론에 글을 적습니다. Jhw2013 2012년 7월 10일 (월) 07:35 (KST)답변

다른 사용자 토론에도 답변이 있듯이, 여러 관리자에게 같은 내용으로 일일이 요청하는 것보다는 공적인 요청 공간에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4일 (토) 16:38 (KST)답변

그동안 위키백과에 장난을 처서 정말 죄송합니다.

그동안 제가 빅토리아 (1987년), 큐리, 전보람, 류화영, 설리 등등의 문서에 성적(性的)인 비하 내용으로 부적절한 장난을 했는데 정말로 죄송합니다. 위의 문서에 164.125.243. 으로 시작되는 IP로 편집된 내용들은 제가 장난을 한 내용입니다. 확인해보시고 전부다 문서의 변경 내력에서 다른 사람들이 볼수 없도록 해주십시오. 제발 부탁입니다. 두번 다시는 이런 장난치지 않도록 약속하고 맹세하겠습니다. 제가 그동안 했던 연예인 문서 장난 편집판들을 지워주신다면 두번 다시 이런 장난치지 않도록 약속하고 맹세할것이며 앞으로 두번 다시 위키백과에 접속하지 않겠습니다.정말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제발 한번만 믿어주시고 조취를 취해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미안합니다) 2012년 7월 14일 (월) 14:59‎ (KST)답변

이미 여러 사용자들이 사용자 토론에 답변해 주셨습니다. 위키백과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든 기록이 보존됩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4일 (토) 16:38 (KST)답변
문서에 '성적인 수치심'의 부적절한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정말로 죄송합니다. 다시는 장난을 하지 않겠습니다. 제발 딱 한번만 제가 편집한 내용들을 문서의 변경 내력에서 지워주십시오. 부탁입니다. 두번 다시는 이런 장난치지 않도록 약속하고 맹세하겠습니다. 제가 했던 장난 편집판들을 지워주신다면 두번 다시 이런 장난치지 않도록 약속하고 맹세할것이며 앞으로 두번 다시 위키백과에 접속하지 않겠습니다.정말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존경하는 관리자님 제발 이번 한번만 믿어주시고 조취를 취해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미안합니다) 2012년 7월 14일 (월) 20:42‎ (KST)답변
위키백과에서는 특정판 삭제(숨김)는 저작권 침해에만 한하여 허용됩니다. 아무리 부적절한 내용이다 하더라도 기록은 보존됩니다.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7월 14일 (토) 20:53 (KST)답변

이메일 확인 부탁드립니다.

이메일 확인 부탁드립니다. 미안합니다 (미안합니다) 2012년 7월 15일 (일) 23:06 (KST)답변

저는 어떠한 전자메일도 받지를 못했습니다. 위키백과 내에서 일어난 일에 대하여 제게 메일을 보내는 것보다는 위키백과 내에서 총의를 거칠 것을 권장합니다. 저 또한 위키백과의 피고용자(직원)가 아닌, 다른 사용자들과 똑같은 자발적인 기여자일 뿐이며, 총의 없이는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없습니다. 관리자는 서버 운영자가 아닙니다. 아무리 관리자라 할지라도 할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자신의 사용자 토론에서 토론이 진행 중이므로 해당 토론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6일 (월) 01:05 (KST)답변

안상원선수 탭부분인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군요

이유를 달아주신분이 님 뿐이라 여쭤봅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가 있어서 지워지는건가요?

동명이인 탭을 만들어서 활용하라는 건가요? 이미 있던 틀을 그대로 사용해서 한사람분을 더 추가한 건데 문제가 있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2.155.21.12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두 인물에 대한 장황한 설명을 한 문서에 넣지 않습니다. 하나의 독자적인 문서가 아닌 두 개의 문서가 하나로 되는 편집을 하셨는데, 두 인물에 대한 장황한 설명이 한 문서에 있을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저명성에 따르면 "하나의 독자적인 문서로서 존립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밑그림을 제공"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안상원 문서가 있으면, 여기다가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 만들 예정인 문서가 설명하는 인물이 저명하다면) 안상원 (1991년) 문서를 새로 만들어서 내용을 제공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7월 16일 (월) 09:17 (KST)답변

그럼 이런식으로 문서를 만들어야한다는 건가요?[1]

동명이인 김종현 여러명을 나열하였는데,

안상원 동명이인 여러명을 나열하는식으로 작성하능것인가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아흥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동음이의어 문서를 작성하기 앞서 제가 위에 언급한대로 문서를 먼저 작성해 주세요. 문서를 먼저 작성한 뒤 동음이의어 처리(동음이의어 문서를 추가하거나 다른 뜻을 추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6일 (월) 09:32 (KST)답변
제가 안상원 문서에 다른 사람 틀을 추가해 놓았습니다. 빨간 링크로 되어 있는 안상원 (1991년) 문서를 새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6일 (월) 09:36 (KST)답변

아 이거 제목 바꿀려고 한거데여;;

아하ㅎㅎ 바꿀려면 토론해야 되는거군요~~ 참고 하겠습니다. 앨릭스 퍼거슨 에서 알렉스 퍼거슨으로 꼭 바꿔 주세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8.37.223.129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토론에서 결론이 난 뒤에 이야기하세요. 논란 가운데 토론이 종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제 마음대로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7일 (화) 07:57 (KST)답변

안녕하세요 위키피디아 이용에 관한 문의사항 입니다.

어디로 연락을 해야 할지 몰라 이곳에 질문을 남깁니다.

제가 알기로는 위키피디아의 내용은 CC-BY-SA 3.0과 GFDL 1.2 에 의거하여 배포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제가 특정 분야의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가지고 가서 CC-BY-SA 3.0과 GFDL 1.2 에 의거하여

사용자들이 사용하도록 한다면 이용하는데 제약이 없다는 뜻인지요?

여행에 관한 사이트를 제작 하려고 하는데 내용의 기초를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편집하도록 하는 위키피디아와 같은 형식의 사이트입니다.

혹 이곳의 내용과 맞지 않다면, 이러한 내용에 대해 연락을 취하려면 어디로 취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7월 18일 (수) 14:40에 작성한 사용자는 Car3876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먼저 "위키피디아"는 이곳의 영어 명칭이며, 한국어 명칭은 위키백과입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은 CC-BY-SA 3.0과 GFDL 1.2 이상에 의거하여 자유롭게 배포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토론 페이지를 편집할 때는 물결표(~~~~)로 서명을 하시는 것을 잊지 마세요. :)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7월 18일 (수) 16:16 (KST)답변

'레몬디톡스 심플리패스트'에 대한 삭제가 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이유가 단순 정의 때문이라면 조금더 방대한 내용을 적으면 되는 것인지 홍보성으로 비추어 질수 있을것 같아 사실만을 기준으로 짧게 작성한 것인데 구체적인 삭제 이유가 궁금합니다. 일단은 추가 내용을 덧붙여 작성하겠으며 삭제요청은 경쟁 업체에서 하는 것으로 생각되니 한곳에 치우치지 않는 신중한 판단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angwoowo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jm03178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레몬디톡스 심플리패스트 문서는 총 3번 삭제되었습니다. 이 가운데 제가 Sangwoowoo님이 작성한 레몬디톡스 심플리패스 문서를 삭제한 이유는 단순 1줄의 너무나도 "짧은 정의의 문서"였기 때문입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에 따르면 위키백과는 단순히 1줄 정의의 국어사전이 아닙니다. 한편, 다른 두 관리자들의 해당 문서의 삭제 이유는 "광고/홍보를 목적으로 한 내용 추가"이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아무리 사실만을 기준으로 짧게 작성하였다고 할지라도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광고/홍보적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이것이 사실임을 입증하려면, 자신의 기여의 목적이 독자 연구가 아니고 홍보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그에 마땅한 출처 또한 제공되었어야 합니다. 또, 해당 실체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홍보를 목적으로 한 문서가 지속적으로 등재되어 현재 다른 한 관리자에 의하여 해당 문서의 작성이 되지 않도록 보호 조치된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이렇게 이유를 말씀 드렸음에도 불구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 사항이 있다면, 광고/홍보를 이유로 해당 문서를 삭제한 관리자에게 직접 문의할 것을 권장합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19일 (목) 13:51 (KST)답변

김해서중학교 문서 삭제에 대해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김해서중 교사입니다. 교육청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메뉴얼대로 학교소개에 대한 문서를 등록했는데 사용자님이 삭제하신 걸로 나오더라구요. 왜 삭제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김해서중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김해서중학교를 대표하시는 분이신가요? 문서를 작성하시기 전에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을 꼭 읽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문서 작성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3일 (월) 15:10 (KST)답변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을 읽어보았습니다. 교육청에서 정해준 항목과 위키백과에서 제공한 예시 항목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삭제한 문서 복구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김해서중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죄송한 말씀이지만, 전혀 동일하지 않습니다. 틀은 깨져 있으며 (사전이라면 최소한 필요한) 정의도 존재하지도 않고, 특정 항목들만 단순 나열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회원 가입에 따라 "김해서중"이라는 사용자 이름이 아닌 다른 사용자 이름으로 회원 가입하여 김해서중학교 문서를 새로 작성해 주실 것을 부탁 드립니다. 다른 사용자 이름으로 가입한 뒤 이 단락에 다시 답변을 해 주시면 제가 일단은 사용자 문서로 복구해 드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 문서의 내용을 숙지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14:15 (KST)답변


예시 항목이 있지만 [이것을 복사하여 내용에 맞게 편집/작성해 주시면 되지만, 반드시 여기에 얽매여서 문서를 작성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라고 되어 있네요. 아이디는 바꿨습니다. 문서 복구해주시면 학교에 대한 정의를 추가하고 바뀐 아이디로 내용을 수정하여 다시 올리겠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Rlagotjwnd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것은 백:얽에 따른 것이며, 처음 오시는 분들은 다른 문서를 참고 또는 예시를 따르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청에 따라 사용자 문서인 사용자:Rlagotjwnd/김해서중학교에 문서를 복구해 드렸습니다. 다만 현재 위키백과:사랑방/2012년 제30주#최근의 교육기관 문서의 생성에 관해서에서 학교 문서 작성에 대한 논의가 있사오니 관심이 있으면 해당 링크를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4:29 (KST)답변

와일드엔젤 삭제건에 대하여 문의드려요!

와일드엔젤 문서를 삭제 하셨더라구요. 올려진 시놉시스를 저작권침해로 삭제를 하셨던데 시놉시스가 있는 그 블로그는 저희 와일드미디어 측에서 운영하는 블로그 입니다. 그러므로 저작권은 저희에게 있으니 글을 다시 복구 시켜 주세요!! 블로그 시놉시스 저작권에 대한 필요한 서류가 있으면 드릴테니 글을 복구시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Wildange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을 먼저 읽어 주시고 올리시려는 내용이 다음의 라이선스가 충족하는지 확인을 부탁 드립니다.

"위키백과 내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 3.0) 하에 배포되며, 이 라이선스 규정에 따라 문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서 내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하에서만 배포된다는 표식이 없는 경우에는 그 문서는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 이상(GFDL)으로도 같이 배포됩니다. 이 경우 원하는 라이선스를 선택해 사용하거나, 두 라이선스 모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어떠한 목적으로든, 영리 또는 비영리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키백과에 올라오는 모든 글들이 다른 사용자가 위키백과의 내용을 영리적/비영리적인 이용이 가능하여야 하는데, 와일드미디어 측에서는 이에 대해서는 입장이 확실하신지 궁금합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3일 (월) 16:47 (KST)답변

위키백과 내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 3.0) 하에 배포되며, 이 라이선스 규정에 따라 문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서 내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하에서만 배포된다는 표식이 없는 경우에는 그 문서는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 이상(GFDL)으로도 같이 배포됩니다. 이 경우 원하는 라이선스를 선택해 사용하거나, 두 라이선스 모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 부분이 좀 말이 어렵네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CC-BY-SA 3.0),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 이상(GFDL)이 두가지 찾아봐도 설명도 잘 없구요 혹시 알려주실수 있으면 간단하게라도 설명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위키백과에 올라오는 와일드엔젤 글이 다른 사람들이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동의하는지를 물어보시는 거라면 동의합니다. 그럼 글이 복구되는 건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Wildange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방금 말씀하신 "결론적으로 위키백과에 올라오는 와일드엔젤 글이 다른 사람들이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동의"와는 큰 관계가 없습니다. 제 말은 다른 사람들의 단순한 자유로운 이용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문서의 내용을 영리 또는 비영리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허용"하시는지의 여부를 물은 것입니다. 또, 글을 올리시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문서를 가공하여 새로운 저작물을 만들 때 그 저작물도 동일한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다른 사용자가 위키백과의 내용을 출처로 하여 문서를 가공하여 다른 곳(외부)에서 새로운 저작물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동의하시나요? 제 질문에 확실한 답변을 먼저 해 주실 것을 부탁 드립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3일 (월) 17:27 (KST)답변

네 모두 동의합니다. 그럼 이제 어떻게 하면 되나요? 글이 복구되는 건가요? 아니면 다시 작성하면 되는 건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7월 24일 (화) 11:10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Wildange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끼어들어 죄송합니다만, Wildangel님은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기실 때는 꼭 서명(~~~~)을 해 주세요.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7월 24일 (화) 12:16 (KST)답변
상단의 문단은 필요하시면 복구가 가능하지만, 너무나 기나긴 문단들의 시놉시스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또,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많이 알려져 업계에서의 인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런 표현은 위키백과에서 비중립적인 표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주의하여 다시 올려 주시고, 시놉시스는 간략히 줄이거나 바깥 고리(외부 링크)로 대체할 것을 권장합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4일 (화) 14:38 (KST)답변

네 그럼 상단의 문단 복구시켜 주세요. 그리고 시놉시스나 캐릭터 설명,ost영상 등 이런 내용들은 간단히 줄일 수 없다면 그럼 모두 링크로 걸어야 하나요? 또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많이 알려져 업계에서의 인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 부분은 소설 시놉시스의 내용 즉 소설의 내용입니다. 소설 설정이예요. 소설의 내용도 비중립적 표현으로 간주되어 쓸 수 없는건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7월 24일 (화) 17:14에 작성한 사용자는 Wildangel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재차 말씀드립니다만,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기실 때는 꼭 서명을 해 주세요. 자신의 의견 뒤에 물결표 4개(~~~~)를 붙이시면 됩니다.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7월 24일 (화) 17:37 (KST)답변
네, 소설 내용뿐 아니라 모든 내용에는 가능하면 중립적인 기술이 요구됩니다. 전반적으로 문서를 다시 기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상단 문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문서를 직접 새로 작성하시는 게 낫겠습니다. 상단 문단은 사용자:Wildangel에 이미 존재하므로 새 문서 작성시 복사해서 가져오시면 되겠습니다. 줄거리는 "나는 ~이다."라는 표현 보다는 중립성을 위해 제3자가 설명하는 식(누구누구는 ~했다 식)으로 편집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01:27 (KST)답변

디렉토리

디렉터리보다는 디렉토리가 훨씬 많이 쓰이길래 옮겼습니다. 되돌리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거북이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4:32 (KST)답변

단순히 많이 쓰인다고 하여 무조건 바꾸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디렉터리->디렉토리로의 이동에 대한 영향은 오픈 디렉터리 프로젝트 문서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디렉터리를 포함, 디렉터리 서비스, 액티브 디렉터리, 작업 디렉터리, 홈 디렉터리, 디렉터리 엔트리, 패션 모델 디렉터리 등 모두 다 바꿔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과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디렉터리를 표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디렉토리로 바꾸려면 일단은 총체적인 토론을 먼저 거쳐야 합니다. 단순히 마이크로소프트 용어집이나 윈도 내에서 실제로 "디렉터리"라는 표기를 사용한다거나, 제가 디렉터리, 오픈 디렉터리 프로젝트 문서를 만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것은 아닙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5:54 (KST)답변
눈에 보일때마다 바꾸는거죠. 한번에 다 바꾸려면 못합니다. 버거워서요. 총체적인 토론이 필요하다면 열어보죠. --거북이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04 (KST)답변
한 가지 더 말씀 드리면, "오픈 디렉터리 프로젝트"와는 큰 관계가 없을 수도 있지만, "디렉터리 서비스", "액티브 디렉터리"의 경우 "디렉토리 서비스", "액티브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은 현재 기준에서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제품 기술 이름이고 한국어 윈도 제품에서 실제로 "액티브 디렉터리", "디렉터리 서비스"로 쓰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용어집에서도 디렉터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공식 표기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많이 쓰인다고 하여 많이 쓰이는 표기를 고집할 수는 없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04 (KST)답변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콘퍼런스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컨퍼런스를 많이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첫 표제어는 콘퍼런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토론:콘퍼런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06 (KST)답변
제 의견으로는 로열 더치 쉘(맞춤법에 따르면 "로열 더치 셸"이 맞음), 포르쉐("포르셰"가 맞춤법에 맞음)처럼 자사가 공식 표기를 사용하면 그에 따르고, 공식 표기가 없다면 외래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고 봅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10 (KST)답변
예 MS가 쓰는건 그냥 두시지요. --거북이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12 (KST)답변
디렉터리 용어를 사용하는 그 밖의 다른 용어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향을 받는 디렉터리 첫 표제어부터 디렉토리로 바꾸는 것에 대한 총체적인 토론을 먼저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14 (KST)답변
백:표기의 정보통신용어사전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위키백과토론:외국어 고유명사의 한글 표기에서 컴퓨터 용어와 관련하여서 토론이 이루어졌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용어사전을 참조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정보통신용어사전에 따라서도 해당 표기는 "디렉터리"로 삼고 있으며, "디렉토리"는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16:19 (KST)답변

대우버스 뉴 BS관련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F/L, BS106(L) 로얄시티 F/L, BC211M 로얄하이시티, BS110CN 로얄논스텝 F/L 등이 지난해 말에 뉴 BS시리즈로 마이너체인지된 이후에도 차종별로 각각 동일한브랜드는 계속 존치되어있습니다.[1] 다만 각 차량 전문 옆에 로얄미디, 로얄시티 등의 브랜드만 생략되었을 뿐이지요. --Twojp7451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3:47 (KST)답변

주석

  1. 뉴 BS로 마이너체인지된 이후에도 차종별로 각각 동일한브랜드가 계속 존치된 것과 관련된 증거있고, 이 홈페이지를 참조해보시길 바랍니다. http://www.daewoobus.co.kr/newsite/KR/showroom/120312.pdf

무슨 의도로 글을 작성하셨는지, 무엇을 원하시는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또, 사용자토론:Seowl0324에도 같은 내용을 올리셨던데 "토론은 한 곳에만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제 토론 맨 위에 강조를 해 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토론 분산은 비효율적입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3:53 (KST)답변

답변 네 알겠습니다. 사실은 대우 BS 문서보고 Ykhwong 님께 말씀드릴께 있어서 찾아왔습니다. 제가 그 문서에다가 뉴 BS090, 뉴 BS106, 뉴 BS110 각 옆에 로얄미디 F/L, 로얄시티 F/L, 로얄논스텝 F/L이라고 각각 써놓았었는데, Ykhwong 님이 그 거 지우셨길레 제가 다시 써놨어요. --Twojp7451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4:38 (KST)답변
지우지 않았습니다. 대우 BS 문서의 2007년 10월 11일 첫 판부터 현재 판까지 한 제 기여 중에 아무리 찾아봐도 제가 해당 내용을 지운 역사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다른 사용자와 착각하신 것이 아닐까요? --ted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4:41 (KST)답변
네 편집내역에서 다시한번 확인했고, 사실은 제가 착각하고 있었어요. 잘못했습니다. --Twojp7451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4:45 (KST)답변
괜찮습니다. 그럴 수도 있지요. 앞으로도 위키백과에 좋은 기여 바라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14:46 (KST)답변

AKB48 관련

항상 맞춤법 고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왜이리 자꾸 틀리는지... 다른 부분도 틈날 때마다 좀더 봐주시고 고쳐주세요.--PostEinstein (토론) 2012년 7월 28일 (토) 16:35 (KST)답변

천만에요, 제게도 한국어 맞춤법이 많이 어렵습니다. :) --ted (토론) 2012년 7월 28일 (토) 16:44 (KST)답변

사이트노티스

임시적으로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에 대한 사이트노티르를 띄워주셨으면 합니다. --가람 (논의) 2012년 7월 30일 (월) 14:06 (KST)답변

제게 미디어위키 이름공간의 sitenotice 수정 권한은 있으나 미디어위키토론:Sitenotice#긴급한 사항에서 논의가 있어서, 일시적으로 띄우는 것이 합당한지는 잘 모르겠네요. --ted (토론) 2012년 7월 30일 (월) 14:16 (KST)답변

학교 문서

장산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장산초등학교 위키디피아를 만들려고 합니다, 죄송하지만 삭제되고 있는 것 같은데 삭제를 하지 말았으면 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cn474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삭제를 원치 않으신다면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을 꼭 참고하셔서 예시를 가져와서 글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 문서 이름공간에 들어가는 문서들은 첫 판부터 최소한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학교 문서에 대한 총체적인 토론은 사랑방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30일 (월) 14:32 (KST)답변
예를 들어,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에서 지적하고 있는 수많은 사항들을 살펴봐 주세요. 다른 사람이 기여해놓은 내용(분류 등의 추가)을 삭제하고 자신의 기여로 채우는 점[2], 첫 판부터 단순 연혁만을 나열, 학교 홍보적 어투 추가(중립성 위반), 전화번호, 팩스번호 추가 등 위의 위키백과:학교 문서 생성자에게 드리는 말씀에서 하지 말라는 사항들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30일 (월) 14:36 (KST)답변

레미 문서

아, 님 꼬마마법사 레미의 하루카제 도레미(한국어 이름:도레미) 문서의 주석에서 레미는 손을 안 다쳤어요. 레미는 마법사잖아요. 손을 안 다쳤어요. 이영란의흙놀이 (토론) 2012년 7월 30일 (월) 15:26 (KST)답변

이렇게 <references />를 삭제하시면[3] 주석 출력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사용자 토론에 글이 올라갔으면 그 아래에 답변을 해 주셔야지, 이렇게 다른 사용자 토론에 글을 올리면 토론이 분산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참고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7월 30일 (월) 15:28 (KST)답변
왠지 수상합니다. 일단 문서 훼손을 사유로 차단되어 있기는 한데, 사용자:도너랜드찰흙하루카제 도레미 문서에서 <references/> 태그를 삭제하는 편집을 하였는데[4], Ykhwong님에 의해 되돌려지고 나서[5] 사용자:이영란의흙놀이가 나타나 같은 편집을 반복한 점[6], 특:기록/이영란의흙놀이에서의 계정 생성 시간과 이 사용자가 하루카제 도레미 문서에서 첫 편집을 한 시간이 거의 비슷한 점 등을 보아 사용자:찰흙먹기대회, 사용자:도너랜드찰흙의 다중(동원)계정으로 의심됩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2년 7월#차단 요청 (2) 참고)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7월 30일 (월) 21:05 (KST)답변
사용자:Rlaalfo759가 아직도 다중 계정으로 활개를 치는 것입니다. 편집 패턴도 일치하고 말투도 같고 계정명도 비슷합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7월 31일 (화) 00:49 (KST)답변
기여를 수차례 확인한 뒤 다중 계정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판단되어, 두 계정 모두 다중 계정의 악용을 이유로 차단하였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31일 (화) 02:25 (KST)답변

문서 삭제

아니 제가 남긴 문서를 왜 삭제 하셨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Jewelz6ix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문서의 삭제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삭제 신청에 따라, 관리자가 삭제 정책에 의거, 삭제 여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기여하시기 앞서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링크를 먼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는 홍보, 광고를 위한 장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기업의 인재상이나 각종 미사여구는 기재할 수 없습니다. 기업을 단순히 드러내려고 하는 문장들은 중립적인 관점에서 기술된 것이 아니므로 문제가 됩니다. 또, 다른 곳에서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여 붙여넣으면서 내용을 기술할 때에는 저작권 침해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 또, 해당 기업의 저명성 부족도 위키백과의 삭제 이유에 속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저명성) --ted (토론) 2012년 7월 31일 (화) 13:17 (KST)답변

꼬마마법사 레미...?

제 편집을 뒤에서 도와주시면서 맞춤법 다 고쳐주시는 거 감사한다고 글 남기고, 그 김에 문서 주시하기가 되어서 그 이후부터의 편집들이 다 보였는데요... 도대체 꼬마마법사 레미가 뭐라고 이렇게 여러 사람을 못 살게 구는걸까요...? 손을 다쳤든 그렇지 않든 그것이 무엇이 중요하며, 대체 순수 일본 애니메이션을 가지고 한국인 화백이 그렸다고 날조를 하지를 않나...(진위는 모르겠지만, 수십차례의 해명요구를 모두 묵살하고 있으니까요.) 진짜 전 그 문서랑 아무 상관도 없는 사람인데요, 진짜 보다보다 너무 속이 터져서 넋두리 좀 하려고 글 남겨봅니다... 저같은 인간도 이렇게 느끼는데, 관련되신 분으로서 진짜 얼마나 스트레스 받으실까요... 그게 유감스럽고 제 멋대로 위로 말씀 드리고 싶은 마음에 글 남깁니다... --PostEinstein (토론) 2012년 7월 31일 (화) 19:46 (KST)답변

말씀 감사합니다. 덕분에 힘이 됩니다. 저 또한 다른 기여자들과 같이 자발적인 기여자들 가운데 한 명이지만, 장난을 목적으로 작정을 하고 차단 회피를 해가면서 여러 계정으로 순수 기여자들의 협업에 방해를 일삼는 것을 보면 속이 터집니다. 선의로 보려고 해도 볼 수가 없는 상황이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7월 31일 (화) 19:56 (KST)답변

EK티쳐 삭제하셨더라구요

최대한 중립적으로 쓴다고 썼는데,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 삭제가 안될까요 ? 알려주시면 참고해서 다시 작성해보려구요 ~ ^^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Manaju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본문에 <br /> 태그를 남용하는 편집 방법부터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는 HTML 문서 편집기가 아닙니다. 위키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면 위키 문법을 사용해 주세요. 문서 작성에 대한 자세한 방법은 위키백과:빠른 길라잡이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글 작성에 앞서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위키백과:저명성을 참고해 주세요. 위키백과는 광고를 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는 내용을 중립적으로 기술하여야 합니다. 또, 위키백과는 설명서, 소개서가 아닙니다. "~하면 ~할 수 있다."라는 내용은 홍보적 어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부분에 너무 많은 강조(''')를 사용하지 말아 주세요. 교육이념 등이 반드시 기술되어야 하는지도 살펴주세요. (중립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또, 본문보다 연혁이 지나치게 길면 곤란합니다. 위키백과는 특정 단체를 자랑하는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의 다른 문서들이 어떻게 작성되어 있는지 살펴본 뒤 비슷한 형식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일 (목) 10:19 (KST)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석하리듬 관련 글을 작성했는데 삭제 하셨더라고요

왜 삭제 하셨는지 궁굼합니다. 제가 처음 글 올린거라 잘 모르는데 혹시 형식 같은거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건가요? 삭제 하신 이유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Lvjjw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저작권 침해로 삭제되었습니다. 위키백과에 출처를 밝히더라도 수많은 내용을 그대로 복사 & 붙여넣기하여 가져오시면 안 됩니다. 이는 저작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위키백과:저작권 정책을 참고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8월 2일 (목) 10:21 (KST)답변

회원 가입 불가능

제가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다중 계정 악용으로 글 편집이 차단됩니다. 175.200.79.109 (토론) 2012년 8월 6일 (월) 19:44

해당 IP 기록에 따르면 차단 흔적은 발견할 수 없습니다. 다만, 혹시라도 특정 사용자로 가입한 뒤 차단이 된 적이 있다면, 해당 사용자로 로그인한 IP 또한 자동 차단될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6일 (월) 19:52 (KST)답변

Ykhwong 님께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위키백과사전 이용자인 KoreanHistoryWriter입니다.
평소 역사에 관심이 많아 (특히 조선시대 부분에서) 위키백과 편집에 참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211.114.51.46 사용자와 59.17.238.58 사용자의 문서훼손이 지속해서 진행되어 고민이 있었습니다.
사용자 관리 요청에 문의해본 적도 있었으나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패턴으로 볼 때 동일인물로 추측되는데요, 특히 이 사용자는 폐비 윤씨와 관련된 문서를 훼손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로 칭호를 변경하거나 회묘를 회릉으로 변경하거나 그녀의 본관은 함안에서 파평으로 변경하거나가 주된 특징입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주석이나 인터위키가 분류를 이유없이 제거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를 비롯한 다른 사용자들이 토론을 통해 이를 해결해나가려고 했음에도 토론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7]
Ykhwong님 덕분에 당분간 위키백과 이용이 편해질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번번이 (문서훼손으로 인한)문서 되돌리기를 해야만 했거든요.
이렇게 관심을 두고 처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KoreanHistoryWriter (토론) 2012년 8월 10일 (금) 09:37 (KST)답변

제공해주신 링크를 참조하여 112.160.40.95도 차단하였습니다. 이와 비슷한 위키백과에 불이익이 되는 편집 패턴이 발견된다면 말씀해 주세요. 저도 가능하다면 주시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0일 (금) 13:39 (KST)답변

'개새끼'의 어원

'개새끼 욕설의 어원이 의심쩍습니다. 해당 문서의 출처로 2가지가 제시되어 있는 데, '시니어타임즈에 연재된 글'은 작성자가 밝혀져 있지 않고 나머지 내용은 모두 명리학자 '권우상'씨의 주장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명리학자 또는 소설가 등의 주장은 '민간어원설'에 근거한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좀더 믿을만한 출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리듬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0:32 (KST)답변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뉴스 기사나 간행지를 출처로 인용하였습니다. 다만 미더운 출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신다면 추후 시간을 내서 문헌을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문서 토론에서 논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0:42 (KST)답변

틀 부착

문서를 보호하고 나서는 {{보호 문서}}를 통해 해당 문서에 문서가 보호 상태임을 고지해 줄 것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빼먹으신 지연 (1993년), 효민, 은정 (1988년)에는 틀을 뒤늦게 부착하였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2년 8월 12일 (일) 12:46 (KST)답변

확인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3:05 (KST)답변

출처 제시 및 넘겨주기 문서 문제

안녕하세요. 저한테 출처를 제시해달라 하셨는데요. 최근 제가 만든 문서들은 런던올림픽 공식홈페이지를 출처로 제시한 것들이 많았는데 이것도 안된다는 말씀인가요? 그리고 2012 런던 같은 문서를 삭제하셨는데, 이 문서를 만든 것은 틀:메달 경기를 만들 때 편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틀:메달 경기에는 "2012 런던"처럼 표출되도록 나오는데, 이것은 "2012 런던"처럼 만들도록 되어 있잖아요. 그런데 "2012 런던"을 2012년 하계 올림픽으로 넘겨주기 처리하여 만들어 두면, 틀:메달 경기를 만들 때 2012 런던만 입력하면 되니까 편해서 그렇게 한 것이었는데 그렇게 하면 위키백과 규칙에 어긋나는 것인가요? 스케이트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22:09 (KST)답변

런던올림픽이라니 무슨 말씀이신가요? 저는 그런 언급은 일체 한 적이 없습니다. 저는 굳이 올림픽 문서를 말씀 드린 게 아니라, 2008년부터 만드신 문서들 가운데 "출처"라는 항목을 제공하지 않은 모든 문서들을 말씀 드립니다. 또, 제 사용자 토론 최상단에 말씀 드린 것처럼 "토론은 한 곳에만 집중하여 진행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사용자 토론에 글이 올라갔으면 그 글 아래에 답변을 주셔야지, 이렇게 다른 토론에다 글을 쓰면 토론이 분산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두 토론에 동일한 댓글을 달지 않습니다. 주의해 주세요. 출처에 대한 모든 자세한 설명은 스케이트님의 토론 공간에 링크와 더불어 설명 드렸으므로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겠으니, 출처를 밝히지 않은 모든 문서에 출처를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3일 (월) 02:06 (KST)답변
한 가지 더 말씀 드리면, "2012 런던"은 "2012 런던 올림픽"과 일대일 대응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런던에 많은 일들이 일어났으며 2012 런던이 반드시 2012 런던 올림픽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에 그대로 나와 있는 것입니다. 위키백과에 오래 기여해 주셔서 숙지하고 계신 줄 알았습니다만, 제가 말씀 드린 링크를 다시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3일 (월) 02:10 (KST)답변

안녕하세요 Contents Way집필자 입니다.

Contents Way 최초 집필을 시작하고 오늘 연이어 집필을 하려고 했으나.. 삭제가 된것을 확인하고 차후에는 삭제를 하지 말아 주십사하고 문의를 드립니다. 수고하세용~ Pero80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09:51 (KST)답변

삭제하지 말아달라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른 사용자의 삭제 신청에 따라 해당 문서가 "홍보, 광고"용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고 삭제하였습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을 지켜야 하는 백과사전이며, 특정 항목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문서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관련 링크) 이렇게 대화 없이 삭제하지 말라는 통보식으로 나오시면 저는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지 모르겠고 난감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0:00 (KST)답변
삭제된 이유가 무엇인지는 생각해 보지도 않고 그저 삭제하지 말라는 태도를 보이시면 곤란합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8월 14일 (화) 10:08 (KST)답변
리플을 어찌달아야하는건지 몰라 이렇게 답니다 to:Ykhwong // 네 알려주신점 확실하게 인지 하였습니다. 제가 Contents Way를 삭제하지 말아달라고 통보한적은 없지만 그렇게 받아들여졌다니 유감입니다. 하지만 알려주신 내용에 관하여는 충분히 숙지 하고 작성토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삭제 중지 통보(?)에 대하여는 초보로써 문서를 틈틈히 확인하고 업데이트하며 문서를 완성시켜나가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위키를 통해 광고를 할 의도나 홍보를 할 의도였다면 그렇게 달랑 몇줄만 적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순수하게 위키를 익혀보고 학습해보고자한 의도를 분명히 밝힙니다.Pero80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36 (KST)답변
리플을 어찌달아야하는건지 몰라 이렇게 답니다 to:Djm03178 // 삭제된 이유는 듣지 않아도 알수있었고 충분히 삭제될수도 있다는 점을 알고있었습니다. 삭제된 이유가 무엇인지 충분히 생각했었기에 토론에 참여한 부분입니다. 제가 왜 위키에 일부러 와서 쓴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셨는지 여쭤봅니다.Pero80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36 (KST)답변
일단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신 것에 대해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서 먼저 글을 작성한 다음에 일반 문서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고려해 주세요. 예를 들어, 사용자:Pero80/Contents Way 문서를 새로 만든 뒤 어느 정도 정립시킨 다음, 완성되었다고 생각되면 일반 문서 Contents Way로 옮기시면 됩니다. 단, 해당 문서가 신뢰할만한 여러 출처들을 기반으로 하여 백과사전인 위키백과에서 독립된 문서에서 다뤄질 수 있도록 문서를 완성하여 주세요. (관련 링크) --ted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40 (KST)답변
아 그런 기능이 있었군요. 제가 아직 초보자다 보니 미처 그러한 기능을 알지 못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리고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ero80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45 (KST)답변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문서들이 어떻게 작성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문서 작성의 흐름을 보려면 위키백과:빠른 길라잡이를 보시고, 출처를 밝히는 방법을 보시려면 위키백과:출처 밝히기를 참조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47 (KST)답변
어제 오늘 계속 느끼는거지만 위키 참 잘 만든것 같네요 기능도 풍부하고 좋은분들도 도움을주시고 ㅎㅎ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Pero80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50 (KST)답변

미국 철도역 작성에 대해서 문의

미국의 철도역에 대해서 작성과 관련해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예를 들면, '238th Street (IRT Broadway – Seventh Avenue Line)' 역 명이 이렇게 되어있는데요. 미국 철도역 작성 방법에 대해서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주십사 합니다. --ch900311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19 (KST)답변

글쎄요, 역 이름에 대응하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선정할 제목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위키백과:질문방에 올리셔서 여러 사람들의 답변을 구하는 것이 낫겠습니다. 내용 작성에 대해서는 내용 그대로 번역을 하면 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4일 (화) 13:28 (KST)답변

핸드볼의 역사에 대한 글을 삭제하신 이유를 묻고 싶습니다.

제가 얼마전 핸드볼의 역사에 대한 글을 적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보니 삭제되어있어서 이유를 묻고 싶습니다. 그 글은 제가 학교 과제에 뒷받침하고 또 위키백과 라는 곳에서 기여를 하고 싶어서 글을 적은 것입니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적은 글이고 양이 적더라도 각종 자료를 요약하여 적은 글인데 삭제하셨다니 이해가 가지도 않고 황당하지만 이 글을 보시면 꼭 삭제한 이유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99annieki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삭제된 문서 링크를 클릭하면 "저작권 정책"에 의거하여 삭제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을 참고하세요. --ted (토론) 2012년 8월 18일 (토) 03:24 (KST)답변

열 받아서 이 글 씁니다.

도대체 남이 써 놓은 글을 보기 싫게 다닥다닥 붙여 놓은 이유가 무엇입니까? 기분 나빠 죽겠습니다. 보십시오. 지금 쓰고 있는 지금 글을 보십시오. html이라는 것은 이렇게 문장을 잘라놔도 컴퓨터가 알아서 한 문장으로 만듭니다. 이것이 html에서 <p>라는 것입니다. 무슨 할일이 없어서 이런 글을 다닥다닥 붙여 놓습니까? 남들은 멍청해서 그런 것 못하는 줄 아십니까? 다시 한번 반복합니다. 지금 제 글 보세요. 당신 눈에 다 붙여서 보일 것 아닙니까? 왜 쓸데없는 일로 시간 낭비 하십니까? 네이버 같은데 가서 html p tag를 찾아보세요. (동태후 (토론) 2012년 8월 18일 (토) 11:57 (KST))답변

이곳은 위키 문법 편집기를 사용하는 백과사전이지, HTML 편집기가 아닙니다. HTML 태그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제발 편집 지침에 의거하여 편집해 주세요. 문단을 띄울 때에는 Enter 키를 눌러서 공백을 만들어 띄어 주시면 되고, 단락을 만들 때에는 단락을 만들면 됩니다. 우리는 싸우러 온 것이 아닙니다. 말씀하실 때에는 흥분하지 마시고, 차분히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8일 (토) 12:47 (KST)답변
HTML 태그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 컴퓨터가 알아서 자동으로 <p>을 넣어주니까 애써서 다닥다닥 붙일 필요가 없다고 말을 하는데, 님은 내 말이 이해가 안되나요? 왜 할일 없이 남들 글을 다닥 다닥 붙여서 사람 힘빠지게 합니까? (동태후 (토론) 2012년 8월 18일 (토) 13:02 (KST))답변
문단을 나눌 때에는 Enter를 눌러서 공백을 만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한 줄로 잇습니다. 위키백과의 문서들이 대체로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문제가 있으면 문서를 수정하시면 되지, 이렇게 토론까지 와서 "열 받는다"고 굳이 화를 내실 필요가 있나요? 모든 문서마다 그렇게 한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저는 동태후님의 편집에 문제 삼은 적이 없습니다. 제가 동태후님의 기여를 삭제한 것도 아닌데, 혼자서 화 내시는 것 같아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위키백과:좋은 뜻으로 보기를 참고해 주세요.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선의로 기여합니다. 저는 동태후님께서 여러 줄로 다시 바꿔놓으신 것에 대해서는 좋은 뜻으로 보고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8일 (토) 14:45 (KST)답변
안녕하세요? 알고보니 admin이시군요. 뭐 위키피디아가 좋은 뜻을가진사람들 모음으로 알고 있는데 똥고집 부리는사람들이 있어서 괴롭습니다. 장양(張讓)에 한번 들어가 보시겠습니까? 그글 보면, 단규(段珪) · 조절(曹節) · 후람과 함께 황제 소제(少帝)와 진류왕(陳留王) 유협(劉協)을 데리고 도주하지만 곧 하남 중부연리 민공(閔貢)이 추격해오자 황하 강에 뛰어들어 자살했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은 삼국지연의 소설 내용이고, 이미 조절(曹節)은 이미 181년에 죽었고, 후람(侯覽)도 이미 172년에 죽고 189년에는 둘다 무덤속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장양(張讓)에 가보면 이들이 189년에 죽은 걸로 나옵니다. 이런 엉터리내용이 한글위키 페이지에는 가득한데, 소위 헌제(獻帝)에서 장온(張溫) 문제로 이런 짓거리나 하고 있으니 한심할 뿐입니다. 나 저런놈들 보기 싫어서 되도록이면 한글 위키 떠날려고 합니다. 저런 것 때문에 싸움 걸어오는 것들 귀찮아 죽겠습니다. 제가 왜 남의 글 다닥다닥 붙이느냐? 하고 말했던 것도 다 비슷한 것입니다. 한글위키에는 다급한 일이천지인데 남의 글에 작은 헛점이나 찾아서 그것 가지고 물고 늘어지는 것들, 제가한두번 본 것은아닌데..... 야튼간에 저런 것들 때문에 힘빠집니다. 그나저나 왜 이런 글을 님의 페이지에 쓰느냐면 그냥 별이유없이 씁니다. (그냥 듣고 흘려주세요: 답 바라고 쓰는 것 아님) (동태후 (토론) 2012년 8월 19일 (일) 14:23 (KST))답변

「臣等殄滅,天下亂矣。惟陛下自愛!」

님은 중국어를 잘 하시는 분 같으신데, 후한서 78권, 장양(張讓) 전에 보면, 장양이 마지막에 황제에게 인사를 하고 물에 빠져 죽을때, 「臣等殄滅,天下亂矣。惟陛下自愛!」라고 했다는데, 이게 무슨 뜻인지 해석해 주실 수 있나요? "臣等殄滅(우리가 죽어서), 天下亂矣(천하의 난이 없어진다면). 惟陛下自愛(이것은 폐하의 복입니다)!"라고도 생각했는데 절대로 아닌 것 같고, Now we must die! May Our Majesty maintain himself!라고 번역된다는데, "우리는 지금 죽어야 합니다. 폐하께서는 만수무강하소서"라고 번역된다면, 그렇다면 문장중간에 나오는 天下亂矣는 무슨 뜻일까요? 참고: 소제(少帝). (동태후 (토론) 2012년 8월 19일 (일) 15:00 (KST))답변

중국어를 할줄 아는 것과 옛 한자를 해석할 줄 아는 것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간체와 번체의 차이도 있겠지만 옛 한자에 쓰이는 문법과 현대 중국어의 문법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위키백과의 문서 기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신다면 누구나 볼 수 있게 위키백과:질문방에 글을 올려 보세요. 개인적인 질문이라면 외부 웹사이트나 지식 계급에 도움을 구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9일 (일) 15:21 (KST)답변

디렉토리

디렉터리를 디렉토리로 옮길까 합니다. 더이상 의견이 없네요. --거북이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17:07 (KST)답변

토론:디렉터리에 의견이 있습니다. Againaway님의 의견이 있는데 이 의견에 거북이님은 동의하지 않으시나요? 저는 Againaway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현재 디렉터리라는 용어는 파일과 다른 디렉터리들의 그룹을 갖고 있는 파일 시스템 안의 존재물을 의미하며, 디렉터리가 아닌 '디렉토리'라는 이름도 항목 이름으로서 고려 대상이 되려면 '디렉토리'라는 말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의해 한국어 낱말이라는 점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아직까지 '디렉토리'라는 용어가 미더운 출처에 의해 한국어 낱말이라는 점이 입증되지 않았기에 사실 저는 거북이님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17:25 (KST)답변

신화창조라는 문서 왜 삭제하셨나요?

왜 삭제하셨죠? 신화창조 쳐보니까 없길래 만드니까 님이 삭제하셨다고 뜨더라구요. 왜 삭제하신건지 이유를 좀 가르쳐주세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24.216.134.16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이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이므로 백과사전다운 기술을 부탁 드립니다. 출처도 제공되지 않으면 독자 연구의 의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에 출처를 밝히는 방법이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6일 (일) 22:00 (KST)답변

알려드릴게 있어요

충고 감사합니다만 저는 글에 욕이나 광고를 쓰지말라는 경고를 작성하였을 뿐입니다.또 저는 차단의 어려움이 있다고 오해한적은 없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사용자 관리 요청을 참고하세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자업자득36699284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좋은 뜻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지침이나 정책 문서는 사용자들 간의 약속이기 때문에 내용 수정, 삭제, 추가에 대해서는 토론을 거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 관리 요청 부분의 글도 확인하였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9일 (수) 11:48 (KST)답변

네,저도 감사드립니다^^그리고 저 30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안올 예정이예요,돌아오면 토론에 바로 답변 드릴예정이고 자세한건 사용자 문서 참고하세요.자업자득36699284 (토론) 2012년 8월 29일 (수) 12:00 (KST)답변

Spam message

Hello. This is Spam message! xDD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편집횟수 100,000회 넘기신 것 축하드려요. 너무 늦은 축하 인사네요 :) --Sotiale (토론) 2012년 8월 29일 (수) 14:17 (KST)답변

감사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9일 (수) 17:13 (KST)답변

십만 회 돌파 대단하십니다... 저의 스무 배도 넘는 기여 수네요 ㅎㅎ 축하드립니다~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8월 29일 (수) 22:53 (KST)답변

수고 많습니다.

양촌집 공동 편집자입니다.

1 저작권 은대집 지금 소멸아닌가요 2 부족하거나 문제점이되는 문장 일러 주시기바랍니다. 3 배우는자 모르니 대하면 머리 쥐부터 나네요. 교자 보람 기원합니다...

--권운 2012년 8월 30일 (목) 14:43 (KST) --권운 2012년 8월 29일 (수) 18:15 (KST)

죄송하지만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해 주실 수 있나요?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29일 (수) 18:50 (KST)답변
1,2번을 수정해 주시긴 하셨으나, 3번은 아직도 이해가 되지 않으니 양해 바랍니다. 이 링크가 제가 마지막으로 되돌린 링크입니다만, 지금 권운님께서는 위키백과의 형식에 맞추어 편집하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이곳은 백과사전입니다. (링크 참고) 모든 사전이라면 최소한 정의(definition)가 있습니다. 정의는 왜 삭제하셨나요?
또, 다른 사용자가 제시한 출처는 왜 삭제하셨나요? 다른 사용자의 기여분을 지워버리고 자신의 기여분으로 채울 때에는 타당한 이유를 편집 요약이나 문서 토론에 남겨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키백과:문서 훼손에 나와 있음) 굳이 저작권 때문에 내용을 삭제한 것이 아닙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30일 (목) 14:48 (KST)답변

스마트폰증후군 문서를 왜 지우셨는지 궁금합니다.

왜 지우셨나요? -- 이 의견을 2012년 8월 31일 (금) 14:31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175.209.210.14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위키백과는 낱말 사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저 문서는 위키낱말사전에나 있을 법한 문서입니다. 단, 충분한 정의를 담았고 단독 문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면 삭제 대상은 아닙니다.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8월 31일 (금) 16:49 (KST)답변

카라관련 사진

모두 삭제한 사유를 알고 싶습니다. 개인별 사진은 개인 제작이라 그렇다 치지만, 메인 자켓 엘범 사진은 출처가 분명한 것인데 모두 삭제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Fourthburn (토론) 2012년 9월 3일 (월) 17:32 (KST)답변

출처가 분명하다고 삭제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을 읽어 보십시오. 특히 음반 사진의 경우 대개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작권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영리적인 이용뿐 아니라 제한 없는 수정까지 저작권자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3일 (월) 17:36 (KST)답변

쇼미더머니 문서 왜 삭제하셨나요?

문서를 발전 시키기 위해 만들고 다듬는 중이었습니다. 그리고 한번 생성 되어야 다른 사람들이 다듬어질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삭제하신건가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Parkq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문서가 삭제된 이유는 이미 삭제된 이유에서 보신 바와 같이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에 위배되어 삭제되었습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이며, 사전이라면 반드시 정의가 있어야 하며, 일반 문서의 경우 개인 문서가 아니며 무언가를 나열하는 장소 또한 아닙니다. 만일 해당 정책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생각되신다면, 사용자:Parkq/쇼미더머니 등의 문서를 만들고 그곳에서 완성시킨 뒤 일반 문서로 복사해 주세요. 일반 문서에도 여러 사용자들의 기여가 가능하지만 문서 작성 첫 판부터 기본 틀은 유지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일 사용자 문서로의 복구를 원하신다면 말씀해 주시면 그곳으로 복구해 드릴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5일 (수) 13:13 (KST)답변
문서 작성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위키백과:빠른 길라잡이를 읽어보실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5일 (수) 13:15 (KST)답변

Article request

Hi! There is a Korean American supermarket chain called en:H Mart - Would it be alright if you started an article in Korean about it? Thanks, WhisperToMe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08:08 (KST)답변

예Done --ted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08:25 (KST)답변
Thank you very much :) WhisperToMe (토론) 2012년 9월 7일 (금) 04:43 (KST)답변

의령에 있는 화정초 교사 김은진입니다.

어제 제가 기여한 목록을 다시 수정하러 들어왔다가 모두 삭제되어 있어 깜짝 놀랐습니다. 이유인즉슨, 저작권 위반... 의령군청과 의령교육지원청이 주관하여 위키어린이 기자단 프로젝트를 의령관내 초등학생들과 함께 진행하게 되었는데, 학생들이 스스로 우리 의령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의령군청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의령군청에 올려져있던 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될 것이 없고, 어린이 기자단 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어렵사리 기여한 목록을 Ykhwong님께서 삭제를 하여 저도, 우리 학생들도 무척이나 당황하였습니다. 이곳에다 글을 남기면 Ykhwong님께서 살펴봐주실 것이라 보고 일단 글을 남겨봅니다. 삭제한 것에 대해 제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화정초 교사 김은진--화정초김은진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09:26 (KST)답변

의령 상정리 조씨 고가, 덕곡서원, 의령 상정리 지석묘군, 칠정려에 대한 말씀이신가요? 위키백과에서 내용을 작성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혔다고 할지라도) 웹사이트 하단에 Copyright (C) All Rights Reserved 등의 저작권 강조가 있는 웹사이트에서 수많은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으시면 안 됩니다. 이는 저작권 침해로 인한 위키백과와 다른 단체 간의 저작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를 참조하여 출처를 밝히는 방법을 숙지해 주시고, 내용 또한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는 일은 삼가 주셨으면 합니다. 위키백과의 저작권에 대한 설명은 위키백과:저작권에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09:30 (KST)답변
혹은, 의령군청 홈페이지에 있는 자료를 사용하실 때 해당 자료의 저작권자인 의령군청에 '저작권을 퍼블릭 도메인 및 그에 준하는 라이선스'로 배포할 수 있는지 질의하시어 답을 받아내시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09:43 (KST)답변
[8]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 의령군이 발간하는 자료들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그 저작권은 의령군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군이 발간하는 자료에 대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 우리 군의 자료에 대해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개인적으로 이용하거나 가정 및 이에 준하는 범위안에서는 복제가 가능합니다.
  • 우리 군의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여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즉, 자료에 대한 무단 복제 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고, 한국어 위키백과는 영리를 목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두 번째 저작권 사항과도 한국어 위키백과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또, 문서마다 평가 부분이 있는데 이것이 누구의 평가인지 나와있지 않으며 출처가 없으므로, 위키백과에서 금지하는 독자 연구의 문장들로 보입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15:13 (KST)답변
또, 문서들을 두루 읽어 보니 내용이 대체적으로 출처의 글과 동일하며 말만 살짝 바꾸는 행위로 간주되어 이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이므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15:17 (KST)답변

삭제 신청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경남 의령의 화정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 김은진입니다. 벌써 두번째로 이 글을 남기게 되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올해 초 의령군청과 의령교육지원청이 주관하여 의령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령사랑 위키어린이 기자단 활동을 하여 왔습니다. 우리 의령에 있는 문화유적을 위키백과에 등재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려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고 탐구활동능력을 길러주기 위함이었지요. 그런데, 저작권 정책에 위반된다하여 두번씩이나 삭제되어 있었습니다. 의령군청 출처도 분명히 밝혔음에도...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저희 나름의 취재 결과를 여기에다 올리게 되면 공정성에 위배되고 출처를 분명히 밝히고 등재하면 저작권에 위반된다하여 삭제가 되고...음...삭제되지 않고 이러한 자료를 등재하고 싶네요. 처음 활동하는 것이다보니 오류가 많네요. 학생들과 함께 하나하나 배워가도록 하겠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화정초김은진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모든 내용은 누구나 비영리적 또는 영리적으로도 자유로이 이용가능한 자료에 원칙적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저는 더 자세한 정보를 알려 드리기 위하여 위키백과:저작권이라는 링크를 제공하였습니다. 앞서 다른 분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저작권자로부터 "영리적인 이용"과 "정보의 자유로운 재수정" 등 이용에 대한 적절한 허락을 받고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작권자 웹페이지의 저작권 정책에 따르면 한국어 위키백과와 저작권이 호환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한국어 위키백과로 가져오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6일 (목) 16:33 (KST)답변

문서 삭제

영상물보호위원회 관련 문서 삭제 이유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어떠한 이슈가 있었는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9월 10일 (월) 17:15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Madporsche8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문서는 저작권을 침해하였기 때문에 삭제되었습니다. 위키백과의 모든 문서는 영리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규정되기 때문에, 저작권을 침해하는 자료는 올릴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 정책을 참고하세요.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9월 10일 (월) 17:46 (KST)답변
정확히 말해 한국어 위키백과와 호환되지 않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가져올 수 없는 "두산백과사전 EnCyber"의 자료를 무단 인용하셨기 때문에 삭제되었습니다. 해당 자료를 다량으로 인용하시는 경우 저작권 침해 분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위키백과의 책임이 아닌, 기여자 개인의 책임으로 돌아가므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댜. --ted (토론) 2012년 9월 10일 (월) 18:59 (KST)답변

이제 이해를 합니다.

그동안 위키편집 규칙을 충분히 이해못한 것을 양해바랍니다 충고와 지적 받은 점을 지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편집 활동에 많은 도움을 기답립니다.-- “ ---- ” 2012년 9월 13일 (목) 08:53 (KST)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토론을 하실 때에는 문장 끝 ~~~~를 입력해 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입력됩니다. 누가 글을 썼는지 나와 있지 않아서 지두선님이 썼음을 제 글로 남깁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13일 (목) 09:59 (KST)답변

글을 일방적으로 수정하는 건 실례 아닌지요?

Ykhwong 님께서 정성스럽게 작성한 글(사실에 기조)을 이유 없이 삭제하고 있는데, 이렇게 삭제하는 것은 위키 정신에 위배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슨 목적으로 이러는지는 모르겠으나...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정 보완하고 있으니 삭제에 신중을 기했으면 좋겠네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심플렉스인터넷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실례지만, 자신의 사용자 토론에 글이 올라갔으면 그 아래에 답변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두 토론에 동일한 답변을 드리지 않습니다. 참고로, 저는 글을 삭제하지는 않았습니다. 글 내용을 삭제할지라도 모든 기록은 역사에 남아 있습니다. cafe24의 저명도는 어느 정도 인지합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어서 수정을 강행하는 것도 좋지만, 문제를 제기한 사용자와 토론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위키백과는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무시한 채 편집 강행을 하는 것이 우선이 아니라, 총의가 우선입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13일 (목) 09:59 (KST)답변

2012년 9월 11일 (화) 18:19 '룰 더 스카이 내용' 과 2012년 9월 11일 (화) 18:18 '이노스파크' 의 수정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우선 2012년 9월 11일 (화) 18:18 (비교 | 역사) . . (+8)‎ . . 이노스파크 ‎ (삭제된 틀 다시 붙임) (최신) 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어서 여쭤보겠습니다.

저명성의 입증이 요구되었다고 써져있는데 저명성을 입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이노스파크에 관련된 인터넷 기사같은것으로 저명성이

증명될 수 있는지요? 증명될 수 있다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2012년 9월 11일 (화) 18:19 (비교 | 역사) . . (+188)‎ . . 룰 더 스카이 ‎ (삭제된 내용 되살림) 이것과 같은 경우 제가 수정한 내용을 지우시고

왜 이전의 내용을 되살리셨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알려주시면 그 기준에 맞게 다시 작성하겠습니다.

그리고 2012년 9월 11일 (화) 18:17 Ykhwong (토론 | 기여) 사용자가 Innospark Inc. 문서를 삭제하였습니다. 와

2012년 9월 11일 (화) 18:17 Ykhwong (토론 | 기여) 사용자가 Rule the sky 문서를 삭제하였습니다. 에 관련해서도

이 문서들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삭제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이유를 알려주시면 그 기준에 맞게 다시 작성하겠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근로자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Nosu님께서 저명성 틀을 부착하셨는데[9], 근로자님께서 논의도 없이 임의로 틀을 떼버리셔서[10] 제가 다시 붙였습니다.[11] 저명성에 대한 자세한 도움말은 이 링크를 참고해 주시고, 깊이 있는 토론이 필요하다면 해당 틀을 붙인 사용자와도 논의해 주세요. 또, 편집 요약에 "삭제된 내용 되살림"으로 남긴 제 기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단 정의를 완전히 삭제하셨기 때문에(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이고 사전이라면 정의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근로자님께서 지우셨습니다.[12]) 정의 부분을 되살린 것입니다.[13] 또, 이를 되살리면서도 근로자님의 글의 내용 가운데 극히 일부만 삭제되었습니다. "한국의 JCE (JCEntertainment Co., LTD) 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No.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이라는 표현에서 문제가 되는 비중립적 표현은 "No.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입니다. No.1(넘버 원) 자체가 일단 비중립적인 표현이고, 왜 넘버 원인지 출처가 밝혀져 있지 않는 등 문제의 소지가 있어서 삭제된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13일 (목) 11:12 (KST)답변

답변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보는데요

2012년 9월 11일 (화) 18:17 Ykhwong (토론 | 기여) 사용자가 Innospark Inc. 문서를 삭제하였습니다.

2012년 9월 11일 (화) 18:17 Ykhwong (토론 | 기여) 사용자가 Rule the sky 문서를 삭제하였습니다. 에 관련해서도

삭제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혹시 한글 위키피디아에서 영어로만 설명된 페이지는 안되는 건지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로자 (토론) 2012년 9월 13일 (목) 15:29 (KST)답변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미번역 또는 영어로만 된 일반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올릴 수 없습니다. 영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에 올리시면 됩니다. 참고로, 영어 위키백과와 한국어 위키백과는 각기 다른 정책과 지침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 점을 유의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9월 13일 (목) 15:31 (KST)답변

잠깐만요

사용자:구름위자동차계열의 본계정은 분당선정자역 입니다.-- 분당선M (T · C.) 2012년 9월 15일 (토) 09:47 (KST)답변

다중 계정의 악용으로 차단되어 틀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명확한 수정이 필요하시다면 내용을 더 명확하게 수정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15일 (토) 09:49 (KST)답변

등거리 문서

어째서 등거리 문서를 삭제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도대체 저는 문서를 쓰기만 하면 삭제합니다.정말 열 받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61.106.203.226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의 내용은 위키백과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저작권을 읽어 주세요. 네이버 백과사전 맨 아래에 있는 모든 권리 보유(All Rights Reserved.)라는 글씨도 참고해 주세요. 이렇게 다량의 글을 가져오시면 저작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위키백과의 책임이 아닌 개인의 책임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위키백과에 누구나 올릴 수 있는 자료는 비영리적 또는 영리적으로도 자유로이 이용가능한 자료에 원칙적으로 한정됩니다. 또, 저작권자로부터 자유로운 내용 수정에 대한 허가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네이버 백과사전의 저작권 정책은 그러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키백과에 가져올 수 없는 것입니다. 동고서저라는 문서는 제가 삭제한 것은 아니지만, 이와 비슷한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삭제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18일 (화) 21:40 (KST)답변

디렉터리

어떻게 할까요. 너무 길어지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ykhwong님도 빈도의 차이까지는 분명 인정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일반인들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언론, 출판, 공공기관이 일관성있게 쓰는 '콘텐츠' 정도만 되면 저도 그냥 두겠습니다만, 디렉토리는 참 인정이 안되네요. 의견 한번 더 부탁드립니다. --거북이 (토론) 2012년 9월 19일 (수) 10:05 (KST)답변

Article request

Ykhwong, would you be interested in writing a Korean article for en:Korean Air Cargo Flight 8509? It was the last Korean Air crash with crew fatalities. Thank you WhisperToMe (토론) 2012년 9월 19일 (수) 16:48 (KST)답변

예Done --ted (토론) 2012년 9월 26일 (수) 11:52 (KST)답변
Thank you! WhisperToMe (토론) 2012년 10월 12일 (금) 10:52 (KST)답변

YSCEC 문서 삭제에 관련해서

9월17일날 '위키백과는 대학내 사이트를 소개하는 곳이 아님, 연세대학교 문서에 병합 가능'이라는 의견으로 문서를 삭제하셨는데, 이것이 어떤 위키백과의 정책에 어긋나 삭제하셨는지 합당한 이유를 듣고 싶네요. 제가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페이지에서 살펴본 바로는 이 문서가 등재되면 안될 이유는 딱히 기재되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만약 삭제될 합당한 이유가 있다면 제가 쓴 문서의 원본을 다시한번 보고 싶은데 이에 대해 도움을 주실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Han7804 (토론) 2012년 9월 21일 (금) 12:01 (KST)답변

해당 의견은 사용자:58.123.52.166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대학 내 그룹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위키백과:저명성에 위배되어 삭제되었습니다. 해당 정책과 지침을 확인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9월 21일 (금) 12:04 (KST)답변

저도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페이지는 읽어보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요구하는 것은 이중 어떤 특정 항목을 위배했는지 알고 싶고, 이를 차후 문서작성에도 참고하고 싶네요. 그리고 저는 YSCEC이라는 사이트의 취약점을 이용해 악용된 사례가 뉴스에도 보도된 바가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저명성은 갖추고 있다고 생각합니다.Han7804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00:22 (KST)답변

위키백과는 홍보를 하는 장소가 아닙니다. 또, 해당 그룹은 위키백과에서 하나의 문서로 다뤄질만큼의 저명성이 없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10:50 (KST)답변

제가 쓴 문서는 단순히 홍보가 아닌 누군가 이 사이트에 대한 정보와 기능을 원할 때 찾아볼 수 있도록 등재한 것입니다. 그리고 위키백과가 다른 백과와의 차별되고 열린 백과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 아닌가요? Ykhwong님 께서 지금까지 편집해온 목록을 보면 상당히 주관적 해석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상당히 많은 경우에서 충분한 토론 절차를 갖지도 않고 먼저 삭제부터 하시는 모습을 자주 보고 있네요. 물론 사용자님께서 위키백과라에 기여한 정도는 대단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태도는 위키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적 작성자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명성에 대해서도, 만약 누군가 대학에서의 개인 정보 침해 사례에 대해 기사를 찾아보다 YSCEC이라는 사이트의 목적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그 정보를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은 위키백과가 아닐까요?Han7804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12:34 (KST)답변

위키백과는 홍보를 하는 곳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씀드렸을 텐데요.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을 먼저 읽으시고 이런 말씀을 하셨기를 바랍니다,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9월 22일 (토) 14:41 (KST)답변

제가 작성한 문서에 제발 제가 등재한 사이트에 들러주세요라는 의미의 말이라도 썼나요. 저는 이 정보를 찾고자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제공하고 싶은 의도로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굵은 글씨까지 써가시며 저의 문서가 홍보라는 주장을 하시는데 홍보와 정보의 차이부터 잘 생각해주시고 이야기해주세요. 글씨에 태그좀 건다고 논리가 생기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링크해주신 글에는 규칙에 얽매이지 마세요라고 적어져있네요. 이 페이지를 보면 '위키백과에서 규칙은 위키백과의 유지, 발전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규칙은 사용자들이 만들어가는 것이며, 규칙을 기계적으로 지키는 것은 오히려 발전에 방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규칙을 무시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면, 과감하게 규칙을 무시하세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융통성을 발휘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라는 문구가 있네요. 제가 단순히 이 단어 하나 때문에 이렇게 시간을 투자해가며 토론하는게 아닙니다. 몇몇 사용자들이 너무 지나치게 등재되는 문서들을 모니터링하고, 규칙을 적용해가며 위키를 다른 흔한백과사전과 차별되어 지는 것을 막고 있는게 안타까워서입니다.Han7804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17:50 (KST)2012년 9월 22일 (토) 17:46 (KST)답변

위키백과는 엔하위키와 같은 다른 흔한 백과사전과는 달리 중립성을 지켜야 하는 백과사전이라 어쩔 수 없이 차별화를 두게 됩니다. "정보를 찾고자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제공하고 싶은 의도로 문서를 작성해 주신" 것은 좋으나, 위키백과에는 정해진 지침과 정책이 있으므로 이를 따라 주셔야겠습니다. 만일 지침이나 정책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사랑방 등에서 총체적인 논의를 진행해 주세요. 총의가 우선입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19:45 (KST)답변

Dayz 문저

http://ko.wikipedia.org/wiki/Dayz

중복되는 문서도 아니며,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 에서 쓴 문서입니다. 왜 삭제처리되었는지 이해하기 힘들어 글 남깁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Asmile9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삭제 기록을 확인해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링크를 하나 드렸습니다. 이 링크를 참조하시면 게임의 너무 자세한 정보를 삽입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특정 단체의 지원 센터가 아닙니다. 전화번호나 메일 주소와 같은 연락처는 삽입하지 말아 주세요. 한 문서의 가치 기준에서 게임 모드만을 기술하는 것도 백과사전의 내용 기술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암드 어설트 문서에서 게임 모드를(해당 게임 모드가 공식 게임 모드일 경우) 간단히 기술해 주시는 것이 낫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21일 (금) 16:11 (KST)답변

Dayz 문서를 메일로 전송해주셨으면 합니다

Dayz 문서삭제 처리 조치의 이유에 대해 충분히 이해했습니다. 위키백과 삭제 처리에 더 이상 반박하지 않겠습니다만, Dayz 문서의 모든 내용을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지인들과 협동해서 쓴 거라, 텍스트 파일만이라도 살려놓고 싶네요.. asmile972@gmail.com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Asmile97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사용자 문서로도 복구가 가능하지만, 메일로 송신을 요청하셨으니 말씀해 주신 메일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21일 (금) 21:24 (KST)답변

긴급 요청

접속중이신것 같애 남깁니다만, 사용자:Hun99를 지속적으로 반달하는 IP사용자 차단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0,000+ 분당선M (T · C.) 2012년 9월 29일 (토) 10:24 (KST)답변

이미 차단되었네요. :) --ted (토론) 2012년 9월 30일 (일) 00:42 (KST)답변

'지상파' 출처 요구에 대하여

'지상파'라는 단어는 기술적인 정의에 의해서만 이 단어를 쓰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도 널리 통용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출처가 필요치 않습니다.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빈민촌이장 (토론 기여) 2012년 9월 30일 (일) 00:24 (KST)답변

위키백과의 모든 문서는 외부 출처에 의해 작성되어야 하며,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출처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 위키백과:확인 가능) 출처가 밝혀져 있지 않은 문서에는 출처 필요 틀이 붙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어라는 것으로는 뒷받침할만한 이유가 되지 못하며, 단순히 자신이나 자신의 지식이나 생각, 의견 등으로 작성하신 경우 독자연구의 의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출처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 또, 한국어 위키백과는 대한민국의 위키백과가 아니며 특정 국가나 단체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아님#국가) 삭제하신 틀을 모두 되돌렸으니 참고 바랍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30일 (일) 00:34 (KST)답변
답변 위키백과를 너무 강요적인 원칙에만 치중하려는 경향이 보이는 군요. 하도 고집을 피우길래 '지상파'문서에 출처를 달았습니다만, 해당 문서는 독자 연구도 아닐 뿐더러, 내 이론이나 생각을 홍보하기 위한 문서도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뜻을 풀이한 것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위키의 모든 문서에 출처를 의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고 알고 있는 것은 지금 귀하가 위키정책을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주지하십시오. --   빈민촌이장 (토론 기여) 2012년 9월 30일 (일) 00:53 (KST)답변
독자연구가 아니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지금 작성하신 문서 내용의 출처는 어디입니까? (법률 관련 출처를 제외하더라도) --ted (토론) 2012년 9월 30일 (일) 00:56 (KST)답변
지침이나 정책은 도리어 Digital4Life님께서 재차 숙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문서 처음 작성시부터 분류나 출처를 전혀 제공하고 계시지 않으신 것부터 여러 기여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Digital4Life님께서 도리어 위키백과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 것은 아닌지요? 지침은 가능한 따라야 하고, 정책은 반드시 따라야 하는 기준입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다른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질문해 주시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30일 (일) 01:01 (KST)답변
위키백과에만 죽치고 앉아 있을 정도로 그렇게 한가한 사람이 아닙니다. 문서를 만들다 보면 누락되기도 하고 편집이 잘못될 수도 있는 법입니다. 그걸 못 참고 바로바로 처리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냥 수정할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도 있거나 대신 기여를 하는 사람도 있고...뭐 다 여러질이겠죠. 내 기여에 대해 뭔가 불만이 있는 모양이신데 이미 써있는 내용 긁어오면 저작권 위반이라고 할 것이 뻔한데, 당연히 지니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풀이를 하는 것은 올바른 위키백과 활동이며 위키정책에 어긋나지도 않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질문해 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   빈민촌이장 (토론 기여) 2012년 9월 30일 (일) 01:14 (KST)답변
저 또한 위키백과에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사용자들 가운데 한 명일 뿐입니다. 저작권에 관련된 정보는 위키백과:저작권에 있습니다. 실례지만 지침과 정책을 혼동하지 말아 주세요. 지식을 바탕으로 풀이를 하는 것은 독자연구에 해당하므로 지침에 위반됩니다. 인용은 그대로 인용해야 하며, 풀이(해설)을 하는 경우는 자신의 생각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독자연구입니다, 또, 틀이 붙었으면 틀이 붙었으니 삭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틀을 붙인 사용자에게 먼저 질문을 하셨어야 했습니다. 미완성 문서라면 문서를 바로 올리는 게 아니라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서 작성한 다음, 출처와 함께 작성이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면 일반 문서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Digital4Life님의 기여에 불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제가 틀을 단 것에 대하여 도리어 Digital4Life님께서 불만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게 토론을 거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는 여러 링크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제가 Digital4life님께 위키백과 이용에 대한 도움을 드리려는 의도를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9월 30일 (일) 01:20 (KST)답변

터부매너지먼트 삭제건

역시 한국 위키피디아 발전하지못하는 이유에 대해 이번삭제과정에서 완전히 이해했습니다. ! 세종대왕이 한글을 개발했을때 언문이라고 사대주의에 물들은 학자들이 난리쳤던 일을 여기서도 발생하고 자신의 편협한 Local oriented thought로 판단하는 편협된사고와 잘못된 기준적용을 보았습니다. Taboo Management라는 용어를 세계최초로 정의하는것을 PR이라고 삭제하는 시각....YKhwong의 편협된사고를 넓혀주시기를 바랍니다....저는 한국 위키는 포기하고 글로벌 위키에 바로 등록 하겠습니다. 한국위키도 발전을 저해하는 낡은기준의 터부를 깨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83.109.123.194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제가 언제 삭제 이유를 PR이라고 밝혔는지요? 그것은 삭제 신청을 한 사용자의 언급이고, 저는 삭제 요약에 백:아님이란 언급을 했습니다. 해당 링크는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고, 이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삭제된 것입니다. 삭제 신청에 대한 이의를 하시려면 {{삭제 신청 이의}} 틀을 붙이라고 삭제 신청 틀 내용에 나와있는데, 삭제 기여 내역을 확인해 보니 211.51.74.44님께서 다른 사용자가 추가한 삭제 신청 틀 아래에 삭제 신청 이의 틀을 추가하지 않았고, 다른 사람이 추가한 삭제 신청 틀을 삭제하셨습니다. 저는 어느 누구도 삭제 신청에 대한 아무런 이의가 없는 것으로 보고, 또 위키백과의 백과사전적 문서로서 가치가 없다고 간주하여 백:아님 링크를 제공하면서 삭제하였습니다. 위키백과는 독자가 내용을 보고 믿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또, 위키백과에서는 독자가 해당 내용이 사실인지 확인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작성되지 않은 글은 독자 연구의 의심을 받아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백:아님#사견)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이지, 전문 서적이나 연구 논문처럼 쓰여서는 안 됩니다. (백:아님#학술) 위키백과는 내용을 믿을 수 있어야 하고 중립적으로 기술되어야 하므로 그만한 기준이 있고, 이는 다른 위키 기반 사이트들과 차별화될 수 밖에 없음을 인지해 주셨으면 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4일 (목) 18:28 (KST)답변

KT IT서포터즈 삭제를 왜 하셨나요?

제가 위키백과 편집은 처음이라 제가 힘들게 올린 글이 마음대로 삭제되어서 조금 당황스럽네요.. 삭제 이유가 무엇인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는 KT IT서포터즈란 조직에 팀원으로 있는 사람이고요. KT IT서포터즌 KT의 사회공헌 활동의 일부로 IT 지식 나눔을 실천하는 조직입니다. 민간기업의 PR을 하기위함이 아니고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알리고 싶어 위키백과에 등재한 것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Kianuele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알리고 싶다는 취지"는 좋은 뜻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이 취지는 위키백과의 근본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고 간주됩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성을 지켜야 하는 백과사전입니다. 위키백과는 무언가를 알릴 목적으로("널리 알리다"는 "광고"와 동의어) 글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KT#IT서포터즈에 내용을 기술하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출처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해당 문단에 제공되는 내용이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삭제된 글의 복구를 요청하신다면, 사용자 문서로 복구해 드릴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5일 (금) 16:50 (KST)답변
알린다기 보다는 IT서포터즈 활동을 저희가 6년째 하고 있는데요.. 이미 많은 사람들이 IT서포터즈에 대해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보다 정확히 보다 많이 IT서포터즈에 대해 알고싶어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위키백과에 올린것입니다. "IT서포터즈란 이런 지식기부를 하는 봉사단체이다" 라고 위키백과에 정의를 내리고 싶은것입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10월 5일 (금) 16:59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Kianuele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그리고 KT#IT서포터즈 에 IT서포터즈가 이미 소개가 되어있습니다. 이걸 홍보라고 간주하신다면, KT에 대한 소개자료도 삭제되어야하지 않나요? 다른 프로축구 서포터즈 들의 대한 글도 많이 있던데요.. 그런것들도 그럼 삭제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KT#IT서포터즈 에 IT서포터즈가 소개되어 있지만 좀더 자세하고 정확한 정의 자료를 올리고 싶어서입니다. 다시 복구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12년 10월 5일 (금) 17:07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Kianuele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Dynamicwork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 그럼 혹시 그 문서가 독립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생각해 보셨나요? 위키백과는 단순한 정의를 내리는 곳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의만 있는 토막글 수준의 짧은 문서들은 대부분 삭제되거나 다른 문서에 병합됩니다. --다이나믹 로동!(U,T,C,M) 2012년 10월 5일 (금) 17:19 (KST)답변
독립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라... IT서포터즈의 활동 내역이 바뀐다거나.. 하면 발전이 되겠지요. 그리고 정의만 있는 토막글 수준의 짧은 문서들은 삭제되었다고 하는데. 일단 제 글은 정의만 있는 토막글 수준이 아니고요.. 그리고 그게 위키백과의 다섯원칙에 위배되는건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다시한번 글 복구를 요청드립니다. Kianuelee (토론) 2012년 10월 5일 (금) 17:30 (KST)답변
독립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키백과:저명성을 참고해 주세요. 글 복구는 일반 문서로의 복구가 아닌, 사용자 문서로의 복구로 요청하실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5일 (금) 17:48 (KST)답변
사용자 문서로라도 복구해주세요 --Kianuelee (토론) 2012년 10월 5일 (금) 18:09 (KST)답변
예완료 사용자:Kianuelee/IT서포터즈로 복구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5일 (금) 18:12 (KST)답변

인상 (치의학)은 편집중인 문서입니다. 놔둬주세요.

제가 지금 당장 편집중인 문서입니다. 계속 손 대시니 복잡하네요. 일단 그냥 놔둬 주세요. 치의학 관련 글들 카테고리부터 다시 세우고 이어서 편집할겁니다.--ANUG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46 (KST)답변

위키백과는 혼자만의 공간이 아닌, 다같이 만들어가는 백과사전입니다. 다른 사람의 편집을 제한하려는 행위는 삼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완성 문서라면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서 먼저 문서를 만들었다가, 나중에 일반 문서로 이동하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일반 문서 이름공간은 개인 연습, 작업 공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47 (KST)답변
그건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린 것은 그 정도로도 문서가 성립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미 올리기 전에 미리보기 수십 차례 올리고 있구요. 근데 임의로 분류를 수정해놓는다던지 하게 되면 중간에 편집하는 입장에서 벙 떠버리기 때문입니다.--ANUG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53 (KST)답변
임의 분류 수정이라니요? 분류 수정은 영어 위키백과의 분류를 참고하였습니다. 분류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입니다. 편집 당시에는 없는 분류였으며, 분류를 새로 생성하는 것은 좋으나, 앞으로 얼마나 많은 문서가 해당 분류를 사용할 것인지도 고려해야겠지요. 저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문서에 관심을 갖고 수정해 나갈 수 있습니다. 제가 ANUG님의 문서 내용을 임의로 삭제한 것도 아니고, 부분들을 정비한 것일 뿐입니다. 자신만의 사용자 문서를 남이 수정한 것이었다면 기분이 나쁘겠지만, 공동의 문서라면 기분이 나쁘실 일은 아닐 것입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57 (KST)답변
분류는 치과 전공자인 제가 잘 해놓겠습니다. 앞으로 관련분야 글 쓸 확률도 Ykhwong님보단 제가 더 높을 것 같으니 고려해서 잘 해놓겠습니다.--ANUG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20:06 (KST)답변
치과 전공자를 여기서 뵙다니 반갑습니다. 많은 기여를 바라겠습니다. 저는 치과 전공자는 아니지만, 치학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 문서들을 여러 개 작성해 왔습니다. 단지 제 기여가 ANUG님의 기여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20:16 (KST)답변
더군다나 참고문헌에 쪽번호라니요. 출처가 아니라 참고문헌에 쪽을 다는 경우는 보지 못했습니다. APA 양식 참고하세요.--ANUG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55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는 APA 스타일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확인 가능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문헌을 확인 가능하여야 합니다. 사랑방에서도 이전에 논의되었으나, 쪽을 밝히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문서에 대한 참고문헌을 첫 페이지부터 끝까지 모두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쪽 틀을 붙인 것입니다. 출처를 밝히는 방법은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에 있으며, 개별적으로 <ref> ~ </ref>를 사용하여 출처를 밝혀 주실 것을 권장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19:59 (KST)답변
APA나 시카고 스타일 등 여러 양식에 대해서는 이미 작성 방법을 숙지하고 있고 실제로 미국에서도 많이 작성해 보았습니다. 따라서 굳이 문서 작성 스타일에 대한 링크는 제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러한 양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총의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이지만, 종이로 된 백과사전은 아니기 때문에 조금은 다른 편집 스타일로 작성됩니다. (백:아님#양식) 위키백과:편집 지침에 편집 스타일이 나와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20:03 (KST)답변
그렇다면 월요일날 책 찾아서 쪽 달아놓겠습니다. 됐죠?--ANUG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20:06 (KST)답변
네, 그렇게 해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좋은 품질의 문서를 함께 완성해 나가길 기원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6일 (토) 20:08 (KST)답변

인상과 치관

  1. 단순히 수복 측면에서 관련이 있다고 하기엔 두 대상의 연관성이 적습니다. 이런식이면 함께보기에 제작 혹은 치료를 위해 인상채득이 필요한 모든 경우를 넣어야 합니다. 인상은 기본적인 절차일 뿐이지 크라운의 제작과 하등 상관이 없습니다. 일단 되돌립니다.
  2. 치관 문서를 작성하실 때 cavity를 '구멍'으로 해석하셨는데, dental cavity는 보통 (우식)와동으로 번역합니다. 이러한 분류법이 존재합니다만 아무튼 일상적으로는 그냥 dental caries와 유사한 뜻으로 생각하고 번역하는게 좋습니다. 토막글이 아니라 좀 더 발전하게 되면 글을 고쳐야 할지도 모릅니다만 일단은 우식으로 수정해 놨습니다. --ANUG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3:50 (KST)답변

위에 덧붙여서 저도 잠시 실수했는데, '치관'이란 말은 치아 형태적으로 제일 위에 드러나는 부분참조을 의미합니다. 영어 위키가 좀 잘못 되어 있는데, 오늘 저녁중으로 치아형태학과 관련된 문서를 지필해야겠군요. 일단 문서 옮겨놨습니다.--ANUG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4:10 (KST)답변

네, 말씀 감사합니다. "같이 보기"(See also) 항목은 추가에 제약이 없습니다. 제작과 관련이 있다면 추가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특별히 되돌릴 생각은 없습니다. 잘못된 번역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수정해 주시고, 혹시 영어 위키백과에도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그곳에서도 수정을 부탁 드립니다. 제 기여가 일정 부분 부족함을 인지합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함께 가꾸어나갔으면 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5:28 (KST)답변

사람의 이 인터위키 충돌

이 (해부학)en:Tooth, 사람의 이en:Human tooth로 넘겨주면 될 것 같은데, 직접 처리하실건가요?--ANUG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9:15 (KST)답변

영어 위키백과는 뒤에 Tooth와 Human tooth와 문서가 분리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인터위키만 생각해서는 안 되는 것이, 다른 언어의 인터위키는 대개가 문서 표제어 그대로 "이 (해부학)"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예: en:Human tooth - ja:歯 - zh:牙齒) 너무 많은 언어의 문서들로 인해 인터위키 처리가 어렵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9:19 (KST)답변
일단은 영어위키가 가장 글도 많고, 영어가 가장 표준화된 말이니 다른 위키들도 이를 따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영어위키와 대응해서 놔뒀습니다.--ANUG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9:22 (KST)답변
ANUG님께서 하신대로 이 (해부학) 문서는 영어 인터위키와 이어주면 자동으로 봇이 다른 인터위키들이 추가될 것이라 생각됩니다만, 사람의 이는 현재 인터위키가 꼬여 버린 상태입니다. 누군가는 처리를 하긴 해야 할 일일텐데 시간이 많이 걸리겠네요. 안타깝게도 제 언어 능력으로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가 한계입니다. 제가 시간만 된다면 (표제어 정도만 참조하는 것이니) 구글 번역 등을 이용하여 문서 제목을 하나씩 비교하여 수작업으로 인터위키를 처리하고 싶네요. 제 일과 중 일부의 시간을 쪼개서 하는 것이라 시간이 잘 나지 않습니다. 각 언어의 위키백과를 돌아다니며 일일이 수정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ted (토론) 2012년 10월 7일 (일) 19:28 (KST)답변

Another article request: Montgomery County Public Schools

Hi! Would it be alright if you wrote a Korean article about en:Montgomery County Public Schools? It is a school district in the Washington DC suburbs. It has a Korean website, at http://www.montgomeryschoolsmd.org/languages/korean/ , which can help you write the article Thanks WhisperToMe (토론) 2012년 10월 12일 (금) 10:53 (KST)답변

예Done 몽고메리 카운티 공립학교 --ted (토론) 2012년 10월 27일 (토) 10:44 (KST)답변
Thank you very much! Would you be interested in writing stubs on en:Montgomery County, Maryland and en:Annandale, Virginia also? WhisperToMe (토론) 2012년 10월 27일 (토) 16:30 (KST)답변
I will take them into consideration. --ted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4:43 (KST)답변

위키백과는 모순 토론 사이트가 아닙니다. 그러니 더 이상 모순토론을 하지 마십시요...

솔찍히 왜 이렇게 "출저를 저작권 자료 때문에 올릴수가 없어요."라는 모순되는 글에 시시비비를 가리는 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당신도 아시다시피 위키백과는 저작권 자료를 올릴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저작권 자료를 못올린다는 점을 기억하고 모순되는 말에 시시비비를 가리지 말아야지 그리고 제발 남에게 저작권 자료를 올리지 못하는 점을 인정안하려고 하는 엉터리 모순 토론 그만해주세요. 남에게는 지겹고 나쁜 스트레스 상승만 쌓이게 됩니다. 물론 내용 문제점 토론은 얼마든지 받아줄수 있겠지만 저작권 자료를 올릴 수 없는 특별한 자료들을 제발좀 인정좀 해주세요.--Vcdfdc (토론) 2012년 10월 19일 (금) 18:06 (KST)답변

실례지만 무슨 의미인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링크 등을 제공하면서 정확한 정황을 말씀해 주셔야지, 수개월이나 지난 뒤에 이렇게 글을 쓰시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저는 알아들을 수가 없습니다. 저작권 자료를 올리지 못하는 점을 인정 안 하려고 한 적은 없는데요. 저작권 침해가 있을 경우 책임은 기여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무언가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 자세한 사항은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를 참고해 주세요. --ted (토론) 2012년 10월 19일 (금) 18:24 (KST)답변

형평성을 잃은 개입이라 판단됩니다

편집분쟁중 한쪽의 편집이 유리한 채로 문서보호를 하셨습니다.--Sungirum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13 (KST) 이전에 이미 나치당 분쟁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권한을 시도하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Sungirum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14 (KST)답변

말씀하신 바와 달리 나치당, 즉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문서에서는 어느 관리자에 의해서도 보호 처리된 기록을 찾을 수 없습니다. 편집 분쟁 중 한쪽의 편집이 유리한 채 문서 보호를 했다는 것은 보호 처리가 된 시점에 따라 Sungrim님의 관점에서나 Aua1422님의 관점에서나 동일하지 않을까요? 편집 분쟁에 따라 문서가 보호 조치된 것으로 생각해 주세요. 토론:나치즘#문서 보호를 참고하세요. --ted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25 (KST)답변
나치당, 즉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문서는 기록에 편집 분쟁의 역사가 있고, 편집 분쟁이 재발할 경우 해당 문서 또한 일정 기간 보호 조치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 --ted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30 (KST)답변

편집요청틀을 달았습니다. 위키 편집 지침을 따랐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ungiru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실례지만 보호 편집 요청의 사용법이 잘못되었습니다. {{틀|보호 편집 요청}}이 아니라 {{보호 편집 요청}}을 문서의 토론 문서에 넣어 주셔야 합니다. 여전히 다른 사용자와 분쟁의 여지가 분명히 있기 때문에 요청을 하시더라도 기각될 것임을 먼저 말씀 드립니다. --ted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28 (KST)답변
양측이 같은 주장을 반복할시 (한쪽은 위키 지침에 따라 자신의 주장이 아닌 출전을 근거로 제시했고 상대는 '자신의 개인주장만을 내세우고 있을때) 무조건 기계적으로 어느 한 점에서 문서를 보호한다는 것이 납득되지 않는군요. 이런 식이라면 편집에 대한 위키의 정책 및 지침은 어째서 존해하는지 의문입니다. 이 것에 대해서는 지난 번에도 잘 모르는 부분이라 하셨기에 비유를 들어 보겠습니다. ' 벼룩은 벼룩목(Siphonaptera)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벼룩은 벼룩목(Siphonaptera)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라는 위키기사가 있습니다. 이에 이어지는 '문장은 은시류(隱翅類)라고도 부른다.' 이 경우 Aua1422님의 경우 벼룩으로만! 불러야 한다면서 뒷문장을 계속 삭제하는 식입니다. 더욱 사태가 나쁜것은 이 경우 '벼룩'에 해당하는 것이 '국가사회주의'라는 거죠. 즉 더욱 널리 쓰이는 용어(얼마나 오래전 부터 쓰여왔는가 지금도 더욱 많이 쓰이고 있다는 근거까지 제시했는데도 말입니다.를 뒤에 언급하고 있는데도 지우고 있는 겁니다. 이럴 경우에 기계적으로 상대가 반대하니까, 분쟁에 소지가 있으니까. 보호해야한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군요. 이 경우 저는 님의 문서보호 조치의 방식에 형평성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Sungirum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3:57 (KST)답변

이런방식의 형평성을 잃은 개입은 더욱 분쟁을 더욱 부추기는 측면이 있습니다. 조금 전에 보니 Aua1422님이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동음이의어 안내 부분까지도 훼손하고 있더군요. 지금까지 가만히 놔두다가 님이 개입하자 마자 시작한듯 싶습니다. 이부분도 분쟁화만 시키면 님이 보호해주실 거라는 것이 논리적 귀결일테니까요. 잘못된 시그널을 보내는 셈이죠.--Sungirum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4:03 (KST)답변

제가 만든 틀:파시즘 내용이랑 제가 일부 기여를 한 국가사회주의 문서도 출처를 달아놓으셨는데 저는 못할 이유가 있나요? 그리고 비교가 하도 어이가 없어서 말합니다. 애초에 벼룩목이라는 단어가 다른 것을 뜻하는 또다른 뜻이 있나요? 국가사회주의는 그같은 경우와는 다르죠. --스토리마스터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4:06 (KST)Aua1422답변
관리자는 보호 요청이 있어야만 문서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조치는 굳이 제가 아니더라도, 다른 관리자도 충분히 조치할 수 있는 사안이었습니다. 굳이 나치즘 문서가 아니더라도 다른 여러 문서들에도 이와 같은 편집 분쟁을 이유로 보호 조치된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저는 일방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의견을 옹호하지 않습니다. "~이니까 ~인듯 싶습니다.", "님이 보호해주실 거라는 것이 논리적 귀결일테니까요."와 같은 추측성 글은 사실이 아닙니다. 일방적인 추측은 자제해 주세요. 자세한 것은 토론:나치즘#문서 보호에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Sungirum님은 여러 문서/사용자 토론에서 토론을 분산시키지 말고, 원래 논의를 하셨던 장소인 문서 토론에서 토론을 진행해 주세요. 제 사용자 토론 최상단에도 "토론은 한 곳에만 집중하여 진행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라는 글귀가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04:12 (KST)답변